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5996054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6-12-26
책 소개
목차
01 알파고와 인지인문학
양해림(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소장/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 인지인문학의 출발점 15
2. 알파고와 인간의 미래 20
3. 인지인문학의 담론 24
4. 맺음말: 인지인문학의 향방 31
02 칸트의 마음에 대한 불교적 해석 -아비담마를 중심으로-
정진우(한국교통대학교 강사)
1. 머리말 37
2. 칸트의 선험철학과 불교의 일체 40
3. 칸트의 마음, 이성과 불교의 마음, 마음부수 43
4. 칸트의 통각(appereption)과 불교의 바왕가(bhava?ga) 56
5. 맺음말 60
03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문화주의적 교점 -달타이(W.Dilthey)와 연관해서
송석랑(목원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1. 프롤로그 65
2. 딜타이의 해석학과 “현상학의 자연화” 68
3.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교점: 문화주의 73
4. 에필로그 85
04 광고언어 수용자의 인지환경과 상호현시성에 대한 실험 화용론적 접근
임지원(한밭대학교 인문사회과학 강의전담 교수)
1. 머리말 95
2. 광고언어와 관련된 의사소통 참여자와 인지적 화용론에 기댄 모델들 97
3. 광고수용자의 인지환경과 상호현시성에 대한 언어적 표현의 의미분석 104
4. 꼬리말 119
05 현대시와 타자의 윤리학
이형권(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1. 타자의 윤리학 125
2. 현대시와 타자의 양상 128
3. 타자의 시학 143
06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공포’의 인지적 연구
박종덕(충남대학교 강사)
1. 서론 149
2. 주체의 눈에 포착된 풍경의 실체 151
3. 전경화한 고독과 방황하는 주체의 ‘쓸쓸함’ 159
4. 1인칭 화자의 호명과 고독한 내면의 고백 167
5. 결론 171
07 구석기시대인의 인지과정과 석기 형태 변이의 형성: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사례
유용옥(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1. 서론 177
2. 석기의 형태 변이 발생 180
3. 임진-한탄강 유역 주먹도끼의 기술적 특징들 187
4. 주먹도끼의 제작 실험과 그 결과 200
5. 외적 조건과 내적 조건 및 석기군의 변이 213
6. 결론 221
08 인지자본주의의 정치사회학: 우리의 일상적 삶을 어떻게 인지할 것인가?
배성인(한신대 교수)
1. 문제제기 233
2. 인지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35
3. 인지자본주의 논쟁 평가 243
4. 인지자본주의보다 자본주의를 올바르게 인지하는 게 중요하다 246
5. 무엇을 할 것인가 251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지인문학은 순수학문과 분과적 틀에 갇힌 기존의 담론을 넘어서, 인간과 삶의 방식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인문학적 전망에 기반을 둔 통합 패러다임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인간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는 것이 바람직한 삶인지, 어떠한 사회구조가 바람직한 삶을 보장해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사유체계를 통해서만 심층적인 논의가 가능하다. 현 세대를 포함하여 미래세대에게 현재보다 나은 인간다운 삶을 누리며, 평화?인권?생태와 같은 인류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과제라는 점이 폭 넓게 논의될 수 있다. 인지인문학은 기본적으로 학제적이고 통섭적일 수 밖에 없다. 지식은 오늘날 정립되어 있는 수많은 대단위, 중단위, 소단위 학문분야들을 관통한다. 다양한 분야들을 관통하는 지식은 그 자체로 학제적, 통섭적, 융복합적 연구 대상인 셈이다. 아울러 오늘날 지식은 학문들, 분과들, 지식생산 단위들의 체계가 만들어내는 소산이라는 점에서 체계적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