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7778479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7-12-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근대국가의 기원과 발전
제1장 근대국가의 기원과 개념
1. 왜 국가인가?
2. 근대국가의 기원
3. 근대국가의 개념
4. 민족과 근대국가
5. 정부의 형태와 특징
제2장 근대국가의 특징
1. 폭력수단의 독점
2. 영토권
3. 주권
4. 정당성
5. 입헌주의
6. 공공관료제
7. 국민
8. 시민권
9. 감시 능력
10. 징세
제3장 근대국가의 형성과정
1. 기능론적·진화론적 접근
2. 역사적·구조적 접근
3. 세계체계론적 접근
4. 근대국가의 형성과정과 성격
제2부 국가와 정치사회학 이론
제4장 국가권력이론의 흐름
1. 엘리트이론
2. 다원주의이론
3. 계급이론
4. 전략관계적 국가이론과 통치성
제5장 국가와 정책
1. 국가정책에 대한 이론적 관점들
2. 국가정책과 국가능력
3. 복지국가의 발전과 유형
제6장 국가와 상징정치
1. 국가와 상징
2. 만들어진 전통
3. 근대국가와 국민 만들기
4. 기념문화와 상징정치
제3부 국가·민주주의·시민사회
제7장 국가와 민주주의
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민주주의의 기원과 원리
2. 민주주의의 유형
3. 민주주의로의 이행과 공고화
4. 민주주의의 꽃: 선거와 투표
5. 지구화와 민주주의
제8장 정당정치
1. 정당의 개념과 기능
2. 근대 정당의 형성과 발전
3. 정당의 유형
4. 정당과 민주주의
5. 정당의 미래와 전망
제9장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1. 시민사회의 개념과 발전
2.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3.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의 전망
제10장 정보사회와 미디어 정치
1. 정보사회의 특성
2. 정보사회와 정치의 전망
3.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4. 미디어정치
제4부 한국 국가의 형성과 전망
제11장 한국 근대국가의 형성과 한국전쟁
1. 반공체제의 형성과 단독정부 수립
2. 자유민주주의의 제도화
3. 한국사회와 국민 형성의 제도화
4. 국민 만들기 과정
5. 한국전쟁: ‘반공’ 국민의 형성과 국민의 동원
제12장 한국 국가의 성격과 민주주의
1. 종속적 발전과 권위주의국가
2. 시민사회의 발전과 민주화과정
3. 6월 항쟁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
4. 2016년 촛불시위와 한국 민주주의의 전망
제13장 지구화와 국가의 미래
1. 지구화의 개념과 의미
2. 지구화의 동학과 이론적 조망
3. 지구화와 국민국가
4. 지구화와 한국사회
참고문헌
색인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