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지인문학

인지인문학

(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

장남호, 양해림, 이형권, 임지원, 정우숙, 김기홍, 권도경, 정귀훈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지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지인문학 (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5995583
· 쪽수 : 281쪽
· 출판일 : 2015-12-01

책 소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지문화연구 시리즈 3권. 이 책에 실린 양해림의 '인지인문학의 역할과 과제'를 제외한 8편의 모든 글들은 그동안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계간 등재지인 「인문학연구」의 '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에 관련된 논문들을 선별하여 수정.보완하여 수록한 것이다.

목차

01 인지문학의 역할과 과제
양해림(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소장/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 인지인문학의 출발점 15
2. 인문학과 인지과학의 만남 18
3. 인지인문학: 융합.통섭 21
4. 인지인문학의 과제 22
5. 맺음말 28

02 메타텍스트의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
-패러디 광고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책략과 관련하여-
임지원(한밭대학교 강사)
1. 머리말 37
2. 메타텍스트에 대한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 이론 38
3. 메타텍스트의 의미 해석과 관련된 수용자의 인지책략 47
4. 수용자의 인지 능력과 패러디 광고텍스트와의 관계 52
5. 맺음말 54

03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hallyu culture) 그리고 그 미래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양해림(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 들어가는 말 61
2. 문화의 교류와 한류의 열풍 64
3. 문화의 자본화 70
4. 문화의 탈상업주의화 75
5. 맺음말: 한류문화의 미래 78

04 매체언어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분석과 해석적 글쓰기의 재생산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엄지원(한밭대학교 강사)
1. 머리말 87
2. 매체언어와 학습자의 인지원리 91
3. 신문광고를 이용한 해석적 사고와 글쓰기 재생산 96
4. 맺음말 108

05 미술관 소재 작품을 통해 본 인지와 성찰의 극작술
-연극 〈도쿄 노트〉와 영화 〈뮤지엄 아워스〉를 중심으로-
정우숙(이화여대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
1. 들어가는 글 115
2. 미술관 내외 공간의 극중 활용 방식을 통한 장르적 특성의 강화 118
3. 직설과 비유, 자기반영적 수단으로서의 화가의 인용 124
4. 일상과 비일상의 접점에 대한 인식으로서의 ‘보기’와 그 행위에 대한 메타적 사유 129
5. 나오는 글 135

06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こ-ろ)』 단상장남호(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1. 들어가며 143
2. 죽음을 통한 유서 145
3. K의 자살 149
4. ‘선생’의 자살 153
5. 나가며 159

07 창의성과 사회적 본성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기홍(한성대학교 외래교수)
1. 들어가는 말 165
2. 창의성에 대한 접근의 일반적 경향 167
3. 창의성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의 발전 : 창의성과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 173
4. 창의성과 인간의 매개로서의 문화 178
5. 나가는 말: 인문학적 함의 183

08 지역 문화예술의 시대적 의미와 비전
-대전의 문화예술의 중심으로-
이형권(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1. 대전의 정체성과 문화예술 189
2. 대전시 문화예술의 현재와 비전 193
3. 문화예술의 메카와 물적 토대 214

09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 방식과 그 의의
권도경(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1. 문제설정의 방향 221
2.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 방식과 그 서사적 유형 224
3.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이 지니는 의미 245
4. 나오는 말 250

10 비체 되기의 즐거움: 『마음의 범죄』
정귀훈(한밭대학교 강사)
Ⅰ. 들어가는 말 257
Ⅱ. 여성의 주체 260
Ⅲ. 비체의 역할 270
Ⅳ. 맺음말 278

저자소개

장남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1년에 태어났다. 2006년 현재 충남대 인문대학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활용일본어>, <일본 근현대 문학 입문>, <나쓰메 소세키의 전기 삼부작 연구>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작은 왕국 외>, <우정>, <사쿠라지마>, <기러기> 등이 있다.
펼치기
양해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베를린 훔볼트(Humboldt)대학교 철학과에서 “빌헬름 딜타이의 사회철학: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20년 대전광역시장 인권상” “2022년 대한민국 인권상(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받았다. 지은 책 『딜타이와 해석학적 사회체계』(202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2), 『인권과 사회-개정판』(2021), 『현대인을 위한 서양철학사-개정4판』(2020),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사유읽기-개정증보판-』(2020), 『철학자의 시사산책』(2019), 『시사프리즘, 철학으로 한국사회를 읽다』(2018), 『니체와 그리스 비극』(2017), 『기후변화, 에코(ECO)철학으로 응답하다』(2016), 『미와 아트, 대중문화와 소통하다』(2014), 『한스 요나스의 환경이야기』(2009), 『자크 라캉의 욕망이야기』(2009), 『21세기 한국사회와 철학』(2008), 『에코·바이오테크시대의 책임윤리-과학기술의 진보와 이성』(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05), 『현상학과의 대화』(2003), 『미의 퓨전시대』(2002) 등 20여 권의 단독 저서 및 『인지인문학-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와 만나다-』(공저, 2015 세종우수학술도서, 2016), 『청소년을 위한 두 글자의 인문학』 등 30여 권의 공저가 있다. 논문 “딜타이의 보편적 교육관 연구”, “니체의 허무주의적 데카당스 불교관”,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에 대한 철학적 성찰”, “피터 싱어의 동물살생에 대한 선호공리주의의 비판적 고찰”, “동양과 서양의 생산양식은 어떻게 이루어졌나-마르크스의 아시아적 생산양식을 중심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공동체주의-도덕성과 인륜성을 중심으로-”,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의 소외는 극복될 수 있는가?”,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해석학-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중심으로-”,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언어”,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학”, “해석학과 사회체계: 딜타이와 루만의 이해개념을 중심으로”, “인권과 민주주의-하버마스의 사실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니체의 몸철학-오해된 몸의 복권-” 등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형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시학회 회장, 문예지 『시작』, 『시와 시학』 편집위원, 저서 『타자들, 에움길에 서다』,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 식민성』, 『발명되는 감각들』, 『공감의 시학』, 『미주 한인 시문학사』 외 다수, 1998년 『현대시』 문학평론 부문 우수작품상, 2010년 편운문학상 문학평론 부문 본상, 2018년 시와 시학 평론가상, 2021년 김준오 시학상 수상.
펼치기
정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
펼치기
김기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외래교수.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며 만화, 애니메이션, 시각예술 관련 다수의 논고와 기고문을 집필하였다. 논문으로는 「몰입에 관한 고찰 - 미메시스 프로시니엄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형 '창조경제' 담론의 논의사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권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양대학교 국문학과 조교수
펼치기
정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밭대학교 강사
펼치기

책속에서

[저자 서문]
인지인문학은 인문학의 다양한 통섭을 통해 실천적 정립에 그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두뇌에 의한 정신활동’이나 ‘신체의 인지기능’에 대한 형이상학적.추상적 논리를 추구하지 않는다. 인지인문학은 자연과학의 경험적이고 구체적인 종래의 논리를 보완하여 인지과학의 학제적 영역으로 확장을 통해 규명해 나가야 할 과제를 갖고 있다. 인지인문학은 주체와 객체, 정신과 물질[몸]의 이분법을 해체하며 <마음=몸+뇌+환경>이라는 등식을 따르는 방법론을 취한다.
향후 인지인문학은 뇌 과학과 연계하여 <인지문화 혹은 마음의 과학>의 인식론적 토대를 정립하여 실천적 토대를 구축해야 하는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문화는 마음과 몸, 인간과 인간 사이, 인간과 사물, 나아가 사물과 사물 사이에서 ‘동시적으로 편재’하며 상호 소통하는 사이[네트워크]의 공간(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창출되는 ‘인간의 자기 활동적 산물’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


현대에 들어 캠벨과 사이먼튼은 이 둘의 설명을 이 둘의 설명을 발전시켜 다윈의 맹목적 변이(blind variation)와 선별적 유지(selective retention) 관점에서 정리한다. 자연계에서 종(species)은 생존에 유리하다는 의미의 전략적 지향성조차 없이 마구잡이식으로 변이해 간다. 그 진행과정에서 적자생존의 법칙을 따라 상당수 도태되고, 그것들 중 환경에 우연히 적응한 개체들만이 선별적으로 유지되며 생존하는 진화법칙을 따르게 된다. 이들의 주장은 창의성 발현의 메커니즘 역시 이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주요한 관심은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random) 아이디어들이 의미 있게 조합되어 창의성으로 발현되는 메커니즘의 추적일 것이다. 사이먼튼과 마틴데일은 이를 완전한 확률게임이라고 주장한다. 글로벌 타이어 기업의 이름으로도 유명한 발명가 찰스 굿이어(Charles Goodyear)가 스토브에 어떤 물질을 우연히 떨어뜨린 것이 계기가 되어 고무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알게 되었듯, 인도를 찾아 떠난 콜럼버스가 북미 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이, 결과론적으로 존중받는 창의성과 새로운 아이디어는 기획단계에서 확정된 목적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시도들 속에서 일어하는 확률에 의존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