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화문명사 2

중화문명사 2 (상)

위안싱페이, 옌원밍, 장촨시, 러우위리에 (엮은이), 구자원, 문승용, 서성, 김상일 (옮긴이)
동국대학교출판부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20원
23,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1,2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화문명사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화문명사 2 (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801567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7-09-30

책 소개

문명사는 인류의 창조사이자 인류의 발전사라는 관점을 표방하면서, 물질문명·정치문명·정신문명을 각각 사람과 자연의 관계, 인류사회의 조직 방식, 사람의 정신세계에 대응시켜 그 복잡다단한 관계를 총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중국 문명사를 본격적으로 다룬 방대한 분량의 번역서이다.

목차

서론
제1절 중앙집권제는 중국 봉건 시대 정치 문명의 주요 표지이다
제2절 봉건지주 경제 발전의 특징과 국가 간여의 필요
제3절 대통일 형세 아래에서의 문화 부흥

제1장 다민족 대통일 중앙집권 국가 제도의 창립과 굴곡진 발전
제1절 진시황이 다민족 통일국가를 건립하다
제2절 ‘한漢이 진秦의 제도를 승계하다’ 그리고 한 무제의 개혁
제3절 양한의 변경 경략과 실크로드의 개통
제4절 나누어짐과 합해짐: 동한 후기에서 서진까지의 정치 발전 추세
제5절 동진과 남북조 시기의 경제개발과 민족의 융합

제2장 관료 정치의 확립과 발전
제1절 관료 정치의 기초를 다지다
제2절 문리文吏와 유생儒生
제3절 관료의 사족화士族化와 문벌 정치
제4절 관료 정치 유지의 어려움과 변화 발전
제5절 이민족과 한족의 융합과 남북조 관료 정치의 부흥

제3장 봉건 지주 경제의 발전
제1절 토지사유제의 발전과 봉건 국가의 한전限田 정책
제2절 농업생산의 발전
제3절 관영과 민영 수공업의 신속한 발전
제4절 상업의 성쇠와 교통의 발전
제5절 국내외 경제와 문화 교류

제4장 유가의 지위와 발전
제1절 분서갱유에서 독존유술獨尊儒術까지
제2절 5경五經의 전승과 그 유파
제3절 『춘추』 3전의 논쟁과 금문과 고문의 갈등
제4절 명교名敎 정치 아래에서 유학의 진일보한 발전
제5절 학교 교육의 발전

제5장 위진 현학魏晉玄學
제1절 청의淸議·청담淸談과 현학玄學
제2절 사변思辨의 매력
제3절 자연과 명교名敎
제4절 자연스러움에 따르고자 한 위진풍도魏晉風度
제5절 현학과 불교의 관계

저자소개

러우위리에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4년 6월 저장折江성 성?현 출생이다. 1960년 베이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모교에 남아 지금까지 교직에 몸담고 있다. 수십 년간 베이징대학교 철학과·종교학과 교수로 지냈으며, 현재는 베이징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및 종교연구원 명예원장으로 있다. 아울러 중국 교육부 사회과학위원회 위원, 전국고적정리출판기획팀 팀원 등도 겸임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왕필집교석王弼集校釋》, <위진현학과 중국 전통철학玄學與中國傳統哲學>, <유가 수양론에 대한 현재적 논의儒家修養論今說>, <중국유학의 역사적 변천과 미래에 대한 전망中國儒學的歷史演變與未來展望>, <불학과 근대 중국철학佛學與近代中國哲學> 등이 있다. 중국에서 러우위리에 교수는 중국문화를 이끌어가는 리더이자 실천가로 알려졌다. 2003년, 중국의 전통예술의 연구와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국예원國藝苑을 교내에 창립했을 뿐만 아니라 교내외 수십여 곳에 달하는 중국문화 관련 동호회의 고문도 맡고 있다. 요즘도 각지에서 분주히 강의를 하며 중국 전통문화의 전파와 발양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위안싱페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고전문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 위안싱페이는 1936년 장쑤 성江蘇省 우진武進에서 태어나 자랐다. 베이징北京 대학교의 중문학과 교수와 인문학부 주임, 국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베이징 대학교의 국제 한학자 연구 센터 주임으로 있다. 주요 저서로는 <도연명집 전주陶淵明集箋注>, <중국 시가예술 연구中國詩歌藝術硏究>, <중국문학개론中國文學槪論>, <도연명 연구陶淵明硏究>, <중국문학사 강요中國文學史綱要>, <중국 문언소설 서목中國文言小說書目>(공저), <중국시학 통론中國詩學通論>(공저), <역대 명편 상석 집성歷代名篇賞析集成>(주편), <위진남북조 문학사 참고자료魏晉南北朝文學史參考資料>(공동 주편), <중화문명사中華文明史>(주편)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다수의 학술 논문이 있다.
펼치기
서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경대에서 중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배재대에서 강의. 중국고전시와 관련된 주요 실적으로는 「이소(離騷)」의 주석과 번역, 「구가(九歌)」 주석과 번역, 『양한시집(兩漢詩集)』, 『한시, 역사가 된 노래』, 『당시별재집(唐詩別裁集)』, 『대력십재자 시선(大曆十才子詩選)』 등이 있다.
펼치기
문승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졸업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안풍골론의 형성과 발전 연구〉 논문으로 중문학과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교육원을 수료했고,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수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외국어대, 한신대, 평택대에서 강사로 지내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건안문학론 연구(建安文學論硏究)》(도서출판 다운샘, 2004), 《중국고전의 이해》(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인간적인 1분 문법책 중국어》(김영사, 2005), 《중국어 급 표현백서》(김영사, 2007), 《장자》(공역 : 한국외대 출판부, 2008), 《유가사상과 현대사회》(한국학술정보, 2009), 《中國語のクッキ-タイム》(편저 : 일본 아사히출판사, 2009) 등이 있다. 발표 논문으로는 〈유협(劉?)의 건안문학론(建安文學論)〉, 〈왕찬(王粲)의 문수질리(文秀質羸)·기질위체고(氣質爲體考)〉, 〈조비(曹丕) 문기론(文氣論) 연변(演變) 고(考)〉,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조식(曹植) 평에 관한 고찰〉, 〈육조(六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감응론(感應論)의 양상 고찰〉, 〈건안칠자(建安七子) 시(詩)에 나타난 변화(變化) 양상(樣相) 고(考)〉, 〈종영(鍾嶸) 시품(詩品)에 나타난 건안칠자(建安七子) 시평(詩評) 고(考)〉, 〈육조(六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풍(風) 개념 고찰〉, 〈회사후소(繪事後素) 고(考)〉, 〈이규보(李奎報) 의기론(意氣論)의 조비(曹丕) 문기론(文氣論) 수용 양상 고찰〉, 〈남조(南朝) 문론(文論)에 나타난 비흥(比興) 수사법 연변(演變) 고(考)〉, 〈공자(孔子)의 시예악론(詩禮樂論)〉, 〈문부(文賦)에 나타난 구상[意], 대상[物], 표현[文]의 상관관계 고찰〉, 〈선진(先秦) 유가(儒家)의 말하기와 글쓰기 그리고 ‘天’ 개념의 상관관계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구자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베이징대학 역사학과 역사학 박사. 현재 베이징외국어대학 아시아-아프리카학부 한국어학과 외국인 교수, 베이징대학 역사문화중심 연구원. 주요 저·역서로 『리더들의 리더가 된 중국의 제왕들』, 『아주 특별한 중국사 이야기』, 『7-10세기 동아시아 문물교류의 제상』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박사. 태동고전연구소 한문연수과정 수료. 현재 동국대학교 국어국 문·문예창작학부 교수. 주요 저·역서로 『동악 이안눌 시 연구』, 『한국불가한시선』, 『심돈영의 연행록燕行錄』, 『옛 문인들의 초서간찰』(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나라 유가의 어진 정치와 예악교화 그리고 군자가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이상주의는 제국 정치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 무제는 효렴孝廉과 관리 선발 제도인 ‘찰거察擧’를 시행하였고, 오경박사가 제자 50명을 두도록 하였다. 태학생太學生은 서한 말기 만 명 이상이 되었고, 각 군국에도 학관을 두루 설치하였다. 대부大夫·의랑議郞 그리고 박사는 유생 가운데에서 임명하였고 조정 회의에 참여하여 정책 건의를 하기도 하였다. 공자孔子는 점차 ‘소왕素王’으로 존중받게 되었고, 경전의 뜻을 가지고 정치를 판단하는 것이 관행이 되었다. 유생 관료들은 ‘교화敎化’를 책임지게 되어서 유학의 ‘대전통大傳統’과 민간에서의 ‘소전통小傳統’이 서로 소통하도록 힘썼다. ― 제2권 上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