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회화 특강

중국회화 특강

(대표적인 작품으로 본 중국회화사)

김남희 (지은이)
계명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4,9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회화 특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회화 특강 (대표적인 작품으로 본 중국회화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75856686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14-03-14

책 소개

대표적인 작품으로 본 중국회화사.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대표적인 작품을 중심으로 중국 회화사를 재미있게 들려준다. 그리고 시대별 중국 회화의 흐름을 짚어주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미술의 대표작을 소개한다.

목차

머리말

제1강 선사시대
1. 회화의 탄생
1)역사를 기록한 회화-「사람 얼굴의 형상을 한 암각화」
2)그릇 속에서 춤추는 물고기―「인면어문도」
3)반인반수를 새긴 솥―「괴문동정」

2.예교의 시대
1)전국시대의 인물화
(1)봉황을 거느린 여성―「용봉사녀도」
(2)용의 배를 타고 가는 남성―「인물어룡도」

2)진·한 대의 인물화
(1)죽음을 애도하는 그림―「대후처묘 정번」
(2)화상전에 나타난 ‘전원일기’―「수렵과 수확장면의 전」
(3)밀담을 주고받는 사람들―「상인방과 박공의 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선사시대

제2강 위지남북조와 수나라
1. 사상의 시대
1)위·진시대
(1)자연에 귀의한 8인의 현자―「죽림칠현과 영계기」
(2)고개지의 독립영화 같은 그림―「여사잠도권」
(3)시의 회화적인 스토리텔링, 고개지―「낙신부도」

2)남조시대
(1)산수화론의 등장

(2)장승요의 산수화―「운산홍수도」
(3)인물화가 육탐미
3)북조시대
(1)종교와 예술
(2)천년의 역사 둔황

2.미술양식의 시대
1)수나라
(1)여백의 미
(2)전자건의 산수화―「유춘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삼국시대

제3강 당나라와 오대
1. 회화 시대
1)인물화
(1)인물화의 달인, 염립본―「보련도」
(2)궁정 여인들의 생활을 그린 장훤―「도련도」
(3)신필의 화가, 오도자―「송자천왕도」 「유마힐경변도」

2)동물화
(1)뒤태가 아름다운 말을 그린 한간―「조야백도」
(2)소의 천성까지 그린 한황―「오우도」

2. 산수화시대
1)채색산수화
(1)수려한 자연과 남루한 피난길―「명황행촉도」
(2)장식화의 대가 이소도―「춘산행려도」

2)수묵산수화
(1)힐링의 전설이 된 왕유―「강산설제도」
(2)시를 품은 은자, 노홍―「초당십지」

3. 오대
1)회화의 발상시대
(1)큰 산수의 물줄기를 연 형호―「설경산수도」
(2)스승과 어깨를 같이 한 관동―「관산행려도」
(3)강남의 경치를 담은 동원―「소상도」

2)인물화와 화조화
(1)연회장면을 재현한 고굉중―「한희재야연도」
(2)조류 그림으로 유명한 황전―「사생진금도」
(3)꽃의 본성까지 그린 서희―「옥당부귀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통일신라시대


제4강 송나라
1. 회화 중심의 북송시대
1) 사실주의
(1)평원의 시각을 창조한 이성―「한림평야도」
(2)화북산수화이룩한 범관 이룩한 범관―「계산행려도」
(3)의경을 표현한 산수화, 곽희―「조춘도」

2) 이상주의
(1)사상으로 충전된 그림, 미불―「춘산서송도」
(2)시 속에 그림이 있는 뜻, 고중상―「후적벽부도」
(3)대나무를 가슴에 새긴 문동―「묵죽도」

3) 자연주의
(1)바람의 노래, 최백―「쌍희도」
(2)예술가의 길을 걸은 휘종―「청금도」

4) 만물 중심주의
(1)말과 대화를 하는 이공린―「오마도」
(2)도시의 풍속을 담은 장택단―「청명상하도」

2. 문인 중심의 남송시대
1)여백의 시대
(1)바람의 화원, 마원―「상경춘행도」
(2)여백의 정점, 하규―「계산청원도」
(3)미가산수를 발전시킨 미우인―「운산도」

2)선종화 시대
(1)침묵과 동행한 양해―「발묵선인도」
(2)서민들을 그린 이숭―「시담영희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고려시대 도자기

제5강 원나라
1. 복고주의 시대
1)문인화의 만개
(1)은둔지 경치에 뜻을 담은 전선―「부옥산거도」
(2)그림 속에 도를 심은 조맹부―「작화 추색도」 「조량도」
(3)서정적인 화풍을 이은 손군택―「누각산수도」

2)자유정신 주의
(1)해학적인 재미를 선사한 공개―「중산출유도」
(2)뿌리 없는 난초의 뜻, 정사초―「묵란도」
(3)순진한 오리, 진림―「계부도」

2. 문인화의 시대
1)은둔주의
(1)그림에 사상을 담은 황공망―「부춘산거도」
(2)청빈한 삶을 산 오진―「동정어은도」
(3)일필의 대가, 예찬―「용슬재도」
(4)세속을 넘겨다본 왕몽―「청변은거도」

2)군자의 길
(1)난초를 사랑한 설창―「난석도」
(2)매화를 찾아 떠난 왕면―「묵매도」
(3)대나무 마니아, 이간―「사계평안도」

3)도석인물화
(1)신선이 된 안휘―「하마선인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고려시대 불화


제6강 명나라
1.중원문화 시대
1)절파 산수
(1)절파의 시조, 대진―「춘유만귀도」
(2)기량이 뛰어난 오위―「어락도」
(3)단막 극화의 연출자, 장로―「어부도」

2)인물화
(1)거리의 화가, 주신―「걸인도」
(2)궁정의 놀이를 그린 구영―「한궁춘효도」
(3)미인도에 뛰어난 당인―「도곡증사도」

3)화조화
(1)일필휘지의 솜씨, 임량―「추응도」
(2)정겨움이 가득한 화조화, 여기―「추로부용도」

2.남종문인화 시대
1)오파 산수
(1)오파의대가, 심주―「여산고도」
(2)대중의 사랑을 받은 문인화가, 문징명―「우여춘수도」
(3)남종화와 북종화를 구분한 동기창―「방고산수첩」
(4)변형 산수화를 시도한 오빈―「두학비천도」

2)변형 인물화
(1)의리를 고수한 진홍수―「화은거십육관책」
(2)유별난 성격의 화가, 최자충―「운림세동도」

3)생각하는 화조화
(1)기교보다 뜻을 앞세운 진순―「화훼책」
(2)아픈만큼 성숙한 그림, 서위―「죽석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조선시대(초기, 중기)

제7강 청나라와 근대
1. 변화의 시대
1) 혁신파
(1)태를 깨는 석도―「여산관폭도」
(2)광기의 화가, 팔대산인―「팔팔조도」

2)정통파
(1)정통파를 이은 왕원기 ―「화산추색도」
(2)남종문인화를 계승한 왕휘 ―「계산홍수도」
(3)화훼로 일기를 표현한 운격―「연화도」

3) 궁정파
(1)서양화가, 낭세령―「백준도」
(2)서양화법에 몰입한 추일계―「춘화도」

2. 개성의 시대
1) 양주파
(1)문학을 겸비한 화암 ―「송서탁율도」
(2)지두화로 유명한 고기패―「고강독립도」
(3)천진무구한 그림의 김농―「불상도」
(4)창조를 위한 파괴, 정섭 ―「난죽석도」
(5)귀신을 그린 화가 나빙―「귀취도」

2) 해상파
(1)도전 정신이 강한 임웅―「자화도」
(2)평범한 소재에 생기를 준 임이―「오창석상」
(3)화조화의 일가를 이룬 오창석―「화훼도」

3. 대중문화의 시대
1) 유학파
(1)중국화를 개혁한 서비홍―「우공이산도」
(2)문인정신이 강한 황빈홍―「산수도」,「산중야행도」

2)개성파
(1)목수에서 대화가로, 제백석―「밤공부」
(2)표현과 발상의 대가, 장대천―「도원도」
(3)인물화의 정수, 장조화―「유민도」

*대표작으로 본 한국미술-조선시대(후기, 말기)와 근대 회화

저자소개

김남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1987) 및 동 대학교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1992)했다. 2009년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조선시대 감로탱화에 나타난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라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계명대학교 계명시민교육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동양화에 있어서의 여백 연구?중국회화의 사상적 배경 고찰을 중심으로」(석사학위, 1991), 「19세기 감로탱화와 풍속화의 비교연구」(2012), 「19세기 풍속화와 우키요에에 나타난 인물상 분석」(2016), 「선사시대 미술에 나타난 기호의 예술적 의미」(2016), 「조선 후기 감로탱화에 나타난 민화적 요소 연구」(2017)가 있다. 그동안 18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지은 책으로 『옛 그림을 본다는 것』(2021, 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21올해의 우수도서), 『야단법석 괘불탱화』(2020, 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20올해의 우수도서, 2021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옛 그림에 기대다』(2019, 2020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 제16회 계명대학교 출판문화상 수상도서), 『극재 예술혼에 취하다』(2018), 『조선시대 감로탱화』(2018, 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18올해의 우수도서), 『일본회화 특강』(2016), 『중국회화 특강』(2014), 『한국미술 특강』(2012)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회화는 그 시대를 대변하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어요. 말하자면 한 시대의 철학과 사상, 문화와 정치, 경제가 집약되어 있는 보물창고와도 같죠. 우리가 그토록 회화를 보고 읽고 연구하는 이유는 바로 ‘한 시대의 문화와 대화’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대가 흘러도 뜻을 표현한 그림은 변하지 않거든요.”


“회화는 간략하던 것에서 정세한 것으로 전환됩니다. 회화의 형식이나 기교면에서도 인도의 불화기법과 간다라미술의 영향을 받아 색채감각과 광선감각에 중점을 두게 되었습니다. 또한 동진(東晋)이 남경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남쪽의 대자연은 화가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어 산수화 시대를 열어 갑니다. 오랫동안 회화에서 부수적인 위치에 놓여 있던 산수는 이 시대에 이르러 주연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당 중엽부터 철학적인 사색과 정신의 내면성을 강조하는 선사상(禪思想)이 발달하여 조용한 묵상을 통한 개인적인 각성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 늘어났어요. 선사상을 이어받은 화가들은 자연 속에서 도를 찾고 은유하면서 그림 그리기를 원했어요. 대표적인 인물이 왕유를 들 수 있습니다. 왕유는 수묵과 엷은 색채로 새롭고 개인주의적인 화풍을 일으켜 청록산수화를 그린 이사훈(李思訓, 651~716)과 좋은 대조를 이루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