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76961440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11-20
책 소개
목차
서론 연구 현황과 접근 방법
1장 낙랑·대방군의 소멸과 군현계 토착집단의 귀속
1. 고구려의 낙랑·대방군 공략과 두 군의 소멸 과정
2. 낙랑·대방군 고지 내 토착·외래 집단의 귀속
2장 4~5세기 화북 지역의 혼란과 이주민 집단의 유입
1. 화북 지역의 유이민 발생 추이
2. 4세기 고구려의 이주민 수용
3. 이주민의 낙랑·대방군 고지 안치
3장 고구려 체제하의 중국계 주민집단 편성
1. 이주민 집단의 정체성과 본적 표기
2. 이주민 집단의 인식을 반영한 관호官號
3. 이주·토착민을 포함한 군집群集의 편성과 그 배경
4장 중국계 주민집단의 전통과 지향
1. 낙랑·대방군 고지의 고분 속에 구현된 대외용 서사와 구성 의도
2. 고분 속에 보이는 정치·사회적 지향
3. 이주집단의 신앙·가치관과 ‘칠보행사도’
맺음말
보론 6세기 고구려의 북위北魏 말 유이민 수용과 ‘유인遊人’
1. ‘유인’ 관련 기사의 검토
2. 북위 말 유이민의 안치와 지배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대의 이주와 다양한 구성원들 간의 상호 공존을 위해 만들어진 국가정책, 그리고 이주민 집단의 사회상을 검토하는 것은 민족국가 중심의 한국사 서사가 갖는 허구성을 분명히 드러낼 수 있는 작업이기도 하다. 특히 고대 한반도의 역사를 연구하면서 다수의 이주민과 다양한 계통의 주민들이 공존하는 과정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의 특성들을 도외시할 수는 없다.
4세기 중반 이후에 주로 조영된 2군 고지의 한계 석실봉토벽화분은 중국계 주민에 의해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4세기 초반 이래 망명인 유입과 4세기 후반 유주·기주 출신의 유이민 다수 유입 사건 등 외래의 이주민이 고구려로 유입된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들 이주민 집단은 2군 고지에 안치된 후 그들의 장례 문화를 상당 기간 유지했을 것이다. 2군 고지의 한계 석실봉토벽화분의 구조나 벽화 제재가 위·진대 요양 일대의 벽화고분과 연관된 측면이 많다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동수·진 등의 망명인들이 2군 고지에서 생을 마감한 뒤 그곳에 고분이 조영된 것은 애초 그들이 2군 고지 이외에 복귀하거나 사후 귀장歸葬될 정도의 기반을 둔 지역이 없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중국 고유의 양식을 따른 고분을 조영한 주체는 해당 묘주의 일족과 향인, 그리고 그와 함께 안치되었던 다수의 중국계 이주민 집단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들은 동수·진 등의 고분 인근에 그대로 거주하면서 묘를 관리하는 주체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