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8015943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17-12-22
책 소개
목차
제1권 上
중화문명사 총서론
제1절 세계 4대 고대문명
제2절 중화문명의 사상적 의미
제3절 중화문명의 발전
제4절 중화문명사의 시대 구분
제5절 중화문명의 미래
서론
제1절 중화문명 발생의 지리적 환경
제2절 신주대지의 고대 거주민
제3절 신화, 전설 그리고 역사
제4절 중화문명의 첫 번째 전성기
제1장 중화문명의 서광
제1절 문명 태동 시기의 경제
제2절 사회의 계층분화와 다양화
제3절 문명을 향한 길
제4절 중화문명 특징의 등장
제2장 중화문명의 시작-하夏
제1절 하나라의 건국과 중원에서의 지위 강화
제2절 하문화의 고고학 탐색
제3절 하나라의 사회와 문화
제4절 하나라 주변의 청동문화
제3장 상주 시기 문명의 흥성
제1절 상주 왕조의 건립과 화하문명의 번창
제2절 상과 서주의 종법, 분봉, 그리고 정전제도
제3절 상주 예의제도와 고고학에 반영된 형상
제4절 춘추전국 시기 정치·사회의 발전과 구조 변화
제4장 휘황찬란한 청동문화
제1절 청동문화 중심의 형성
제2절 거대한 규모의 청동공업
제3절 고도로 발달한 청동문화
제4절 청동공업이 선도한 수공업 생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나라의 흥기는 중화문명의 시작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 청동시대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나라의 영토는 비록 하남성 서부와 산서성 남부에 국한되지만, 하나라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는 그 영토보다 더 넓다. 고고학 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이리두문화는 청동문화가 처음 발달한 곳이며, 또한 그 주변 지역의 여러 고고학 문화들에서도 역시 몇몇 다른 형태의 청동기들이 출토되었다. 주변의 여러 고고학 문화들은 현지의 용산문화와 비교해 볼 때, 그 문화적 모습이 다른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아울러 이리두문화와 함께 새로운 시대를 조성하였다. 사회가 발전하는 상황에서 볼 때, 일부는 이미 문명사회로 진입했고, 일부는 문명사회로 진입하기 직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