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족과 혁명 (식민지 사회주의의 이념과 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696597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4-07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7696597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4-07
책 소개
1930년대에서 해방 후로 이어지는 한국 사회주의의 이념과 실천을 다룬다. 한국 사회주의 운동과 사상을 돌아볼 때 1930년대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파시즘, 수정자본주의, 사회주의 심지어 신자유주의까지 포함하여 20세기를 규율한 이념들이 탄생한 시대이기 때문이다.
목차
‘한국 사회주의사상·문화사’ 총서를 출간하며
머리말
제1부 사회주의 운동의 민중적 전환과 그 식민지적 길
제1장 대중의 성장과 사회주의 운동의 민중적 전환
1. 1930년을 전후한 사회주의 운동의 변화
2. 사회운동의 고양과 대중의 진출
3. 사회주의 운동의 민중적 전환
제2장 반파시즘 인민전선론과 사회주의 운동의 식민지적 길
1. 반파시즘 인민전선론 ‘불철저 수용론’을 넘어
2. 코민테른의 반파시즘 인민전선론
3. 만주 항일 무장투쟁과 민족통일전선
4. 식민지에서 민족통일전선의 애로
5. 사회주의 운동의 식민지적 길
제3장 해방을 전후한 사회주의자의 모색과 실천
1. 중일전쟁과 사회주의자의 모색
2. 해방 전야의 건국 준비
3. 인민공화국 수립을 위하여
제2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과 식민지 반봉건사회론
제4장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아시아 인식과 조선 연구
1. 마르크스주의 역사학과 아시아적 생산양식
2. 세계사적 보편성과 아시아적 특수성 의 길항
3. 조선 연구와 민족통일전선의 향배
4. 해방과 ‘보편=주체’의 민족사 수립
제5장 동아시아 사회성격 논쟁과 식민지 반봉건사회론
1. 식민지의 역사와 주체
2. 제국주의 시대의 사적 유물론
3. 동아시아 사회성격 논쟁과 식민지 반봉건사회론
4. 식민지-주변부 사회의 종속과 발전
후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