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92947992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5-12-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디지털인문학, 인문학의 미래인가?
1부. 디지털인문학, 그 키워드와 지형도
인문학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멀티미디어와 인터넷 월드와이드웹
클라우드 세대와 콘텐츠
디지털 저작권과 지식의 공유
2부. 디지털 기술과 지식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디지털인문학에서 시각화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고찰
인문학에서의 지리적 정보 시스템과 그 활용
“출판” 개념의 확장 관점에서 본 디지털인문학 고찰
사이버 공간과 레비의 집단지성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체감형 전시
디지털과 예술의 만남, 디지털 아트
3부. 디지털인문학의 국내외 연구 동향
일본: 전통문화의 디지털화
중국: 종이 족보에서 디지털 족보로
미국·영국: 사회와 함께 호흡하는 디지털인문학
유럽: 창조산업 구축을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
맺는말: 디지털인문학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
책속에서
이 책에서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보다 충실한 해설서가 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명시적인 정답을 제공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이 단순한 인문학 정보의 디지털화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 디지텉인문학이 기술적인 측면에 얽매여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전체 윤곽과 개별 사례, 그리고 세계 각국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입체적인 조망을 시도한 본서의 의도가 바로 여기에 있다.
_<머리말: 디지털인문학, 인문학의 미래인가?> 중에서
어쩌면 우리가 사는 이 시대가 바로 기존 질서와 신질서, 아날로그적 세계와 디지털적 세계, 전통인문학과 디지털인문학 간에 소용돌이가 일고 있는 시대가 아닌가 싶다. 그런데 주지하듯 소용돌이는 소용돌이로 끝나지 않는다. 소용돌이는 이후 반드시 새로운 흐름을 만든다. 여기에 우리는 희망을 걸어본다. 그 새로운 흐름 속에 악어와 악어새처럼 기존 질서와 신질서, 아날로그적 세계와 디지털적 세계, 전통인문학과 디지털인문학이 상대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고 함께 화합하여 인문학이 인류 공생을 위한 학문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_<맺는말: 디지털인문학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 중에서
디지털인문학은 이런 시대적인 변화를 인식한 국내·외 관련기관에서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이다. 국외에서 디지털인문학이 하나의 담론으로 드러나게 된 것은 미국의 국립인문학 기금 산하에 디지털인문학부(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가 2008년 설치되면서부터이다. 이들은 미국 내 재단은 물론이고 외국 연구기관과도 파트너십을 맺으며 관련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다수의 기관·기업 및 언론매체에서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실 이러한 맥락에도 불구하고 디지털인문학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었다고 보긴 어렵다. 다만 디지털인문학이 단편적인 방법론으로서의 디지털 기술을 논하기 보다는 디지털 사회에서 인문학의 연구주제와 내용, 그 소통의 방법 등 포괄적인 논의를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우리는 디지털인문학을 ‘디지털 사회에서의 인문학’으로 폭넓게 정의내릴 수 있다.
-1부 <디지털인문학, 그 키워드와 지형도> 중에서
주지하다시피, 혁신적인 학문발전은 기술발전과 궤를 같이 해 왔다. 종이의 발명, 인쇄기술의 발명 등이 지식의 생산과 보급, 보전을 통한 연구 심화와 확대재생산에 기여한 바가 사례가 될 것이다. 디지털인문학에 거는 기대의 최고치 역시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이 지렛대 역할을 해 혁신적인 학문발전이 이루어지는 그림일 것이다. 실제, 옹호론자 중에는 이러한 학술발전의 도저한 흐름 속에 디지털인문학을 편입시켜 권위를 부여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2부 <디지털 기술과 지식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