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한 후 386운동권의 길을 걸었다. 인천, 울산 등지를 떠돌며 노동운동을 하다 1992년 ‘고백’, ‘당신은 아직도 혁명을 꿈꾸는가’라는 글을 발표한 후 일본 유학길에 올랐다.
게이오慶應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귀국하여 삼성경제연구소, KDI 등에서 연구하였다. 2004년부터 본격화된 뉴라이트 운동의 산파 역할을 했다. 2008년 총선에서 민주화운동의 대부 김근태 의원을 꺾고 국회에 입성하여 용산 참사 진상규명, 전공노 불법행위 근절, 수도분할 반대, 무상복지 반대 등 소신 정치를 펼쳤으나, 권력정치에 실패하여 4년 만에 낭인이 되었다.
'고개 숙인 대한민국'은 낭인 생활 2년의 결과물이다. 현재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조동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북한학과 명예교수이자 북한앤글로벌포럼 회장으로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5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근무하면서 북한경제팀장,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했다. 2007년 3월 이화여자대학교로 옮긴 후 2025년 8월까지 남북경협, 북한경제, 남북한 경제통합과 관련한 강의와 연구를 했으며, 기획처부처장, 통일학연구원 원장 등의 보직을 역임했다.
대외적으로는 2018년 9월부터 3년간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을 맡았다. 비상근으로 한국수출입은행 초대 북한ㆍ동북아연구센터 소장, 동아시아연구원(EAI) 초대 북한연구센터 소장 등을 맡아 센터의 설립과 운영에 기여했다.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회 대통령자문단 위원,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정책자문위원, 국회의장직속 대북정책 거버넌스 자문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이사, 국무총리 정책자문단 위원, 경제부총리 자문 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장,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전경련 통일경제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수출입은행 남북협력 자문위원,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자문위원,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UN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컨설턴트, 북한경제포럼 회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이코노미스트』 등 주요 언론의 고정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했다.
최근의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재고찰 및 주변국의 인식 분석』(2024),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대북경제정책 추진방향』(2023), “Kim Jong-un’s Economic Reform and Opening: Opportunities, Constraints, and Prospects”(2022), “김정일 시대 경제성장 전략의 평가와 함의”(2021)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