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감국사집

원감국사집

(圓鑑國師集)

원감국사 충지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20원
23,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원감국사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감국사집 (圓鑑國師集)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8012744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0-06-10

책 소개

원감국사가송이 고려 말엽의 국사로서의 승려의 시문집이기는 하나, 이는 당대를 대표할 한 사람의 시문집으로 문학사에 남을 만한 문집이다. 승려로서 선취적禪趣的 시품이 돋보임도 중요하지만, 외침으로 곤궁한 당시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고뇌상이 사회의 전면에서 민중을 계도해야 할 사대부보다 앞서 있다는 점도 문학사의 한 장을 장식할 만하다 하겠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서를 펴내며 / 5
원감국사집 해제 / 7
일러두기 / 28
원감국사어록 중간 서문 / 29
조계 원감국사어록 서문 / 32
해동 조계 제6세 원감국사가송 / 33
발문跋文 / 328
원감록圓鑑錄 인사印寫 발문跋文 / 330
원감시圓鑑詩 보유補遺 / 333
문편文篇 / 341
소편疏篇 / 351
표편表篇 / 429
부록附錄 / 441
복암화상잡저 보유 / 449
첨부 / 467

저자소개

원감국사 충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226년 전라도 장흥(長興)에서 태어났다. 휘(諱)는 법환(法桓)인데 후에 충지로 고쳐 불렀으며, 자호(自號)는 밀암(宓庵), 속성명(俗姓名)은 위원개(魏元凱), 탑호(塔號)는 보명(寶明)이고, 원감국사는 그의 시호(諡號)다. 9세에 취학해 경서(經書) 자사(子史)를 암송하고 문장력도 뛰어났다. 일찍이 출가했다가 어머니의 청으로 환속했다.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9세에는 춘위(예부시)에 장원으로 뽑혀 재질의 탁월함이 입증되었다. 영가(永嘉: 지금의 안동)서기(書記)를 거치고, 그 후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국위를 선양했으며, 옥당(玉堂)에서는 문체가 수려해 많은 선비들이 탄복했다. 그는 모친이 세상을 떠난 뒤 29세에 다시 출가했다. 당시 고려는 몽고(蒙古)와의 전쟁 소용돌이에 휩싸여 있었으며 무인 정권의 부패로 백성들의 고통이 극심했다. 그가 다시 승려가 된 것은 고귀한 생명이 무참하게 죽어 가는 모습을 목도하고 백성의 고통을 공유하고자 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41세에 김해(金海) 감로사(甘露寺) 주지가 되었고, 3년 만에 삼중대사(三重大師)가 되어 이때부터 승려들에게 보통 있게 되는 기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45세에 정혜사(定慧寺)에 이주했다. 61세에 조계 6세(世)로 임명되었다. 충지는 어려운 시대에 태어나 우국의 세월을 보내면서 조계 법맥(法脈)을 계승하다가 1293년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원감국사집」은 고려시대에 간행된 「원감국사가송園監國師歌頌」에다가 「동문선」에 수록된 시문과, 산문만 모아놓은 「복암잡저宓庵雜著」까지 더하여 번역을 한 것이다. 앞에는 시가 수록되어 있고 뒤에는 제문祭文과 표表, 소疏, 편지 등이 실려 있다.
시의 경향을 살펴보면 우선 (1) ‘담박한 선취적禪趣的 시’들을 볼 수 있다. 원감국사는 재가 시절에 유가적 경전을 다 섭렵하고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했듯이 출가의 결의가 남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시문에 있어서도 불교적 이념이나 사유에 얽매임이 없이 하나의 시인으로서의 서정을 읊은 것이 많다.

卷箔引山色 주렴 올려 산 빛을 끌어들이고
連筒分澗聲 대통 이어 냇물 소리 나누어 듣네
終朝少人到 아침 내내 찾아오는 사람은 없고
杜宇自呼名 두견이 혼자서 이름을 불러대네

<한중잡영閑中雜詠>이란 시이다. 발을 걷어서 산 빛을 끌어들이고, 대통으로 시냇물 소리를 나누어 갖는다. ‘引山色’ ‘分澗聲’의 대구도 절묘하려니와, 끌다(引), 나누다(分)의 동사는 눈동자를 찍는 묘수라 하겠다. 시에는 시의 눈동자가 되는 시안詩眼이 있다 하는데 이 시안은 동사의 적절한 인용에 있다. 대립되는 사물을 어떻게 연결하느냐 할 때 거기에 절핍한 동사가 활용되기 때문이다. 한 편의 시가 한 글자에 의하여 개안開眼되는 것이다.
발과 산빛, 대통과 물소리, 그 자체는 아무 연관이 없는 개체이다. 질서 없이 흩어진 자연물이다. 이것을 끌다(引), 나누다(分)의 동사로 연결시킨다. 다시 말하면 무질서의 질서화이다. 시는 언어의 질서화이다.
전련과 결련도 묘하다. 오는 사람 없는 정적 그대로이다. ‘杜宇自呼名’이라 하니, 이렇듯 제 이름만 부르기가 사물 밖의 스스로 한가함이다. 모든 사물이 있는 그대로의 진여眞如이다.

시의 경향으로 지적할 두 번째는 (2) ‘현실의 냉혹한 비판’이다. 국사의 현실 인식이 냉혹한 점은 여러 작품들에서 나타난다. 정신적 지도자로서 민생의 괴로움을 간과할 수 없으며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책무라고 인식했던 것이다.

尺地不墾闢 약간의 땅이라도 개간하지 않으면
民命何以資 백성이 어떻게 살아가겠는가
民戶無宿糧 민가엔 비축한 식량이 없어서
太半早飢啼 태반은 아침부터 배고파 우네
況復失農業 더구나 농사일을 또 망쳤으니
當觀死無遺 하나도 빠짐없이 죽고 말겠네
嗟予亦何者 아 나는 또 무엇하는 사람인가
有漏空漣 눈물만 속절없이 흘러내리네

<농사 일을 걱정하며 계미년 사월 초하루에 빗속에서 짓다(憫農黑羊四月旦日雨中作)>라는 시이다. 4월 초하루 비 오는 것을 보고 지은 시이다. 모내기에 적절한 단비이다. 의당히 권농勸農이나 희농喜農이어야 한다. 그런데 농사일을 민망히 여겨야 하는 처지이다. 원은 1차의 일본 동정東征의 준비로 우리 공인工人 3만 5천 명과 대소선박 9백 척, 2차 동정에는 공인은 물론 군량미 11만 섬, 전함 9백 척을 마련하게 하였다. 흑양黑羊은 임신년으로 1272년이니 그 해에도 그 다음 해에도 전함을 만들게 한 일이 여러 차례 있었다. 이런 인력동원으로 농사를 못 짓는 안타까움을 여실하게 보여 주면서, 스님의 신분으로 민생의 괴로움을 풀어주지 못하는 아픔을 이어간다.
이밖에 신랄한 사회 고발적 시가 더 있으니, 국사의 이러한 시정신은 문학사에나 사회사의 측면에서 다시 고려되어야 할 점이다. 당시 집권층의 사대부들은 민중의 삶을 외면한 채, 전 국토를 외민족의 전화 속에 두고 한 줄기의 물줄기를 경계로 하여 강화도를 ‘강도江都’라 하고 최씨崔氏의 전정專政을 찬양이나 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족이 넘나드는 육지에서 끝내 버티면서, 그들의 불의에 저항하기도 하고 회유도 하면서, 민중과 고락을 함께한 이들 몇몇의 고승대덕이야말로 당시 사회의 바른 지식인이요 민중의 지주였다 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