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67970831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22-11-15
목차
<윤곤강 문학 연구> 총론 7
1부
박주택 ____ 윤곤강 시의 변모 양상 25
송기한 ____ 윤곤강 시의 리얼리즘의 향방 57
송재일 ____ 윤곤강 초기 시에 나타난 대지적 상상력
-시집 <大地>를 중심으로 115
박진희 ____ 윤곤강 시에 드러난 계몽에 대한 인식과 응전 157
전지윤 ____ 윤곤강 시의 주요 이미지 연구
-시집 <氷華>를 중심으로 189
이재복 ____ 전통의 변주와 감정의 구조
-윤곤강의 <피리>, <살어리>를 중심으로 209
2부
김홍진 ____ 탈주과 귀환
-윤곤강의 시적 여정과 지향점 241
김현정 ____ 윤곤강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275
한상철 ____ 1940년대 초반 윤곤강 시에 나타난 전회(轉回)의 양상
-‘기차’와 ‘길’ 표상을 중심으로 293
이형권 ____ 윤곤강 시와 시론의 상관적 변모 과정 315
김웅기 ____ 1930년대 ‘浪漫同人’으로서 윤곤강 연구
-<子午線>, <詩學>, <新撰詩人集>을 중심으로 343
김태형 ____ 식민치하 “경주”의 허구적 이미지 생성 ․ 반영 양상 고찰
-윤곤강 후기 시론을 중심으로 375
박성준 ____ 윤곤강 시론에 나타난 ‘시인-되기’의 여정 403
저자소개
책속에서
<윤곤강 문학 연구>는 윤곤강의 작품 세계와 문학사적 의의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필 수 있는 연구 주제를 토대로 ‘미완’의 영역을 보충하고자 노력하였다. 본서는 윤곤강과 그의 작품에 대해 논의를 꾸준하게 이어온 연구자들과 새로운 시각으로 윤곤강을 재독해내고자 한 연구자들의 폭넓은 논점을 바탕으로 첫째,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 둘째, 윤곤강 문학의 특성, 셋째, 윤곤강 문학의 장소성, 넷째, 윤곤강의 문학사적 위치라는 네 가지 대주제로 구성되었다. ‘윤곤강 문학 세계의 변모 양상’에서는 제1시집부터 제6시집까지 윤곤강의 시적 태도와 성격이 다채로운 변화를 겪는 바, <大地>에서 <살어리>까지의 통시적 ․ 개별적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윤곤강 시의 시적 변모 양상」은 윤곤강의 생애에 따른 시적 변모를 전체적으로 논구한다. 식민지 근대 현실에서 카프의 각성을 촉구하고, 변화를 모색하고자 했던 윤곤강의 태도는 <大地>에서 봄과 겨울이 혼재하는 갈등의 시원인 대지 공간으로 반영되었다. 이는 겨울-현재의 혹독한 시련을 견디는 온존의 세계이며 ‘생명-미래를 노래하는 낙원의 모상(模像)’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제2시집 <輓歌>는 윤곤강 내면 주체의 기록이었다. ‘기억과 경험’의 무상한 죽음의식을 노래하는 속에서 시인은 ‘죽음’과 ‘애도’의 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그리하여 ‘애도하는 주체로 인해 회복된 공간으로 상정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이렇듯 <輓歌>의 시편이 죽음과 대결하며 고통받는 ‘주체’의 모습을 드러냈다면, 제3시집 <動物詩集>의 시편은 앞선 시편에서의 격정을 동물이라는 대상에 고정시키며 비교적 안정적인 의식을 유지한다. 일종의 알레고리 형식으로서 구성된 <動物詩集>을 통해 윤곤강은 체험과 지각이 ‘주체의 타자화’, 내지는 ‘타자의 주체화’가 되는 공존의 의미를 고찰하게 한다.
-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