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88975815195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16-03-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퇴계 독서법, 왜 활간活看인가?
‘동태적인 理’를 활간活看의 개념으로 택한 까닭
퇴계 독서법에서 활간이 지니는 비중
활간독서법의 의리학적 측면과 그 역사적 의의
활간독서법, 현대인에게 무엇을 시사하는가?
제2장 활간독서법의 선하先河,『주자어류』〈독서법〉
I. 주자朱子의 활간론活看論
‘활간’의 개념과 원칙
활간의 형식과 내용, 그 지향점
활간독서법의 성리학적 의의
Ⅱ. 주자 독서법의 구성주의적 시각
〈독서법〉의 인식 층위
층위 이동의 구성주의적 성격
〈독서법〉의 구성주의가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
제3장 퇴계의 전통 독서법 인식과 활간독서법
I. 전통 독서법에 대한 퇴계의 인식
성리학 근거의 독서이론화
주자 성리학적 독서법의 계승과 확장
퇴계 전통 독서법 인식의 사상사적 위상
Ⅱ. 활간독서법의 근거, 목표, 양상
근거
목표
양상
제4장 퇴계 활간독서법의 지향과 미학
I. 지향
天과 人의 合一
우주의 자아화, 자아의 우주화
Ⅱ. 미학
‘生意’ 사상의 구현
‘樂’의 심미체계
제5장 퇴계 활간독서법의 확장 가능성
I. 인성교육 방법론의 측면
활간독서법에 나타난 인성론
인성교육의 창의적 발현 양태
인성교육 방법론으로 본 퇴계 활간독서법의 방향
Ⅱ. 독서병통 치료방법론의 측면
독서병통의 증세와 원인
독서병통의 치료방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活看’은 만상의 理法을 생생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인식 방법이다. 인식 방법으로서의 활간은 두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정태적인 이법을 생생하게 파악한다는 의미와 원래부터 동태적 이었던 이법을 생생하게 파악한다는 의미가 그것이다. 전자는 정태적인 理를 ‘멈추어 있는 그대로’ 포착해내고자 하고, 후자는 동태적인 理를 ‘움직이는 그대로’ 포착해 내고자 한다. 전자와 후자는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 전자와 후자가 모두 ‘있는 그대로’를 자세하게 포착하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같고, 전자는 이법을 정태적으로 파악하고 후자는 이법을 동태적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퇴계는 후자 쪽을 定論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