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현대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7966049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7-07-0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한국어판 서문
서문
1 |자본주의와 대립하는 생태학
2 |생태적 손익계산의 횡포:경제 환원주의의 환경적·사회적 결과
3 |지구 생태계와 공공의 이익
4 |생태학과 인간의 자유
5 |“저들로 하여금 오염을 먹어 치우게 하라”:자본주의와 세계 환경
6 |생태 위기의 규모
7 |무엇의 지속 가능한 개발인가?
8 |세계화와 공간의 생태적 도덕성
9 |자본주의의 환경 위기―기술이 답인가?
10 |계급을 배제한 환경주의의 한계:태평양 북서안의 고목림 수호 투쟁의 교훈
11 |맬서스의 ≪인구론≫ 출간 2백 주년에 즈음해
12 |리비히, 마르크스와 토양 비옥도 고갈 문제:오늘날의 농업에 주는 함의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책속에서
탐욕 때문에 환경적 필요성을 가볍게 봄으로써 생기는 이득이 소수의 부를 충족시키는 자본주의하에서 환경 비용은 외부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환경 파괴는 환경 정의를 위한 투쟁을 낳는다. 다수의 사람들이 벌이는 물질적 복지를 위한 투쟁은 주로 경제적 측면으로 이해돼 왔지만, 이제는 더 광범하고 더 총체적인 환경의 맥락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21세기를 규정하는 모습은 환경 정의를 위한 투쟁, 즉 인종, 계급, 성, 제국주의적 지배, 환경 파괴처럼 상호 연관된 것에 대한 투쟁이다.-p68 중에서
삼림 생태계와의 지속 가능한 관계와 목재 산업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이 최대한의 성과를 이루려면 국가를 상대로 한 공통의 노동-환경 강령을 세우고 이를 중심으로 환경 활동가들과 목재 생산 노동자들이 동맹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진실이다. 그러나 미국 환경주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편협한 보존주의적 공세, 조직 노동자들의 상상력이 결핍된 비즈니스 유니언적 대응, 노동계급과 환경주의자라는 가장 강력한 적대 세력에 대항해 목재자본과 연방 정부 안에 포진한 목재 자본의 동맹자들이 채택한 분할 정복 전략이 어우러져 그러한 연합의 형성을 막는다.-p173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