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78015950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7-12-22
책 소개
목차
제1권 下
제5장 철기의 응용과 생산의 발전
제1절 철기의 응용과 제련기술의 빠른 발전
제2절 철제 농기구의 광범위한 사용과 농업 생산력의 발전
제3절 신기술의 채용과 수공업생산의 번영
제4절 관영 수공업의 발전과 민영 수공업의 흥기
제6장 상·주 시기 도읍과 상업
제1절 상대商代 도성과 방국方國 성읍城邑
제2절 주대周代 도성의 발전
제3절 상업도시와 부유한 대상인
제4절 동주東周 제후국의 화폐와 도량형
제7장 한자의 기원과 발전
제1절 한자의 기원
제2절 은허 갑골문이 한자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
제3절 중국어를 기록하는 한자의 독특한 기능
제8장 상·주 시기의 종교와 신앙
제1절 천신과 조상숭배
제2절 서점筮占과 주역
제3절 점성술
제4절 무巫와 사史
제9장 교육의 발달과 학술의 창성
제1절 사인士人과 사학의 흥기
제2절 공자와 유가학파
제3절 도가
제4절 묵가·법가·명가·음양가
제5절 병가와 병서
제6절 수술과 방기
제7절 백가百家에서 일통一統으로의 추세
제10장 문학·예술의 발전과 번영
제1절 선진 시기 산문散文
제2절 『시경』과 『초사』
제3절 조각, 회화, 공예미술
제4절 음악과 무용
저자소개
책속에서
춘추전국시대는 고대 중국 사회질서의 변동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이다. 경제생활에서 정치구조까지, 그리고 사람들의 조직에서 사상 문화까지에서 모두 거대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사직은 항상 받들 수 없고, 군주와 신하는 항상 그 지위를 누리는 것이 아니다.(社稷無常奉, 君臣無常位.)”라고 한 『좌전』 「소공昭公 32년」의 기록처럼, 두드러진 점은 정치구조가 항상 일정하지는 않다는 것이었다. ‘예악의 붕괴’는 사회질서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천하에 도가 없다.(天下無道)”라고도 했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의 화제였다. 이 시기는 혼란의 시대였지만, 그러나 이 혼란의 와중에도 새로운 문명의 기운은 나타나고 있었다. 사상 문화의 관점에서 사인士人과 사학私學의 흥기는 이 시기에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들은 고대 사상사의 백가쟁명百家爭鳴 국면을 조성하였고, 이후 수천 년간 사상의 발전 기반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