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77785069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9-08-27
목차
머리말 (공평원)
기조연설 (안규백)
기조연설 (노훈)
<세션 1> 한반도 평화협력질서와 항공우주력의 역할
1. 한반도 대전환 시대와 문재인 정부의 평화 구상 (김기정)
Ⅰ. 2018년의 역사적 의미
Ⅱ. 평화에 이르는 길: 이론적 탐색
Ⅲ. 2018년 평화구상이 역대 한국 정부의 분단관리전략 역사에서 가지는 의미
Ⅳ. 한반도 평화공존: 두 영역의 문제들
2. 한반도 평화협력질서와 항공우주력의 역할 (김준형)
Ⅰ. 한반도 주변 및 동북아 안보환경 평가
Ⅱ. 비핵화 관련 안보 상황 평가 및 전망
Ⅲ.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항공우주력의 역할
3. 동북아 전략적 불안정과 공군력의 미래 (박영준)
Ⅰ. 머리말
Ⅱ. 동북아 신냉전 구도의 대두: 주요 국가 대외전략의 충돌
Ⅲ. 동북아 주요 국가의 군비증강과 항공우주전력 실태
Ⅳ. 맺는 말: 한국 공군의 미래 전략 방향
<세션 2> 한반도 안보와 항공우주력의 미래
4. 대한민국 항공우주력의 현주소 (김순태)
5. Alternative Air Powers: Northeast Asia’s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ROK’s Strategic Dilemma (Marc R. DeVore)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Pre-emption
Ⅳ. Artillery Suppression
Ⅴ. Protecting Korea’s Maritime Frontiers
Ⅵ. Conclusion
6. Key Space Capabilities to Enable Space Power for the Republic of Korea (Yool Kim)
Ⅰ. Introduction
Ⅱ. Develop an Indigenous Space-Based Reconnaissance System to Counter the North Korean Threat
Ⅲ. Enhance Space Situational Awareness Capability to Operate in a Contested and Congested Space Environment
Ⅳ. Concluding Remarks
<종합토론> 대한민국 공군 창군 70년과 항공우주력 발전 방향
학술회의 참가자 소개
제22회 항공우주력 학술프로그램 조직위원회
책속에서
2019년 학술회의는 우리 공군이 창군 70주년을 맞는 해이자 연세대가 공군의 후원으로 본 학술회의를 진행해온 지 22년이 되는 해에 치러진 뜻 깊은 학술회의였다. 공군과 연세대가 뜻을 함께하여 설립한 연세대 항공전략연구원이 2017년부터 3년째 본 학술회의를 주관함으로써 항공우주력 건설을 위한 양 기관의 열정이 결실을 맺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생각한다.
2019년 학술회의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등을 통해 한반도에 평화의 기운이 싹트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시대, 항공우주력의 역할”을 대주제로 설정하였다.
이 논문집이 발간되는 지금은 한국의 국가안보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어야만 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간 우리 대한민국의 안보에 대한 노력은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폭격기와 정찰기들이 한국 방공식별구역 내를 연합으로 비행하고, 러시아의 정찰기가 영공을 침범하여 우리 전투기가 위협사격을 해서 퇴거시키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북한의 위협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준 사건이었다. 더구나 일본의 아베 정권이 정치적인 이유로 경제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는 현실은 국가안보에 대한 그동안의 우리 노력이 지나치게 한 방향만을 지향하고 있었음을 자각케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주변국에 의한 잠재적 위협을 재평가하고 우리의 노력방향을 제고해야 할 시점인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