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야모토 무사시 2

미야모토 무사시 2

(불패의 검성, 물의 장)

요시카와 에이지 (지은이), 강성욱 (옮긴이)
문예춘추사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9,9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990원
11,4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4,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야모토 무사시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야모토 무사시 2 (불패의 검성, 물의 장)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외국 역사소설
· ISBN : 978897604211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5-01-20

책 소개

무예 고수들과의 60여 차례 대결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던 일본의 전설적인 무사 '미야모토 무사시'의 삶을 다룬 장편소설. 일본의 국민작가 요시카와 에이지의 작품 중에서도 손꼽히는 걸작인 <미야모토 무사시>는 일본에서 2,000만 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러 만화 <배가본드>의 원작이다.

목차

봄날의 꿈/ 제자 아오키 죠타로/ 또 다른 연정/ 길 위의 여인/ 오장원의 니칸/ 음모/ 한냐 들판/ 우물 안 개구리/ 작약의 사자/ 네 명의 수제자/ 원좌/ 선전포고/ 사 대 일/ 일편단심/ 여인의 길/ 후시미 성의 노랫소리/ 비전 목록

저자소개

요시카와 에이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92년 가나가와 현神奈川県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히데쓰구英次. 일본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며, 주요 작품으로는 《삼국지三國志》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蔵》 《신新 헤이케 이야기平家物語》 등이 있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소학교를 중퇴하고 생업을 위해 직공과 기자 생활을 하면서도 독학으로 문학 공부를 계속하던 중, 1926년 《나루토 비첩鳴門秘帖》을 통해 일약 인기 작가로 떠올랐다. 1935년부터 〈아사히신문〉에 《미야모토 무사시》를 연재하기 시작했으며, 1939년 연재를 마치고 한 달 후부터는 중일전쟁의 마이니치 신문사 특파원으로 종군하면서도 《삼국지》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1962년 암이 악화되어 향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그가 남긴 작품은 200편이 넘고, 사후 그의 이름을 딴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상’과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 ‘요시카와 에이지 문화상’ 등이 제정되었다. 〈아사히신문〉에서는 지난 1000년간 일본 최고의 문인으로 그를 선정하기도 했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와 고난 분산湖南文山의 《통속삼국지》 등을 저본으로 삼아 저자가 새로 이야기를 덧붙이고 해설을 가미하여 평역한 요시카와 에이지의 《삼국지》는 1940년에 단행본으로 처음 출간된 이후 현재까지도 일본 《삼국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작품이 요시카와 에이지 판본의 《삼국지》에 영향을 받았는데 20세기에는 대부분 모종강본 아니면 요시카와 에이지의 판본을 저본으로 삼아 재창작된 작품만 나올 정도였으며 정비석의 《삼국지》와 고우영의 《만화 삼국지》가 대표적이다.
펼치기
강성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잡지사 기자를 거쳐 출판사에서 근무하였으며 현재는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요시카와 에이지의 『삼국지』·『전국지』·『미야모토 무사시』, 『도련님』, 『일본의 문학상이 된 작가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곤은 노승의 주의를 듣고는 창을 든 손을 내렸다. 하지만 무사시의 시선과 마주치는 순간, 그는 노승의 말을 잊어버린 듯 소리쳤다.
“무슨 소리!”
아곤은 창가에서 사라진 노승을 무시하며 다시 창을 고쳐 잡았다. 그런 그에게 무사시가 확인하듯 말했다.
“준비되셨는지요?”
무사시의 말은 아곤의 화를 부채질하기에 충분했다. 아곤은 왼손 깊숙이 창을 부여잡더니 마루를 박차며 공중으로 몸을 날렸다. 강철같이 무거운 근육을 지닌 그의 발이 지면에 떠 있는 듯하여 흡사 물결치는 강물 속의 달처럼 불안정해 보였다. 반면에 무사시는 그 자리에 그대로 서 있는 듯했다. 목검을 일직선으로 잡고 있는 모습 외에 별로 특별할 게 없는 자세였다. 오히려 육 척에 가까운 키 때문에 멍청해 보이기까지 했다. 근육도 아곤처럼 울퉁불퉁하지 않았다. 단지 새처럼 부리부리한 눈을 하고 있었다. 눈동자는 지나치게 검지도 않았고 그 속에 피가 스며든 것처럼 호박색을 띠며 투명했다.
아곤은 움찔하며 고개를 저었다. 이마를 타고 흘러내리는 땀방울을 떨쳐 내려고 한 것인지, 귓가에 맴도는 노승의 말을 떨쳐 내려 한 것인지 분명치 않았다. 하지만 그는 초조해하고 있었다. 아곤은 계속해서 위치를 바꿨다. 움직임이 전혀 없는 상대를 끌어들이기 위해 계속 도발하면서 허점을 노렸다.
돌연 아곤이 창을 찌르며 들어간 순간, 고함 소리가 도장 안에 울려 퍼졌다. 무사시는 이미 목검을 높이 쳐들고 옆으로 비켜서 있었다.
“어떻게 된 거야?”
아곤의 주위로 우르르 몰려든 중들의 얼굴이 새파래졌다. 아곤이 내던진 창을 밟고 넘어지는 자가 있을 정도로 그들은 당황해하며 소리쳤다.
“약탕, 약탕을 가지고 와라!”
창가에서 모습을 감췄던 노승이 문으로 돌아 들어오는 사이에 일이 벌어지고만 것이다. 못마땅한 표정으로 지켜보던 노승이 허둥지둥 달려가는 자들을 말리면서 말했다.
“약탕도 소용없다. 그걸로 소생할 정도라면 애초에 말리지도 않았을 게다. 바보 같으니라고.”


무사시에게로 바싹 붙어 서서 그의 안색을 살피는 단바치의 표정이 다소 굳어졌다. 무사시는 손가락으로 연기를 가리키며 말했다.
“아무래도 저 연기에 요기妖氣가 서려 있는 듯하오. 귀공의 눈에는 어떻게 보이시오?”
“요기라니요?”
“가령.”
무사시는 연기가 나는 곳을 가리켰던 손가락으로 단바치의 얼굴을 가리켰다.
“그대의 눈동자에 서려 있는 것처럼 말이오!”
“옛?”
“보여 주마. 이것이다!”
돌연, 봄날 들판의 화창한 정적을 깨뜨리며 괴상한 비명 소리가 울리더니 단바치 몸과 무사시의 몸이 서로 튕기듯 뒤로 물러섰다. 그때, 어디에선가 ‘앗’ 하고 놀라는 자가 있었다. 그것은 무사시와 단바치가 넘어온 고개 위에서 몰래 지켜보고 있던 다른 두 사람이었다.
“당했다!”
그들은 큰 소리를 지르더니 손을 내저으며 어디론가 달려갔다. 무사시의 손에는 낮게 잡은 칼이 햇빛을 받아 반짝반짝 빛나고 있었다. 그리고 튕기듯 쓰러진 단바치는 더 이상 일어나지 않았다. 무사시는 피가 뚝뚝 떨어지는 칼을 아래로 내려뜨리고 들에 핀 꽃을 밟으면서 모닥불 연기가 피어오르는 다음 언덕을 향해서 조용히 걸어가기 시작했다.
여인의 손이 어루만지듯 봄의 미풍이 머릿결을 쓰다듬듯 불어왔다. 그러나 무사시는 머리카락이 곤두서는 느낌이 들었다. 한 걸음, 한 걸음 걸을 때마다 몸의 근육이 강철처럼 굳어졌다. 언덕에 서서 아래를 보니 완만한 들판에 있는 못이 내려다보였다. 모닥불은 그곳에서 피어오르고 있었다.
“왔다.”
그렇게 외친 것은 모닥불을 둘러싸고 있던 사람들이 아니라 무사시와 멀리 떨어져 우회해서 달려온 두 사내였다. 방금 무사시의 단칼에 쓰러져 죽은 단바치와 한패인 야스카와 야스베에와 오토모 반류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만한 거리였다.
“뭐, 왔어?”
모닥불 주위에 있던 자들은 앵무새처럼 똑같이 외치며 일제히 땅을 박차고 일어섰다. 모닥불에서 떨어져 양지쪽에 모여 있던 자들도 일제히 일어났다.


야규 성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겠다는 말은 다소 과장된 듯이 느껴졌지만 무사시가 지금 자신의 결의를 표현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는 말이었다. 단순히 실력이나 겨루는 시합이 아니었다. 무사시는 그런 어중간한 시합을 원하는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것은 결투였고 어디까지나 전쟁이었다. 자신의 총력을 걸고 운명을 결정하는 승패에 임하는 이상, 형식은 다를지라도 그의 심정은 대전大戰을 치를 때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었다. 단지 삼군三軍을 움직이는 것과 자신의 모든 지식과 힘을 움직이는 것의 차이만이 있을 뿐이었다. 한 사람과 한 성 간의 전쟁이었다. 땅을 굳게 밟고 서 있는 무사시의 뒤꿈치에 그러한 강한 의지가 담겨 있었다.
무사시의 입에서 전쟁이라는 말을 들은 네 제자는 그가 제정신인지 의심이 들어 그의 눈을 들여다보았다. 그들이 그렇게 의심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었다.
“재미있군. 좋다.”
기무라가 흔쾌히 말하며 신고 있던 신발을 벗어 던지고는 아래옷을
걷어 올렸다.
“전쟁이라니 재미있군. 진중의 북과 종이 울리지는 않지만 그런 마음으로 받아 주겠다. 여보게들, 그놈을 내게로 밀어 주시게.”
기무라는 전부터 무사시를 치고 싶은 마음을 꾹 참아 오던 터였다.
‘이제 더 이상 말은 필요 없지 않은가?’
네 제자는 서로 눈으로 이야기를 끝냈다는 듯 외쳤다.
“알았네. 마음대로 하게.”
두 사람이 양쪽에서 잡고 있던 무사시의 팔을 동시에 놓으며 등을 떠밀자 육 척에 가까운 무사시의 몸이 기무라 앞으로 비칠거리며 네다섯 발자국 정도 떠밀려 갔다. 기무라는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 슬쩍 한 발 뒤로 물러섰다. 그는 떠밀려 오는 무사시의 몸과 자신의 팔과의 거리를 가늠하며 물러섰던 것이다.
“꿀꺽.”
기무라는 어금니 안쪽으로 숨을 죽이며 오른팔을 얼굴 위로 들어올렸다. 그리고 비칠거리며 다가온 무사시의 그림자를 향해 칼을 내리쳤다. 후드득하며 칼이 울었다. 기무라의 칼이 신력神力을 발하듯 장연한 울림을 토해 냈다. 그와 동시에 ‘앗’ 하는 소리가 들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