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한승훈, 양진아, 김기성, 김헌주, 김제정, 예지숙, 홍종욱, 한혜인, 양지혜, 김정인, 김주용, 조형열, 소현숙, 염복규, 정병욱, 이동훈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58667238
· 쪽수 : 748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2000년대 이후 양적으로 크게 증가한 한국 근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되짚어 보고 새로운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책이다.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근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 제시한다.

목차

1부 조선 말기~대한제국기 정치·사회의 변화
• 개항기 대외관계 연구동향과 과제 / 한승훈
• 한국 근대 정치사 연구동향과 과제 / 양진아
• 개항기 경제사 연구동향과 과제 / 김기성
• 근대전환기 사회운동사 연구동향과 과제 / 김헌주

2부 식민지화와 식민지배정책
• 식민통치 및 식민권력 연구동향과 과제 / 김제정
• 일제강점기 사회사업사·사회정책사 연구동향과 과제 / 예지숙
• 전시체제와 친일 연구동향과 과제 / 홍종욱
• 일제말 전시체제기 쟁점사 연구동향과 과제 / 한혜인
• 일제시기 경제사 연구동향과 과제 / 양지혜

3부 식민지하 사회운동과 민족해방운동
• 국내 민족운동사 연구동향과 과제 / 김정인
• 국외 민족해방운동 연구동향과 과제 / 김주용
• 사회운동 연구동향과 과제 / 조형열

4부 식민지 근대의 일상 변화와 주체의 경험
• 한국 근대 여성사/젠더사 연구동향과 과제 / 소현숙
• 한국 근대 도시사 연구동향과 과제 / 염복규
• 일제강점기 민중사 연구동향과 과제 / 정병욱
• ‘재조일본인’ 연구동향과 과제 / 이동훈

저자소개

김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 역사와 대학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역사 대화에 관심을 갖고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한 ‘민주주의 한국사’ 3부작을 기획·출간해왔다. 19세기부터 3·1운동과 민주공화정의 탄생까지를 다룬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2015), 3·1운동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 독립운동사를 담은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2017)에 이어, 해방 이후부터 21세기 촛불시위까지 현대 민주주의의 역사를 다룬 《모두의 민주주의》는 3부작을 완결 짓는 책이다. 그 외에 지은 책으로 《오늘을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여성 단체들의 독립운동》,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87년 이후 35년의 한국 민주주의》,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교과서와 역사 정치》, 《간첩 시대》, 《동아시아사 입문》, 《미래를 여는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 1, 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정인의 다른 책 >
염복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근현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이데아, 2016), 『도시를 보호하라』(역사비평사, 2021, 공저), 『동아시아 재난의 근현대사』(역락, 2022, 공저), 『서울은 기억이다』(서해문집, 202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근대 사회사·정책사 전공, 경상국립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펼치기
소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학술연구팀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고 가족사, 젠더사, 마이너리티 역사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대표 논저로는 《이혼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 들》, 《日本殖民統治下的 底層社會 臺灣與朝鮮》(공저), 〈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Disability History and Minjung as Affect〉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근대사를 전공하면서 중국 동북지역의 일제침략사, 한인이주사, 한국독립운동사 및 제노사이드 연구를 주로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한국독립운동과 만주』(2018), 『대한독립대장정』(2021), 『함경도지역 애국계몽운동』(2022), 편역서로는 『재만조선인통제(1) - 재만조선인 이주정책과 친일단체 육성』 등이 있다.
펼치기
정병욱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한국 근현대사를 전공했다. 대표 논저로 『낯선 삼일운동』(역사비평사, 2022), 『식민지 불온열전』(역사비평사, 2013), 『일기를 통해 본 전통과 근대, 식민지와 국가』(공저, 소명출판, 2013), 『한국근대금융연구-조선식산은행과 식민지 경제』(역사비평사, 2004), 「일제강점기 불경(不敬) 사건과 행위자들」(『역사와현실』 130, 2023), 「1931년 식민지 조선 반중국인 폭동의 학살 현장 검토」(『사총』 97, 2019), “Migrant Labor and Massacres: A Comparison of the 1923 Massacre of Koreans and Chines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1931 Anti-Chinese Riots and Massacre of Chinese in Colonial Korea”(Cross-Currents Vol. 6, No.1, 2017) 등 다수.
펼치기
조형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사학전공 조교수.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백남운‧김태준‧이청원 등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학문론과 역사서술을 주제로 한 박사논문을 썼다. 고려대학교 BK21+한국사사업단과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일했다. 한국근현대 지식인의 의식과 생각을 다루는 사상사‧학문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학술문화기관 구상과 과학적 조선학 수립론」, 「1930년대 마르크스주의 지식인의 프롤레타리아문화운동과 ‘실천적 조선연구’론」, 「1930년대 조선 역사과학의 연구방법론」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장과 근대한국학 탄생의 계보』, 『동아시아 혁명의 밤에 한국학의 현재를 묻다』, 『전통과 창조-조지훈 탄생 100주년 기념 논문집』 등 공저서 작업에 참가했다.
펼치기
홍종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일 한국대사관 전문조사원, 도시샤대학 전임강사·준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戦時期朝鮮の転向者たち―帝国/植民地の統合と亀裂』(有志舎, 2011),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공저, 아연출판부, 2014), 『일제의 사상통제와 전향 정책』(동북아역사재단, 2024) 등의 저서가 있고, 역서로는 『세계사의 해체』(공역, 사카이 나오키 외 저, 역사비평사, 2009),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공역, 이타가키 류타 저, 혜안,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한혜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 분석』(공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2021),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무시효성』(공저, 소명출판, 2020), 『일본군‘위안부’ 관련 번역자료집』(편찬,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2019) 등
펼치기
이동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졸업 후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일본 지 역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 소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在朝日本人社会の形成–植民地 空間の変容と意識構造』(明石書店)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시정오년기 념조선물산공진회와 1910년대 식민지 조선–공진회 개최 과정과 일 본인사회의 협찬활동」, 「재조일본인 사회의 ‘발전사’ 간행과 일본의 향토 연구」, 「일본인 식민자 사회가 바라본 3·1운동–‘재조일본인’의 ‘조선소요’ 인식」,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 「1910년대 인천항 축항 사업과 식민자 사회」 등이 있다.
펼치기
양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탁상 위의 유토피아-일제하 조선 북부의 개척촌 조성과 실패(사림 81, 2022), 근현대 한국의 광업개발과 ‘공해(公害)’라는 느린 폭력(역사비평 134, 2021), 일제하 대형 댐의 건설과 ‘개발재난’(한국문화 89, 2020), 일제하 일본질소비료(주)의 흥남 건설과 지역사회(한양대학교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20) 등
펼치기
양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근대 정치사 전공, 국민대학교 정보와 법 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김기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근현대사 전공, 군산대학교 인문도시센터 전임연구원.
펼치기
김헌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근대 사회운동사 전공,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조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