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76826817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1부. 전통, 근대, 탈근대 11
장자의 탈주 윤지산 ..... 13
기독교와 타자-되기의 윤리 한정헌 ..... 37
보이지 않는 배제와 저항의 가능성: 이정우의 저항 이론 장의준 ..... 60
경영학 관점에서 본 타자로의 윤리: 초월적 가치에서 내재적 가치로의 전환 유재언 ..... 136
눈과 귀의 대립을 넘어선 새로운 감각의 존재론: 들뢰즈의 감각 이론을 통한 카프카 작품 다시 읽기 유충현 ..... 159
김수영 문학의 비인칭성과 시적 절차로서의 번역 윤승리 ..... 190
2부. 시간, 생명, 창조 223
‘존재=생성’, ‘내부관측자’, 그리고 새로운 진화 모델 박철은 ..... 225
반복하는 열린 계로서의 인체 권강 ..... 249
동아시아 의학과 탈-인간중심주의 인류학 김태우 ..... 285
문화적 훈육에 대한 해독제로서의 소수자 교육철학 최승현 ..... 308
유목미학 김숙경 ..... 336
3부. 소운 이정우와의 대화 387
첫 번째 대화 | 철학적 삶, 대안적 사유 ..... 389
두 번째 대화 | 철학사라는 우주 ..... 407
세 번째 대화 | 사건의 철학: 삶, 죽음, 운명 ..... 460
네 번째 대화 |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 499
다섯 번째 대화 | 표현, ‘세계’의 모든 얼굴 ..... 539
부록 | 대안공간의 역사철학적 의미 ..... 548
참고문헌 ..... 561
지은이 소개 ..... 572
저자소개
책속에서
‘철학적 삶’은 역사적 장과 사유의 장이 중첩되어 있는 곳, 신체의 차원과 개념의 차원이 접혀 있는 곳에서 살아가는 것을 뜻합니다. 이 접힘의 공간은 곧 세계가 마음속에 접혀 들어오고 마음이 세계를 먹고 소화해 내면서 변형되어 가는 곳, 주체성이 형성되고 변이되는 곳이며, 새로운 언어가 태어나는 곳, 그리고 언어란 애초에 관계적인 것이기에 사유하는 사람들(thinkers) 사이의 새로운 관계들이 형성되고 변이되어 가는 곳입니다. 이 공간이 철학의 공간이고, 철학자들은 이 공간에서 살아갑니다.
대안공간의 탄생을 이 진리의 정치학이라는 맥락에서 음미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실재의 귀환, 즉 생명, 노동, 특히 지금의 맥락에서는 주체의 귀환이라는 진리의 맥락에서 대안공간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고, 이 점에서 대안공간은 관리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 탄생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곧 모든 주체들을 ‘술어적 주체’들로서 관리하고, 이들을 기호화해 생명정치의 대상으로 삼는 경영학의 시대, 통계학의 시대에 대한 저항이었습니다. 이것은 곧 새로운 형태의 ‘시민적 지성’(civic intellect)의 탄생이었다고 할 수 있겠죠.
관리사회는 신체, 화폐, 기호를 관리합니다. 그러나 실재의 귀환은 생명, 노동, 주체성을 도래시킵니다. 대안공간의 의미는 관리사회에서의 주체성의 예속주체화에 저항하면서 스스로의 주체성을 가꾸어 나가는 것과 직결됩니다. 대안공간이 생명의 문제와 관련되는 것은 바로 이런 주체화의 흐름, 자기-차이화의 흐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안공간이란 관리사회에서 살아가야 하는 주체들이 대안적 지성을 통해 자기-차이화를 만들어 가려는 생명적인 운동과 직결된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