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301
· 쪽수 : 499쪽
· 출판일 : 2013-02-15
목차
제 1 편 현대 행정관리의 이해
제1장 현대 행정관리의 의의와 접근법 21
제1절 행정관리의 의의 21
1. 행정과 관리/21
2. 조직과 관리/23
3. 관리의 다의성/24
제2절 관리접근법의 전개 27
1. 관리에 대한 접근법/27
2. 세 가지 접근법의 통합 시도/29
제3절 현대 행정관리의 방향 30
1. 행정관리 중심 가치의 변화/30
2. 쇄신적 행정관리의 요청/32
제2장 행정관리의 혁신 33
제1절 신공공관리와 행정관리 혁신 33
1. 신공공관리의 의의/33
2. 신공공관리와 신관리주의/34
3. 신공공관리의 지향/36
4. 신공공관리의 개혁 수단과 행정개혁/39
제2절 뉴거버넌스와 행정관리 혁신 45
1. 뉴거버넌스론의 대두/45
2. 뉴거버넌스의 개념/45
3. 뉴거버넌스의 유형과 행정관리 혁신/47
제3절 신공공서비스론과 행정관리 혁신 50
1. 신공공서비스론의 대두/50
2. 신공공서비스론과 신공공관리론의 비교/51
제4절 행정 패러다임 변화와 행정관리 53
1. 행정환경과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53
2. 개방적 행정관리의 추구/54
제 2 편 운용과정관리
제3장 목표관리(MBO) 59
제1절 MBO의 의의 59
1. MBO의 개념/59
2. MBO의 기본 구성 요소/60
3. MBO의 성격/62
제2절 MBO의 절차 65
제3절 MBO의 장점과 문제점 67
1. MBO의 장점/67
2. MBO의 문제점/68
제4절 MBO의 성공적 운영 조건 69
1. 도입 과정상의 문제점/69
2. 성공적 운영 조건/70
제4장 기획 71
제1절 기획의 의의 71
1. 기획의 개념과 효용성/71
2. 기획의 필요성/73
3. 기획의 유형/74
제2절 기획 과정과 효과적 기획의 원칙 79
1. 기획 과정/79
2. 효과적 기획의 원칙/83
제3절 기획의 한계와 수정 전략 86
1. 기획 과정상의 한계점/86
2. 행정상의 저해 요인/88
3. 기획의 수정 전략/89
4. 계획집행의 접근법/91
제5장 관리통제 및 조정 93
제1절 관리통제의 의의 93
1. 관리통제의 개념/93
2. 진행 과정상의 통제/94
3. 사이버네틱 시스템으로서의 통제/96
제2절 관리통제의 원칙 97
1. 목표와 성격의 관점에서의 통제 원칙/97
2. 구조적 관점에서의 통제 원칙/98
3. 절차적 관점에서의 통제 원칙/99
제3절 관리통제의 절차 100
1. 통제 기준 설정의 단계/100
2. 현상 파악의 단계/102
3. 비교 검토와 평가 단계/104
4. 시정조치의 단계/105
제4절 행정관리와 조정 107
1. 조정의 의의와 기능/107
2. 조정의 유형 및 원칙/109
3. 조정의 과정/110
4. 조정의 방법/111
5. 조정의 저해 요인/114
제 3 편 행태관리
제6장 리더십 119
제1절 리더십의 의의 119
1. 리더십의 개념/119
2. 리더십이론의 변천과 평가/120
제2절 리더십의 차원 분류 123
1. 리더십의 일차원적 유형/123
2. 리더십의 이차원적 유형/125
제3절 리더십의 상황이론 129
1. 피들러의 상황이론/129
2. 경로-목표이론/131
3. 허시와 블랜차드의 성장순기론/134
4. 리더십의 규범이론/136
5. 수직쌍 연결모형과 리더-구성원 교환모형/142
6. 리더십 대체물 접근법/144
제4절 리더십이론의 새로운 경향 146
1. 카리스마적 리더십/146
2. 변혁적 리더십/149
3. 서번트 리더십과 자기희생적 리더십/151
4. 셀프 리더십/153
5. 팔로어십 이론/154
제7장 의사결정 156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156
1. 의사결정의 개념/156
2. 의사결정의 구성 변수/157
3. 의사결정의 과정/158
4. 합리적 의사결정의 제약 요인/159
제2절 의사결정의 유형 160
1. 가치 결정과 사실 결정/160
2. 정형적 의사결정과 비정형적 의사결정/161
3. 개인적 의사결정과 집단적 의사결정/161
제3절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162
1. 합리모형/163
2. 만족모형/163
3. 연합모형/164
4. 점증모형/166
5. 혼합주사모형/166
6. 최적모형/167
7. 쓰레기통모형/168
8. 공공선택모형/169
제4절 집단 의사결정의 기법 170
1. 집단 의사결정의 기법/170
2. 집단 의사결정의 장단점/174
제8장 동기부여 176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 176
1. 동기부여의 개념/176
2. 조직의 동기부여 과정/177
제2절 동기부여의 내용이론 178
1. 머슬로의 욕구 5단계이론/179
2. 앨더퍼의 ERG이론/182
3.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184
4. 맥클랜드의 성취동기이론/187
제3절 동기부여의 과정이론 188
1. 브룸의 기대이론/188
2. 포터와 롤러의 기대이론/190
3. 애덤스의 공정성이론/191
제4절 인간관과 관리전략 193
1. 맥그리거의 X.Y이론/193
2. 아지리스의 미성숙.성숙이론/196
3. 리커트의 관리체제론/198
4. 셰인의 인간관과 관리전략/200
제9장 커뮤니케이션관리 205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적 접근 205
1.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중요성/205
2. 커뮤니케이션의 기능/206
3. 커뮤니케이션의 과정모형/207
4.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210
5.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211
6. 메타커뮤니케이션/214
제2절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효율화 215
1.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215
2.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와 극복/218
제3절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223
1. 네트워크의 중요성과 연관성 개념/223
2. 네트워크 연구의 두 가지 유형/224
제4절 커뮤니케이션과 PR 229
1. PR의 의의/229
2. PR의 과정과 원칙/230
3. PR의 한계와 효과적 PR 방안/232
제10장 갈등관리 235
제1절 갈등의 의의 235
제2절 갈등의 기능 237
1. 갈등관의 변천/237
2. 갈등의 기능: 양면성적 이해/239
제3절 갈등의 유형 240
1. 개인적 갈등/241
2. 개인 간 갈등의 유형/244
3. 집단 및 조직적 갈등의 유형/247
제4절 갈등 상황 247
1. 개인적인 차이/248
2. 조직구조상의 갈등 요인/249
3. 의사소통상의 갈등 요인/252
제5절 갈등의 관리 방안 253
1. 갈등의 예방 전략/253
2. 갈등의 해소 전략/253
3. 갈등 조장 전략/261
4. 상황적합적 갈등관리의 요청/262
제 4 편 수요와 성과관리
제11장 행정수요관리 267
제1절 행정 수요의 의의 267
1. 행정 수요의 개념/267
2. 행정 수요의 유형/269
제2절 행정 수요의 예측과 측정 271
1. 행정 수요의 변동과 예측/272
2. 행정 수요의 측정/273
제3절 행정 수요의 관리 방안 275
1. 행정의 적정 책임 영역/275
2. 행정 수요의 관리 방안/277
제4절 행정수요관리의 발전 방향 280
제12장 고객만족 및 품질관리 282
제1절 고객만족관리의 개념과 영역 282
제2절 고객수요분석 283
1. 고객수요분석의 의의와 목적/283
2. 고객수요분석의 범위와 내용/283
제3절 고객만족도분석 285
1. 고객만족도분석의 의의와 단계/285
2. 고객만족도 조사 방법과 단계/285
제4절 품질관리를 위한 TQM 287
1. TQM의 의의/287
2. TQM의 3대 핵심 지주/288
제5절 품질관리와 말콤 볼드리지 모형 290
1. 말콤 볼드리지 모형의 특징 및 적용 방법/290
2. 평가 지표/293
3. 공공조직에의 적용/296
제6절 행정 부문에의 TQM 적용 299
1. 행정 부문에의 TQM 도입의 한계/299
2. TQM 실시의 정당성/302
3. TQM의 실행 전략/303
4. TQM의 적용 방안/303
제13장 참여관리 310
제1절 참여관리의 의의 310
제2절 참여관리의 기본 전제 조건 311
제3절 내부 참여관리의 이점과 방법 312
1. 참여의 이점/312
2. 능률성과 참여/314
3. 참여관리의 방법/314
제4절 대외적 참여: 주민 참여 318
1. 주민 참여의 의의/318
2. 주민 참여의 필요성/322
3. 우리나라의 주민참여 제도/323
4. 한국 주민 참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329
제14장 지식관리 334
제1절 지식관리의 의의 334
1. 지식관리의 개념/334
2. 지식의 유형/335
제2절 지식관리의 실천 과정 339
1. 지식관리의 일반적 과정/339
2. 지식관리의 실패 요인/341
제3절 공공 부문에서의 지식관리 체제 수립 343
1. 인적 측면/343
2. 조직적 측면/344
3. 정보 체제적 측면/346
제15장 성과관리 348
제1절 성과관리의 의의 348
1. 성과관리의 개념/349
2. 국가별 적용 현황/351
3. 목표관리와 성과관리의 비교/353
제2절 성과관리의 접근 방식 355
1. 성과계약/356
2. 성과측정/357
제3절 성과측정의 한계와 지침 362
1. 성과측정의 문제점/362
2. 성공적 성과측정을 위한 지침/364
제4절 성과관리와 BSC 366
1. BSC의 의의와 관점/366
2. BSC의 구축 및 운영/368
3. BSC의 공공 부문 도입/369
제5절 성과관리의 적용 방향 370
제 5 편 변화와 혁신관리
제16장 변화관리 375
제1절 조직 변화의 의의 375
1. 조직 변화의 개념/375
2. 조직 변화의 특징/376
3. 조직 변화의 유형/377
4. 조직변화이론의 전개/378
제2절 조직 변화의 접근법 379
1. 구조적 접근법/379
2. 관리.기술적 접근법/380
3. 행태적 접근법/381
제3절 조직 변화의 단계와 담당자 383
1. 조직 변화의 단계/383
2. 조직 변화의 담당자/384
제4절 변화의 성공 요소와 변화전략의 결정 385
1. 변화의 성공 요소/385
2. 변화전략의 결정/386
제5절 변화에 대한 저항 원인과 대응 전략 387
1. 저항의 원인/387
2. 저항의 대응 전략/388
3. 저항의 극복 방안/389
4. 변화의 사후관리/391
제17장 위기관리 393
제1절 위기관리의 의의 393
1. 위기의 개념/394
2. 위기의 원인/394
제2절 위기관리의 변수와 지침 395
1. 위기관리의 변수/395
2. 위기관리조직/396
3. 위기 발생 초기의 지침/397
제3절 위기관리의 단계 399
1. 제1 단계: 위기의 예방/399
2. 제2 단계: 위기관리 준비/400
3. 제3 단계: 위기의 인지/400
4. 제4 단계: 위기의 수습/401
5. 제5 단계: 위기의 해결/401
6. 제6 단계: 위기로부터의 이익 창출/401
제4절 위기관리와 쇠퇴관리 402
1. 쇠퇴관리의 의의/402
2. 쇠퇴의 원인/403
3. 조직 쇠퇴의 유형/404
4. 쇠퇴에 대한 관리자의 반응/406
제18장 감축관리 408
제1절 감축관리의 의의 408
1. 감축관리의 의의/408
2. 감축관리의 개념/410
제2절 감축관리의 원인과 한계 411
1. 감축관리의 원인/411
2. 감축관리의 한계/415
제3절 감축관리의 전략과 방법 417
1. 감축관리의 방향/417
2. 감축관리의 전략/418
3. 감축관리의 방법/420
제19장 전략관리 427
제1절 전략관리와 전략의 의의 427
1. 전략관리의 개념/427
2. 전략과 전략 유형/429
제2절 전략 형성의 전제로서 환경분석 432
1. 포트폴리오 분석/432
2. SWOT 분석/435
제3절 전략관리의 과정 438
1. 전략적 프로그램화로서 계획 수립/438
2. 전략관리의 단계/439
제4절 행정 부문에서 전략관리의 적용 444
1. 전략관리의 제약 요인/444
2. 전략관리의 이점과 비판/446
3. 전략관리의 확산과 적용/448
제20장 경쟁력관리 451
제1절 국가경쟁력의 의의와 원천 451
1. 국가경쟁력의 의의/451
2. 국가경쟁력의 창출 원천/453
제2절 경쟁력의 이론모형과 측정 방법 454
1. 국가경쟁력의 이론모형/454
2. 국가경쟁력의 측정 방법/459
제3절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 460
1. 행정개혁의 추진/461
2. 정부혁신의 공통적 방향/462
3. 국가경쟁력 강화의 실천적 방안/466
참고 문헌/469
찾아보기/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