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76463265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5-02-02
책 소개
목차
제1장 오미마을 허백당종가의 성립과 발전
1. 오미마을의 터전과 풍산김씨 / 2. 허백당종가이자 유연당종가
제2장 허백당 김양진과 그 후예들의 삶과 의식
1. 허백당 김양진의 청백정신 / 2. 가학을 계승한 허백당의 아들과 손자 / 3. 유연당 김대현의 자녀교육과 구국활동 / 4. 유연당 아들 8형제의 ‘팔련오계’ 경사 / 5. 죽봉 김간의 무신란 창의 / 6. 노봉 김정의 오록 개기와 흥학 / 7. 민족운동에 몸 바친 후예들 / 8. 문중의 과거급제자와 문행
제3장 종가와 문중을 대변하는 주요 건축
1. 허백당종택의 역사와 공간구성 / 2. 대지재사의 구성과 허백당 사당 / 3. 숭조의식이 담긴 추원사와 도림강당 / 4. 유연당의 정취 어린 죽암서실 / 5. 3대에 걸쳐 완공한 영감댁 / 6. 죽봉종택(모죽헌) / 7. 학암고택(참봉댁)
제4장 조상을 받들고 후손을 결속하는 제례와 행사
1. 허백당 김양진 불천위 제사 / 2. 유연당 김대현 불천위 제사 / 3. 9부자를 모신 추원사 향사 / 4. 문중유물 전시회 개최
제5장 문집과 전적, 유물의 세계
1. 허백당 후예들의 가학과 문집 / 2. 『세전서화첩』에 담긴 숭조의식 / 3. 유물이 말하는 허백당 문중
제6장 종손과 종부, 그리고 허백당 문중의 미래
1. 허백당종가의 종손과 종부 / 2. 허백당종가의 가르침 / 3. ‘의義’로 행동하고 ‘정情’을 실천하는 종가 / 4. 변화를 모색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종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풍산김씨 허백당종가는 조선 중종 때 청백리로 녹선된 김양진의 종가이다. 허백당은 혼란한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내직을 맡아서는 “인재를 등용하고 덕치를 하도록” 상소를 올려 올곧은 정치를 하려 하였고, 외직으로 나가서는 자신의 녹봉을 털어 가난한 백성을 구휼하거나 세금을 경감하는 등 여러 고을에서 감동적인 선정을 베풀었다.
허백당종가는 또한 유연당종가이다. 한 종가에 두 분의 조상이 불천위로 모셔지기 때문이다. 유연당은 허백당의 장증손자 김대현이다. 유연당은 임란 때 구국활동에 앞장서서 수많은 난민을 구제하는 민본주의적 공을 세웠다. 또한 자녀들을 잘 가르쳐서 풍산김씨를 명문가로 도약하게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었다. 여덟 아들이 모두 소과에 급제하였고, 그 가운데 다섯 아들이 다시 문과에 급제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인조 임금은 ‘팔련오계’의 아름다움을 이루었다 하여 마을 이름을 오미동으로 부르라고 하였다. 지금 오미동은 바로 인조가 하사한 그 이름이다. 유연당의 여덟 아들은 풍산김씨 허백당문중을 크게 번창하게 하였다.
- 지은이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