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76682574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0-10-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제2장 영조대의 정국 변동과 신임의리ㆍ임오의리
1.신유년〈대훈(大訓)의 수정과 신임의리(辛壬義理)확정
2. '영조의 임오의리' 설정과 세손 종통확정
3. 북당. 남당의 대결 정국과 세손의 대처
제3장 정조대 전반 대의리와〈명의록〉의리에 기반한 탕평
1, 대의리(大義理)준수와〈명의록〉의리 확립
2. 〈명의록〉의리에 기반한 탕평과 정국동향
제4장 정조대 후반 턴하공공 대의리와 통합 군신의리
1. 탕평 규모 확대와'정조의 임오의리' 확정
2. 천하공공(天下公共)대의리와 선세자 추숭
3. 갑자년 상왕 구상과 통합 군신의리
제5장 결론
〈부표〉영조~정조대 제 정파의 주요 인물과 의리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선 중·후기 정치사 연구는 당파성론이나 당쟁사에 입각한 부정적 인식을 비판·극복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지금까지 정국운영, 정치세력, 정치제도, 주요 정책노선, 정치이념 등 제 부면에서 많은 성과를 축적했다. 특히 붕당정치론(朋黨政治論)은 조선시기 정치를 대립으로 점철된 당파성의 산물이 아니라, 붕당간 견제와 균형을 바탕으로 도덕적 이상에 충만한 사림 주도의 개혁 정치 영역이 실재했음을 입증함으로써, 조선시기 정치사에 대한 인식의 틀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놓는데 기여했다. 붕당정치를 15세기의 훈척정치(勳戚政治)와 구별되는 사림정치(士林政治)의 전형으로 파악하는 붕당정치론의 시각은 광범한 동의를 얻었다. 조선시대 정치사의 흐름을 훈척정치-붕당정치-환국정치-탕평정치의 단계를설정하면서 붕당정치를 사림정치의 일환으로 연구하는 시각은 통설이 되었고,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사 역시 충실하게 정리되어 있다.붕당정치는 주자 성리학에 입각한 전형적인 신권(臣權) 위주의 국정운영인데, 이것이 환국에 의한 상호 살육과 배제로 파탄나고 왕권(王權) 위주의 정국운영인 탕평정치가 시행되었다는 시각에서 조선 정치사의 큰 흐름은 정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