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79401349
· 쪽수 : 623쪽
· 출판일 : 2014-11-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는 말: 한문사료를 잘 해석, 번역하려면
제1장 한자의 역사와 구성
제1절 한자의 변천과정
1. 갑골문자
2. 주 시대의 문자
3. 진 시대의 글자체 통일
4. 초서와 해서
5. ‘한자’라는 이름
제2절 한자의 뜻과 소리
1. 한자의 구성 원리 ― 육서
2. 한자의 소리 ― 음과 성, 운
제2장 한자의 이해와 해석
1. 이체자
2. 본래의 한자와 분화된 한자
3. 합음자
4. 약자와 간체자
제3장 한문 문법의 얼개
제1절 한문 문법의 이해
1. 사의 단음절성
2. 한문의 고립어적 성격
3. 한문 해석을 위한 분석
제2절 사와 구
1. 사의 형식
2. 사의 기능
3. 구의 구조
4. 구의 배열과 기능
제3절 한문의 기본구조: 한문 문장의 성분
제4장 사의 분류와 쓰임새
제1절 자립사
1. 명사
2. 대사
3. 수사
4. 형용사
5. 동사
제2절 보조사
1. 부사
2. 어기사
제3절 부속사
1. 첨사
2. 연사
3. 개사
4. 의성사
제5장 한국 한문사료의 해석
제1절 한문사료의 종류와 특성
1. 종류
2. 특성
1) <삼국사기>
2) <삼국유사>
3) ⌜동명왕편⌟
4)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5) 조선왕조실록
6)용재총화
제2절 한국 한문사료 해석에 유의할 점들
1. 왕조사회의 역사관과 국왕 중심 관념
2. 제도에 대한 이해
3. 인명을 비롯한 여러 가지 명칭의 파악
제3절 한국 한문사료의 해석
1. 단군신화
2. 乙巴素(을파소)
3. 徐熙(서희)
4. 恭愍王(공민왕)의 이름
5. 太祖 李成桂(태조 이성계)
6. 黃喜 卒記(황희 졸기)
7. 조선 초엽의 문화
8. 李麟佐의 反亂(이인좌의 반란)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