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용

중용(中庸)

자사 (지은이), 윤지산 (옮긴이)
지식여행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용(中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6109527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2-03-23

책 소개

동양 고전 원문 읽기 시리즈 3권. 유가 사상의 가장 철학적 경전 『중용(中庸)』 한국어 번역. 동양 고전의 원문(原文)을 정확히 해석하고 현대 한국어로 번역한 “동양 고전 원문 읽기” 시리즈 3권 『중용(中庸)』을 윤지산 선생의 해석과 번역으로 출간했다.

목차

서문 4

제1장 第一章 14
제2장 第二章 18
제3장 第三章 20
제4장 第四章 22
제5장 第五章 24
제6장 第六章 26
제7장 第七章 28
제8장 第八章 30
제9장 第九章 32
제10장 第十章 34
제11장 第十一章 38
제12장 第十二章 40
제13장 第十三章 44
제14장 第十四章 52
제15장 第十五章 56
제16장 第十六章 58
제17장 第十七章 62
제18장 第十八章 68
제19장 第十九章 72
제20장 第二十章 78
제21장 第二十一章 108
제22장 第二十二章 110
제23장 第二十三章 112
제24장 第二十四章 114
제25장 第二十五章 116
제26장 第二十六章 120
제27장 第二十七章 130
제28장 第二十八章 136
제29장 第二十九章 142
제30장 第三十章 148
제31장 第三十一章 152
제32장 第三十二章 158
제33장 第三十三章 162

발문 172

저자소개

자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자의 손자이며 공자의 학풍을 이어받은 증자(曾子)의 제자로, 성씨는 공(孔)이고, 이름은 급(伋)이다. 기원전 5세기경의 인물로 추정되며, 《중용》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설을 주장하는 대표적 인물이 사마천(司馬遷)인데, 이에 반해 학계의 일반적인 통설은 자사의 집필 내용을 토대로, 후대에 제자들이 《중용》을 편집한 것으로 보는 관점이 우세하다.
펼치기
윤지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퇴락한 고가에서 먹 가는 소리와 댓바람을 들으며 성장했다. 선조의 유묵을 통해 중국학을 시작했고, 태동고전연구소에서 깊이를 더했다. 한양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인민대학교 등지에서 공부했다. 『고사성어 인문학 강의』, 『문명이 낳은 철학, 철학이 바꾼 역사』, 『한비자, 스파이가 되다』 등을 썼고, 『순자 교양 강의』, 『법가 절대 권력의 기술』, 『어린 왕자』 등을 번역했다. 또 『논어』, 『도덕경』, 『중용』을 한글로 옮겼다. 바둑에 관심이 많아 〈영남일보〉에 기보 칼럼을 연재했다. 대안교육공동체, 꽃피는 학교 등 주로 대안 교육과 관련한 곳에서 강의했다. 현재 베이징에서 칩거하며 장자와 들뢰즈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용은』 한나라 이전 문헌 중에서 결이 조금 다르다. 춘추전국시대에 인문학이 꽃핀 것은 주나라가 종교성 짙은 은나라 문화를 걷어 낸 덕분이었다. 이를 ‘종교의 인문화’, ‘우환의식’, ‘인문 정신’이라고 학자마다 달리 부르는데,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하늘[天]에 기대지 않고 인간 자신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골자이다. 『논어』와 『맹자』에 ‘세상을 주관하는 하늘’이 여전히 등장하지만, 종교적 권능을 부여하고 맹신하지는 않는다.


‘진실하고 성실한 것이 하늘의 길이라면 그렇게 되려 노력하는 것이 사람이 가야 할 길(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이라고 선언했듯이 ‘성(誠)’이라는 개념으로 우주와 인간을 설명한다. 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불성무물(不誠無物)’ 즉 ‘성하지 않으면 존재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파격적(?) 선언은 『중용』에서만 등장한다. 하늘을 포함한 만물의 본질은 ‘성(誠)’이므로, 인간의 본질 또한 ‘성’이다. 이제 인간은 ‘성’을 매개로 하늘과 하나 되는 길이 열린다[天人合一]. 그래서 『중용』에서 말한다. “천지의 화육/생성을 도울 수 있어, 하늘과 땅과 나란히 서게 된다(可以贊天地之化育, 則可以與天地參).” 제자백가 중에서 ‘인간의 위상’을 이렇게 높게 설정한 텍스트는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