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0319638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4-04-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1. 현대인의 행복이란?
2. 행복의 조건은 무엇일까?
3. 건강한 삶이란?
4. 잘 산다는 것이란?
5.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행복관이란?
6. 인간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미래의 행복을 가져다줄까?
7. 인구감소와 사회갈등은 행복을 저해할까?
제2장 행복한 삶이란 -베스트셀러에서 만나는 행복관
1.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
2.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혜』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
3.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
4.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
5.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
제3장 서양 철학에서 만나는 행복한 삶과 철학
1. 소크라테스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은 덕과 지식을 잘 일치시킬 때 찾아온다
∙마음을 잘 보살피는 것이 곧 행복이다
∙닭 한 마리 진 빚을 갚아주게: 죽은 자를 지하계로 잘 모셔야 행복이 온다
∙행복은 덕과 지식을 잘 일치시킬 때 찾아온다
2. 플라톤의 행복한 삶과 철학: 에로스의 본질을 아는 것이 곧 행복이다
∙에로스의 본질을 아는 것이 곧 행복이다
∙육체적인 욕망을 자제하라
∙사랑의 여신(아프로디테)을 숭배하라
∙아름다운 이데아의 사랑이 행복의 원천이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한 삶과 철학: 잠재적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행복이다
∙행복은 모든 행위의 가장 좋은 목적이다
∙공동체의 사회적 실천에서 행복을 느낀다
∙잠재적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행복이다
4. 에피쿠로스의 행복한 삶과 철학: 정신적 쾌락이 진정한 행복이다
∙정신적 쾌락이 진정한 행복이다
∙고통 없는 쾌락이 진정한 행복이다
∙아타락시아: 마음을 평정하게 다스려라
5. 스토아학파의 행복한 삶과 철학: 자연법칙에 따르는 삶이 진정한 행복이다
∙자연법칙에 따르는 삶이 진정한 행복이다
∙아파테이아: 흔들림 없는 마음을 가져라
6. 디오게네스의 행복한 삶과 철학: 자연적 삶이 행복이다 -개처럼 살라-
∙알렉산더 대왕과의 만남: 햇빛을 가리지 마시오
∙자연적 삶이 행복이다: 개처럼 살라
7. 베이컨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은 지식과 자연을 정복했을 때 얻는 힘이다
∙행복은 지식의 힘에서 나온다
∙지식으로 자연을 정복하라
∙과학기술의 진보가 인간의 행복을 가져다줄까?
∙과학기술로 인한 인간의 자연지배가 행복을 가져다줄까?
8. 칸트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은 선한 의지에서 나온다
∙행복은 선한 의지에서 나온다
∙너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중의 의무가 곧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9. 쇼펜하우어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은 맹목적인 삶의 의지이다
∙행복은 맹목적인 삶의 의지이다
∙행복의 본질은 무엇일까?
10. 니체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은 힘에의 의지이다
∙행복은 힘에의 의지이다
∙행복은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것이다
∙디오니소스적 행복이란 무엇일까?
11. 벤담의 행복한 삶과 철학: 양적인 쾌락에서 행복을 느낀다
∙양적인 쾌락에서 행복을 느낀다
∙파놉티콘: 죄수를 교화시켜 사회적 행복을 찾는다
12. 밀의 행복한 삶과 철학: 질적인 쾌락에서 행복을 느낀다
∙질적인 쾌락에서 행복을 느낀다: 배고픈 소크라테스
13. 마르크스의 행복한 삶과 철학: 노동하는 삶에서 행복을 찾는다
∙사회적 존재의 삶에서 행복을 찾는다
∙노동하는 삶에서 행복을 찾는다
14. 호네트의 행복한 삶과 철학: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은 무엇일까?
∙행복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은 무엇일까?: 인정투쟁
15. 피에르 쌍소의 행복한 삶과 철학: 느리게 사는 삶에서 행복을 찾는다
∙빠르게 산다는 것의 의미
∙느리게 사는 삶에서 행복을 찾는다
미주
더 참조해야 할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