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75814280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11-10-10
책 소개
목차
Part 1 인터넷 소셜 미디어 이론사례 연구 논문
Chapter 1. 커뮤니케이션 및 소셜 미디어의 진화 : 문화 컨버전스 측면에서
Chapter 2. 소셜 미디어와 전통적 미디어의 역할 변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Chapter 3. 사회적인 나 : SNS에서의 사회적 정체성
Chapter 4. 소셜 미디어 연구에 있어 맥락(context)이 갖는 중요성
Part 2 사례 연구 논문
Chapter 5. 인터넷 시대의 정치와 정치담론 : 분석과 전망
Chapter 6. 정치 선거운동 기간 동안 온라인 플랫폼에 따른 웹가시성
계량분석: 2010년 6월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Chapter 7. 트위터를 통해 본 대권주자들의 소통 유형
7-1. 한국에서 나타난 마이크로 블로깅과 정치현상 사이의 상호 작용: 서울시장 예비후보토론회를 중심으로
7-2. 한국과 대만 대선후보자들의 페이스북 사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7-3. 갈릴레오 모델을 통한 유력 대선후보들에 대한 인지도 조사
Chapter 8. 웹2.0 시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책 홍보 전략
: 농림수산식품부의 트위터 활동을 중심으로
Chapter 9. 일본의 지역기반 소셜 미디어 이용 동향에 관한 연구 : 트위터를 중심으로
9-1. 한국과 일본의 트위터 이용, 지역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까?
9-2. 위기 상황에서의 트위터 영향력 : 일본 지진 당시 트위터 메시지 분석 결과
Chapter 10. SNS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시의 SNS활용을 중심으로
Part 3 실제 적용 사례
Chapter 11. 중소상공인의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페이스북 활용사례 분석
: 페이스북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활성화 제언
Chapter 12. 트위터의 이해와 비즈니스적 활용
12-1. 아이돌 네트워크 : 아이돌 그룹 멤버 간 연결 관계는 팬 관계에
도움이 되는가?
2-2. 농식품 분야의 SNS활용 ‘: 도토리속 참나무’의 신선육 마케팅 성공
사례
Chapter 13. 트위터의 가치와 트윗애드온즈 활용방법
13-1. 개인의 동기가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는가?
: 트윗애드온즈 온라인 공동체 비교연구
부록
Appendix A. NodeXL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Appendix B. Webometric Analyst 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분석
Appendix C. 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의 등장이 기존 매체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셜 미디어는 전통적으로 의제 설정의 시작점을 거의 독점해오다시피 했던 신문, 방송, 잡지 등의 배타적 능력을 약화시켰다. 비록 많은 이들이 인터넷상에서 읽은 신문 기사나 방송 취재 내용을 공유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 예컨대 최근 이집트 등지에서 일어났던 민주화 움직임 등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 자생적으로 조직된 (self-organizing) 측면이 컸다. 더욱 명확한 사례로는, 지난 2008년에 있었던 반(反) 콜롬비아 반군 시위 (Anti-FARC rallies)를 들 수 있다. 콜럼비아에 사는 한 엔지니어가 올린 글이 페이스북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급기야 전 세계 90여개 도시 (추정)에서 2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콜럼비아 반군의 비인도적 처사를 비판하는 가두 시위를 벌이게 되었다. 백여 년 전, 미국의 극우 성향 신문들이 국가간 전쟁을 촉발한 사례15와 비교해본다면, 과거 신문 매체가 했던 사회동원적(mobilizing)기능을 이제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16
그러나, 2008년의 사례에서도 BBC와 같은 글로벌 미디어가 페이스북에서의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보도해주지 않았더라면 그 엔지니어의 페이스북 포스팅은 상당히 제한적인 영향력을 가졌을 수도 있다. 온라인에서 발원한 어젠다를 오프라인의 전통 매체가 받아서 적극적으로 취재, 보도함으로써 콜럼비아 반군의 비인도성에 대한 공분을 자아낸 것이 결국 대형 시위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전통 매체와 소셜미디어는 상호 의존적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의 역할을 대체 내지 지원, 보조할 수 있는 것이 현재의 미디어 지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