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0186278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22-12-06
책 소개
목차
서문 - 비자이 프라샤드 7
미국이 세계에서 더 많은 군사 침략 행위를 벌이는 이유 - 존 로스 15
미국을 전쟁으로 이끄는 것은 과연 누구인가? - 데보라 베네치알레 47
21세기 생태와 평화 운동을 위한 ‘절멸주의에 관한 노트’ - 존 벨라미 포스터 99
감수의 글 이 책이 한국의 진보주의자들에게 주는 것들 - 국제전략센터 141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 몇 년간, 세계 진보 진영은 미국이 추구하는 공격적인 세계 전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많은 국제 캠페인을 벌였고, 종종 ‘신냉전New Cold War’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가끔 현재 미국 외교 정책의 끔찍함을 과소평가하는 설명을 내놓기도 한다. 소련과의 ‘구냉전Old Cold War’ 시기에는 일종의 규칙과 중요한 사항이 있었다. 즉, 미국이 소련 정부를 굴복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치 경제적 수단을 사용해 압력을 가하더라도, 양국은 서로의 이해관계와 필요한 안보의 범위를 인정했다. 그때에는 미국이 핵을 보유한 상대
국의 국경을 변경하려 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월스트리트저널〉에서 미국이 핵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공표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대만이 서구 군사 경계선 내의 전략적 지역이기 때문에 보호해야 한다는 외교 정책 엘리트 계층의 주장이 뒷받침하는 입장이다. 냉전의 지도자였던 키신저도 현재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는 우려와 반대를 표명하며 중국과 러시아를 분리하는 전략이 옳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이 동시에 핵무기를 보유한 두 국가에 맞서 직접적인 전쟁을 일으킨다면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_ 데보라 베네치알레
오늘날 우리는 절멸주의와 인간의 생존을 위한 생태적 필수조건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에 직면했다. 전 세계적 생존 위기를 일으킨 두 가지 요인, 즉 자본주의와 ‘유한한 환경 속에서 자본 축적과 제국주의 권력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자본주의의 말도 안 되는 목표가 이제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이 고삐 풀린 위협에 맞서는 유일한 방법은 생태와 평화에 기반한 전 세계의 혁명적인 운동이다. 지구와 생명체의 전체적인 파괴로 향하는 지금의 흐름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평등과 생태적 지속 가능성, 즉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세계로 나아가는 운동 말이다. _ 존 벨라미 포스터
신냉전, 그 전환기를 주도하는 것은 누구나 알듯이 제국주의로서 미국의 패권성이다. 이 책이 말하는 미국의 대군사 전략, 이를 가능케 하는 미국 정치 그룹 간의 차이가 사라진 태도, 아마겟돈을 언급하며 핵전쟁 위기를 부추기는 미국 대통령의 모습에서 왜 미국이 신냉전을 주도하려 하는지 알 수 있다. 미국의 군사 패권 제국주의는 신자유주의 이후 군산복합체와 국제 투기자본의 결합을 더욱 강력히 만들어 왔다. 책에서는 미국이 이러한 결합으로 군사력에서 압도적 우위를 만들어 내긴 했지만 제국주의의 경제적 우위를 만들어 내지는 못했다고 말한다. 그 결과 미국은 군사적 우위를 이용해 군사적 행동을 중심으로 패권성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 그것이 미국이 신냉전을 주도하는 이유다. 이 책의 저자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을 미국의 주도성에서 찾는다. 왜 미국이 중동에서 철수했는가? 왜 미국이 한미일 군사동맹을 전략적 수준으로 높여 가는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왜 발생했는가? _ 감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