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람직한 대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바람직한 대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양해림, 곽현근, 금홍섭, 이갑숙, 안정선, 김제선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람직한 대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람직한 대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5994982
· 쪽수 : 241쪽
· 출판일 : 2014-02-01

책 소개

'시민사회연구 시리즈' 3권. '2013 대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의 바람직한 모델을 위한 심포지움'(2013.11.14)에서 개최한 내용을 주로 모았다.

목차

01 시민사회와 공공성

1. 들어가는 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 15
2. 시민,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18
1) 시민, 시민사회의 성립 18
2) 시민사회 개념의 기원 21
3) 헤겔과 마르크스의 근대 시민사회 23
4) 현대의 시민사회 29
3. 공공성(公共性)으로서의 시민사회 32
4. 의사소통으로서의 시민사회 40
5. 시민사회와 문화 45
6. 맺음 말: 한국 시민사회의 위기와 대안 찾기 47

02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를 통해 본 대전의 환경거버넌스 진단과 제언

1. 대전의 환경운동과 핵 문제 63
2. 핵 문제의 이슈화 66
1) 하나로원자로의 방사능 누출사건과 시민사회의 대응 67
2) 한국원자력연료(주) 핵연료 생산량 250톤-U 증설 계획 71
3) 대덕 원자력시설에 저장된 방사성폐기물 74
3. 환경문제와 거버넌스 76
1) 시민참여의 제도화 77
2) 환경현안과 민관협력 79
4.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의 설치와 환경 거버넌스 83
1)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획정 문제 83
2) 이명박 정부의 원자력진흥정책에 부응한 대전시 88
3) 원안협과 방사능 안전 민관협력 90
5. 대전시 환경거버넌스에 대한 제언 93

03 대전시 거버넌스의 진단과 시민사회의 발전방향

1. 서론 105
2. 현대 도시거버넌스의 의의와 원칙 107
1) 거버넌스의 의의 107
2) ‘좋은 도시거버넌스’의 원칙 109
3) 거버넌스를 위한 시민사회 역량으로서의 사회적 자본 112
3. 대전시 거버넌스의 진단 116
1) 대전시 거버넌스 주체간 신뢰수준 비교 (2009년 설문조사결과 ) 116
2) 대전시민의 사회적 신뢰 및 제도신뢰 비교 (2013년 설문조사결과 ) 124
4. 대전시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시민사회의 발전방향 129
1) 시민사회 발전방향 논의를 위한 기본전제 129
2) 시민사회 기반으로서 지역사회형성 방향 132
3) 시민사회단체의 발전방향 137

04 정책과정에서의 지역NGO와 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 관계 구축에 관한 연구

1. 서론 147
2.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지역NGO와 지방정부의 관계 151
1) 협력적 거버넌스의 주요내용과 특성 151
2) 정책과정에서의 지역NGO와 지방정부의 관계 155
3. 대전지역 NGO의 현황과 특성 159
4. 지역NGO와 지방정부 간 관계평가 및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163
1) 지역NGO와 지방정부 간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163
2) 정책과정에서의 지역NGO의 영향력 분석 164
3) 지역NGO와 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169
5. 결론 175

05 성주류화 실행의 거버넌스 구축 방안

1. 서론 183
2. 성주류화와 젠더거버넌스 184
1) 성주류화: 성별영향분석평가 184
2) 젠더 거버넌스 186
3) 여성정책과 거버넌스 188
3. 성주류화 실행의 제도적 기반 192
1) 법적근거 마련 192
2) 성주류화 관련 교육 192
3) 성과관리 193
4) 인센티브 제공 193
5) 분석평가책임관 193
6) 행정체계 강화 194
7) 성별영향분석평가 센터 강화 196
4. 성주류화 실행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197
1) 기본모형 197
2) 구성요소 : 참여자 198
3) 네트워크형 거버넌스 구축 206
5. 결론 210

06 사회적 경제와 시민사회 성숙을 위한 새로운 모색

1. 사회적경제의 개념과 관심 215
2. 부의 역외 유출과 사회적 경제 220
3. 시민사회에서 논의되는 지역발전패러다임의 전환과 사회적 경제 226
4. 시민사회 안에서 본 지방자치의 새로운 발전담론 : 3분경제론의 모색 231
5. 맺음말 239

저자소개

양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훔볼트(Humboldt)대학교 철학과에서 “빌헬름 딜타이의 사회철학: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20년 대전광역시장 인권상” “2022년 대한민국 인권상(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받았다. 지은 책 『딜타이와 해석학적 사회체계』(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2), 『인권과 사회-개정판』(2021),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개정4판』(2020),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사유읽기-개정증보판-』(2020), 『철학자의 시사산책』(2019), 『시사프리즘, 철학으로 한국사회를 읽다』(2018), 『니체와 그리스 비극』(2017), 『기후변화, 에코(ECO)철학으로 응답하다』(2016),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2014), 『한스 요나스의 환경이야기』(2009), 『자크 라캉의 욕망이야기』(2009),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2008), 『에코·바이오테크시대의 책임윤리-과학기술의 진보와 이성』(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05), 『현상학과의 대화』(2003), 『미의 퓨전시대』(2002) 등 20여 권의 단독 저서 및 『인지인문학-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공저, 2015 세종우수학술도서, 2016),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의 인문학』 등 30여 권의 공저가 있다. 논문 “딜타이의 보편적 교육관 연구”, “니체의 허무주의적 데카당스 불교관”,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양과 서양의 생산양식은 어떻게 이루어졌나-마르크스의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중심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의 소외는 극복될 수 있는가?”,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중심으로-”,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언어”,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학”, “해석학과 사회체계: 딜타이와 루만의 이해개념을 중심으로”, “인권과 민주주의-하버마스의 사실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니체의 몸철학-오해된 몸의 복권-” 등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금홍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참여자시시민연대 정책위원장
펼치기
이갑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시민사회연구소 이사
펼치기
안정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펼치기
김제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시민사회연구소 부소장 / ‘풀뿌리사람들’ 상임이사
펼치기

책속에서

[ 저자서문 ]
거버넌스는 우리말로 공치(共治)·협치(協治)·관치(管治)·협력적 관치 등으로 말할 수 있다. 거버넌스는 다자가 협력적 통치와 관리라는 뜻으로 주로 과정의 의미를 중요시하는 관리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즉 거버넌스라는 개념은 “정부에서 거버넌스(from government to govermance)”라는 표현으로 종종 언급된다. 이러한 의미는 정부의 한계(혹은 국가의 실패)가 대두하면서 등장한 것이다. 21세기 지구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정부의 한계’ 또는 국가의 실패가 나타나면서 사회적 조절이나 국가통치 분야에 시장과 시민사회의 역할자가 정부의 한계를 보완하는 의미로서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 이르렀다.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등장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정보화, 세계화, 민주화, 지방화 등으로 묘사되는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새롭게 등장하는 환경변화에 그동안 지배적으로 작동하던 정부패러다임의 통치시스템이 한계를 초래하게 되어 이를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새로운 통치시스템을 모색하게 되었다. 수정자본주의와 복지국가체제하에서 개별국가들은 정부개입과 시장 메카니즘을 조합하여 통치를 하여 왔다. 20세기말에 대두한 세계화와 정보화 및 민주화에 선후진국의 국가들은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하여 정부실패나 시장실패, 더 나아가서는 국가실패를 경험하게 되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IMF신탁통치를 받았다. 이처럼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모두가 통치시스템의 실패를 경험함으로써 20세기의 지배적 은유였던 ‘정부 패러다임’을 대신하여 ‘거버넌스 패러다임’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