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801567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7-09-30
책 소개
목차
서론
제1절 중앙집권제는 중국 봉건 시대 정치 문명의 주요 표지이다
제2절 봉건지주 경제 발전의 특징과 국가 간여의 필요
제3절 대통일 형세 아래에서의 문화 부흥
제1장 다민족 대통일 중앙집권 국가 제도의 창립과 굴곡진 발전
제1절 진시황이 다민족 통일국가를 건립하다
제2절 ‘한漢이 진秦의 제도를 승계하다’ 그리고 한 무제의 개혁
제3절 양한의 변경 경략과 실크로드의 개통
제4절 나누어짐과 합해짐: 동한 후기에서 서진까지의 정치 발전 추세
제5절 동진과 남북조 시기의 경제개발과 민족의 융합
제2장 관료 정치의 확립과 발전
제1절 관료 정치의 기초를 다지다
제2절 문리文吏와 유생儒生
제3절 관료의 사족화士族化와 문벌 정치
제4절 관료 정치 유지의 어려움과 변화 발전
제5절 이민족과 한족의 융합과 남북조 관료 정치의 부흥
제3장 봉건 지주 경제의 발전
제1절 토지사유제의 발전과 봉건 국가의 한전限田 정책
제2절 농업생산의 발전
제3절 관영과 민영 수공업의 신속한 발전
제4절 상업의 성쇠와 교통의 발전
제5절 국내외 경제와 문화 교류
제4장 유가의 지위와 발전
제1절 분서갱유에서 독존유술獨尊儒術까지
제2절 5경五經의 전승과 그 유파
제3절 『춘추』 3전의 논쟁과 금문과 고문의 갈등
제4절 명교名敎 정치 아래에서 유학의 진일보한 발전
제5절 학교 교육의 발전
제5장 위진 현학魏晉玄學
제1절 청의淸議·청담淸談과 현학玄學
제2절 사변思辨의 매력
제3절 자연과 명교名敎
제4절 자연스러움에 따르고자 한 위진풍도魏晉風度
제5절 현학과 불교의 관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나라 유가의 어진 정치와 예악교화 그리고 군자가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이상주의는 제국 정치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한 무제는 효렴孝廉과 관리 선발 제도인 ‘찰거察擧’를 시행하였고, 오경박사가 제자 50명을 두도록 하였다. 태학생太學生은 서한 말기 만 명 이상이 되었고, 각 군국에도 학관을 두루 설치하였다. 대부大夫·의랑議郞 그리고 박사는 유생 가운데에서 임명하였고 조정 회의에 참여하여 정책 건의를 하기도 하였다. 공자孔子는 점차 ‘소왕素王’으로 존중받게 되었고, 경전의 뜻을 가지고 정치를 판단하는 것이 관행이 되었다. 유생 관료들은 ‘교화敎化’를 책임지게 되어서 유학의 ‘대전통大傳統’과 민간에서의 ‘소전통小傳統’이 서로 소통하도록 힘썼다. ― 제2권 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