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인
· ISBN : 9788976961273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05-06-30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글
글을 시작하며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연구의 구성과 방법론
3. 연구 자료
제1부 한말.개화기 : 성장.교육.개화운동
1장 가계와 왕족 의식
1. 가계.신분과 이중적 왕족 의식
2. 유년.성장.결혼
2장 학업과 독립협회 참여
1. 과거.배재학당.독립협회
2. 옥중 수학과 '독립졍신'의 세계관
3장 미국 유학과 망명
1. '독립 유지'의 첫 외교
2. 6년 만의 박사학위
3. 짧은 귀국, 긴 망명
제2부 일제시기 1 : 외교독립노선과 외교 활동
4장 외교독립노선의 형성과 특징
1. 대외관의 형성과 변화
2. 외교독립노선의 구성과 특징
5장 1910~30년대 외교 활동
1. 정립의 재미 한인 지도자 : 박용만.안창호.이승만
2. 위임통치 청원
3. 대통령 자임과 한성정부 법통론
4. 구미위원부의 설립과 외교 활동
6장 태평양전쟁기 전시 외교 활동
1. 주미외교위원부 창설과 전훈 구상
2. 대일 무장투쟁노선의 제기
3. 반소반공노선과 '얄타 밀약설'
제3부 일제시기 2 : 국내 연계와 지지 기반
7장 1910~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과의 관계
1. 3.1 운동과 국내 인맥의 역할
2. 실력양성운동과 하와이 한인기독학원모국방문단
3. 일제의 이승만 활용 기도와 자치론
8장 이승만의 국내 지지 기반 흥업구락부(1925~38년)
1. 흥업구락부의 모체, 동지회
2. 흥업구락부의 조직.구성.지향
3. 흥업구락부의 활동
4. 흥업구락부 사건
9장 태평양전쟁기 단파방송 사건과 국내의 이승만 인식
1. 단파방송 : '이승만 신화'의 배경
2. 좌파의 이승만 인식
3. 우파의 이승만 인식
제4부 해방 직후 : 정부 수립 노선과 활동
10장 조기 귀국과 동경 회합
1. 귀국 로비와 여행 계획
2. 맥아더.하지.이승만의 동경 회합
3. 정책 결정자 하지
11장 정계 부상과 독립촉성중앙협의회의 조직
1. '민족 지도자' 이미지의 부각
2. 정당통일운동과 독립촉성중앙협의회
3. 독촉중협과 미군정의 '임시한국행정부' 구상
4. 독촉중협의 귀결 : 신탁파동의 전주
12장 1946년 지지 기반 강화와 단독정부 수립 제안
1. 반탁 노선의 여러 갈래 길
2. 민주의원.이승만.굿펠로우
3. 지방 순회와 지지 기반 강화
4. 자율정부.단독정부.과도정부
13장 1945~47년 정치자금 조성과 운용
1. 대한경제보국회(1945~46년)의 조직과 정치자금
2. 도미외교(1946~47년)시 '외교 후원금' 조성과 규모
3. 정치자금 규모와 운용
14장 1947~48년 우익 진영의 분화와 단독정부의 실현
1. 도미 외교와 단독정부 수립운동의 강화
2. 제2차 미소공위와 반탁 우익 진영의 분열
3. 단정의 실현과 이승만.김구의 분립
글을 맺으며
별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해방 직전 미국 군사정부 부서들의 평가에 따르면, 이승만은 한국내에서 잊혀진 인물이었다. 지식층을 제외한 대중적 차원에서 이승만의 명성은 높지 않았다.
태평양전쟁기 미 24군단, OSS, 해군부 해상작전국 정보처가 실시한 한인 포로들에 대한 심문조서를 보면, 대부분의 포로들은 한국의 지도자로 여운형.엄항섭.윤치호.이광수.김성수.최린.송진우.장덕수.조만식 등을 꼽았을 뿐 이승만을 언급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남한에 진주한 미 제24군단과 제10군의 정보참모부는 류우큐우 작전에서 잡힌 700여 명의 한인 전쟁 포로를 심문한 보고서 2건을 제출했는데, 여기에도 이승만은 거론되지 않았다.
그러나 해방직후 이승만은 급격하게 민족 지도자로 추대되었으며, 귀국 직후 아무도 넘볼 수 없는 대중적 명망성과 상징력, 독립운동의 살아있는 화신이란 칭호를 얻었다. 해방 직후 이승만이 이렇게 급격하게 부상하게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 때문이다. - 본문 455~45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