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노동운동
· ISBN : 978897966156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8-11-10
책 소개
목차
옮긴이 머리말
1장 노동조합 속의 사회주의자들_ 알렉스 캘리니코스
01_ 노동조합은 이제 쓸모없는가?
02_ 자본주의, 노동조합, 노동조합 지도자
03_ 현장 조합원 운동
04_ 최근의 상승기: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05_ 1974~1989년의 패배기
06_ 오늘날의 과제
2장 현장 조합원과 노동조합 관료_ 랠프 달링턴
노조 관료 / 노조 관료의 이중적인 사회적 구실 / 좌파 간부 대 우파 간부 / 현장 조합원과 노조 관료의 관계 / 노조 관료주의에 맞선 두 가지 전략 / 상충하는 긴장 이용하기 / 역사 속의 혼성체들 / '단결해 싸우자' / 결론
3장 공산당, 사회주의노동자당, 현장 조합원 운동_ 던컨 핼러스
'좌파'와 사회협약 / 노동조합 관료주의 / 좌파 노조 간부와 전투적 현장 조합원 / 혁명적 정당의 구실은 무엇인가?
후주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o 노동조합은 이제 쓸모없는가?
흔히 실업과 공장 폐쇄로 조직 노동자가 돌이킬 수 없을 만큼 줄거나 아예 노동계급이 사라지고 있는 양 여겨진다. 그러나 이것은 특정 형태의 노동자, 즉 제조업·블루칼라 노동자만 노동계급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사실 먹고살기 위해 자신의 노동력을 팔아야 한다면 모두 노동계급이다. … 시간이 갈수록 이들[화이트칼라 노동자]의 노동조건은 본질적으로 제조업 노동자와 같아지고 제조업 노동자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 경우도 흔하다. 1970년대 초 노동자 투쟁[의] … 결과 전투적 노동조합운동이 교사와 공무원 등 공공 부문 화이트칼라 노동자로 확대됐다. 더 최근에는 민간 부문의 화이트칼라 노동자들도 이런 전투성을 발휘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 노동자들이 파업에 나섰는데 이것은 과거에는 상상하기 힘들던 일이다. … [또] 기술적·조직적 변화는 노동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80년대 전 세계 자동차 기업들은 일본에서 [토요타가] 고안한 '적시생산방식', 즉 부품과 원자재 재고를 매우 낮게 유지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기업들은 이 방식으로 비용을 절감하지만 노동자 파업에도 훨씬 취약해진다.
o 오늘날 노동조합운동이 당면한 핵심 문제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이 노동조합운동에서 당면한 핵심 문제는 긴축과 사용자의 공격에 대한 노동자들의 분노는 크지만 현장 조합원들이 노조 지도부가 이끌지 않아도 투쟁에 나설 수 있을 만큼 자신감이 높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 안타깝게도, … 여러 투쟁에서 노조 관료들은 노동자들의 행동을 고무할 기회들을 헛되이 날리거나 기껏해야 마지못해 조직함으로써 사용자와 정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물리치지도, 그 과정에서 노조의 힘을 재건하지도 못했다. … 문제는 노조 지도자들이 행동을 호소하지 않거나 제한된 형태의 행동만 조직하고 기회만 생기면 취소해 버릴 때, 현장 조합원들의 조직적 대응이 (적어도 상황을 바꿀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
o 노동조합 관료란 누구이고 어떤 구실을 하는가
노동조합의 성격은 매우 모순적이어서, 자본주의에 대한 노동계급의 저항을 표현하기도 하고 제한하기도 한다. 즉, 노동조합은 노동계급이 자본의 힘과 투쟁하는 기구이자 타협하는 기구다. 여기에서 핵심적 요소가 바로 노조 관료층, 즉 상근 노조 간부들로 이뤄진 상설 기구의 구실이다. 이들은 자본과 노동 간의 타협 조건을 둘러싼 협상을 전담하며, 자신들이 대표하는 대다수 조합원과 다른(때로는 대립하는) 이해관계, 관점, 자원을 지닌 독특한 사회적 지위에 있다. … 객관적·주관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왜 노조 상근 간부들이 대체로 노동자 투쟁에 보수적이고 제한적인 태도를 보이기 쉬운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노조 지도자들의 개인적 약점(무능, 출세주의, 부패)과는 무관하며, 그들이 하는 일의 성격 자체에 원인이 있다. … "노조 간부는 이중적 구실을 한다. 즉, 조합원들을 체제 안에 가두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안에서 제한적 이득을 안겨 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