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6961280
· 쪽수 : 615쪽
· 출판일 : 2005-10-30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글
머리말
제1부 갑신정변 주도세력의 성장과 정치.외교적 입장
1장 정변 주도세력의 사상적 변화
2장 개화정책의 추진과 정변 주도세력의 형성
3장 정변 주도세력의 대청 인식과 정치적 결집
4장 정변 주도세력의 활동과 정치적 위기론
제2부 갑신정변의 결정과 추진
1장 정변의 결정과 거사일 확정
2장 정변 주도세력의 참여층 포섭
3장 무력 동원의 규모와 장악력
4장 갑신정변의 진행과 개혁인사 단행
제3부 갑신정변 참여층의 근대화 이해와 신분.작업
1장 참여층의 개화사상 이해와 갑신정변 인식
2장 참여층의 신분과 정변 참여 동기
3장 참여층의 직업별 구성
4장 참여층의 나이와 거주지
제4부 정령의 개혁 구상과 특성
1장 정령(政令)의 검토
2장 대원군 배환과 조공 폐지 주장의 정치.외교적 의도
3장 의정부 중심의 정치체제와 권력 운영 구상
4장 왕권 제한과 정치 기반 조성책
5장 군사.경찰제도 개혁 구상
6장 재정 확보에 중점을 둔 경제개혁 구상
7장 문벌 폐지와 인민평등권 주장의 정치.사회적 의도
제5부 민중의 인식과 갑신정변에 대한 입장
1장 민중의 근대화 이해와 그 대응
2장 민중의 외세 인식과 그 대응
3장 민중의 갑신정변 인식과 적대적 대응
제6부 갑신정변의 결과와 영향
1장 갑신정변의 실패 원인과 관련자 처벌
2장 친청 정권의 수립과 한성조약 체결
3장 개화.외세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제7부 갑신정변의 성격
1장 전통과 근대 : 반봉건 근대화 문제
2장 갑신정변의 반외세와 민족주의
3장 갑신정변의 부르주아적 성격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김옥균을 비롯한 갑신정변 주도세력의 사상적동향에 대해서는 유교를 부정하고 양반정치체제를 타파하고자 한 것으로 보는 입장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자료에서는 김옥균, 박영효 등이 1884년 단계에서 유교를 부정한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오히려 중국과 조선의 옛 전통을 예로 들어 개혁의 합당함을 설득하려 했으며, 제한적이지만 "유교를 다시 치성(熾盛)하게" 함으로써, "국세(國勢)가 또한 이로 인해 다시 (盛)하게 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라고 보았다. - 본문 47~4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