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경남 창녕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서울대 역사연구소 소장,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장을 지냈으며, 한국사연구회 회장,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하버드대학 옌칭연구소 방문학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한국학 연구소 방문 교수, 연변대 겸임교수, 국사편찬위원,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2020년 현 서울대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한국사를 통해 본 우리와 세계에 대한 인식》, 《고구려사연구》, 《단군과 고조선사》, 《예빈도에 보인 고구려》,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삼국통일전쟁사》, 《한국고대사》가 있으며, 공저로는 《시민을 위한 한국역사》,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12시간의 통일 이야기》가 있다.
펼치기
도진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중국 베이징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를 지냈다. 현재 창원 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 관계: 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백범일지』, 『정본 백범일지』, 『백범어록』,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강철로 된 무지개: 다시 읽는 이육사』, 『백범의 길: 조국의 산하를 걷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생. 서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1961~1969),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교관으로 3년 병역의무를 마친 뒤 경북대학교 교양학부와 사학과에서 전임강사로 교단에 섰다. 1977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로 전출,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임하였다. 재임 중 인문대학 학장으로 선출되고(2006~2008) 정년 퇴임 후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7년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임. 1868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로 유출된 외규장각 의궤 도서 반환 운동을 주도하여 2011년 귀환에 성공,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조선시대의 사회사, 정치사를 연구하다가 1992년 1905년 ‘보호조약’을 비롯한 국권 피탈 관련 문건에 많은 결함, 결격 사항이 있는 것을 발견, 근대 한일관계사 특히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의 불법성에 관한 연구에 종사하여 여러 국제학술 행사를 개최하거나 참가하였다. 고종 시대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탈피에도 노력하여 《고종 시대의 재조명》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 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 인식》 등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2022년 《일본제국의 ‘동양사’ 개발과 천황제 파시즘》 《일본제국의 대외침략과 ‘동방학’ 변천》을 저술하여 한국 근현대사를 보는 시야를 넓혔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서 자연 이상 현상 기록 2만 5,300여 건을 뽑아 이를 분석, 1490년부터 1760년까지 270년 동안이 이른바 소빙기(little ice age)의 재난 현상기인 것을 국제 천문학 저널을 통해 처음 밝혔다.(1998) 이에 근거하여 《새 한국사》(까치)에서 조선 중기의 역사를 천재지변 극복의 역사로 조명하였다. 지금까지 학계에 제출한 논문은 300여 편, 저서는 30여 편에 달한다.
펼치기
하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조동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북한학과 명예교수이자 북한앤글로벌포럼 회장으로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1년 5월부터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근무하면서 북한경제팀장, 기획조정실장 등을 역임했다. 2007년 3월 이화여자대학교로 옮긴 후 2025년 8월까지 남북경협, 북한경제, 남북한 경제통합과 관련한 강의와 연구를 했으며, 기획처부처장, 통일학연구원 원장 등의 보직을 역임했다.
대외적으로는 2018년 9월부터 3년간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을 맡았다. 비상근으로 한국수출입은행 초대 북한ㆍ동북아연구센터 소장, 동아시아연구원(EAI) 초대 북한연구센터 소장 등을 맡아 센터의 설립과 운영에 기여했다. 남북정상회담준비위원회 대통령자문단 위원, 대통령직속 통일준비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정책자문위원, 국회의장직속 대북정책 거버넌스 자문위원회 위원, 국무총리실 경제ㆍ인문사회연구회 이사, 국무총리 정책자문단 위원, 경제부총리 자문 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장, 국방부 정책자문위원, 전경련 통일경제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수출입은행 남북협력 자문위원,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자문위원,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광자문위원, UN ESCAP(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컨설턴트, 북한경제포럼 회장 등을 역임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이코노미스트』 등 주요 언론의 고정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했다.
최근의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재고찰 및 주변국의 인식 분석』(2024),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대북경제정책 추진방향』(2023), “Kim Jong-un’s Economic Reform and Opening: Opportunities, Constraints, and Prospects”(2022), “김정일 시대 경제성장 전략의 평가와 함의”(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고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로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변화』(공저, 2006), 『북한 핵문제의 해법과 평화체제 구축』(2003), 『북한학 입문』(공저, 2001), 『북한정치의 이해』(공저, 2001),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구조적 위기와 김정일 정권의 진로」(1996)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