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2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2

(기마족의 신라·가야·열도 정복사)

장한식 (지은이)
산수야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00원 -10% 580원 9,950원 >

책 이미지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2 (기마족의 신라·가야·열도 정복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80975402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1-08-15

책 소개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시리즈 제2권.대륙에서 출발하여 한반도 남부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다음 최종적으로 일본열도로 진출한 선비족 모용씨 집단의 ‘힘(power)의 이동 역사’를 다루고 있다. 한일 고대사 재건축의 재료가 되는 핵심적인 퍼즐조각이다.

목차

프롤로그 _ 4세기 기마민족의 남하(南下)와 출자(出自) 문제 ·5

1부. 모용선비 기마족의 신라 진출

1장 _ 4세기 경주,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의 출현

‘기마문화의 타임캡슐’ 적석목곽분 ·20
‘말을 탄 사람들’의 문화 ·25
과대(?帶)와 각배(角杯) ·31
금관(金冠)에 담긴 사유체계 ·33
경주 적석목곽분의 원류 중앙아시아 쿠르간 ·38

2장 _ 기마족의 신라 진출, 계기와 경로
신라 정복 기마족의 출발지는? ·43
4세기 신라의 시대변혁·명호개역(名號改易) ·45
‘거대 장벽’ 고구려 통과 방식은? ·48
342년(또는 341년) 모용황(慕容?)의 고구려 침공 ·53
모용선비 북로군(北路軍)의 신라 정복설 ·55
경주지형과 동해안루트 ·60

3장 _ 신라로 들어간 선비족 모용씨
선비족(鮮卑族)과 모용부(慕容部) ·65
모용씨(慕容氏) 왕조의 등장 ·71
‘백색(白色) 기마족’의 신라행 방증 ·74
모용씨 시조신화와 신라·가야 시조신화의 유사성 ·81
모용씨 보요관(步搖冠)과 신라·가야 금관 ·85

4장 _ 모용선비에서 신라김씨로
모(慕)씨는 모용씨(慕容氏) ·88
신라김씨 중시조(中始祖) 성한왕(星漢王)의 비밀 ·94
‘비운의 왕자’ 모용한(慕容翰), 그가 성한왕인가? ·102
모용(慕容)씨에서 김씨로 창씨개명(創氏改名) ·109

2부. 기마족의 가야 정복

5장 _ 4세기 가야권역의 북방문화

4세기 가야권에 등장한 북방형 고분 ·117
2012년, 대성동고분에서 확인된 모용선비 유물 ·120
대성동 선비족 유물이 ‘평화로운 교류’의 증거? ·125
대성동고분과 부여 계통설 ·130
가야권 북방유물이 증언하는 진실 ·133

6장 _ 가야 진출 기마민족과 출자(出自) 논쟁
부여계 가야 남하설 ·137
중국 요녕성(遼寧省) 라마동(喇?洞) 유적 ·140
라마동 부여계의 한반도 남부 정복설 검토 ·144
“라마동 부여계는 모용선비 국인(國人)” ·145

7장 _ 기마족의 가야 진출과 정치적 분열
가야 개국신화, 4세기 건국의 방증인가? ·151
4세기 이후 신라-가야 병존의 의미는? ·157
모용선비 군단의 정치적 분열 ·159
모용선비 북로군 내부의 부여계 존재 가능성 ·161

8장 _ 모용선비의 가야평정과 새로운 도전
임나국주 모류지왕(牟留知王) ·164
아라가야 마갑총(馬甲塚)의 증언 ·168
일본서기 신공(神功) 49년조에 담긴 의미 ·174
한계에 이른 한반도 정복…기마군단에 강요된 선택 ·187

3부. 기마족의 일본열도 정복

9장 _ 가야정복 기마족의 일본열도 진출설

4세기 일본열도의 급변과 기마민족 정복설 ·198
일본을 정복한 기마족의 출자(出自)는? ·204
일본정복 기마군단과 모용선비 관련성 ·207
‘부여계 모용선비’의 열도진출 가능성 ·211
왜5왕의 외자 이름, 모용선비 방증인가? ·214

10장 _ 가야계 정복군주 숭신(崇神)의 결단
가야사는 프랑스 노르망디 역사에 비유된다 ·219
가야 출신 정복왕 숭신은 누구인가? ·222
일본서기 숭신천황(崇神天皇) 조에 담긴 역사 ·227
숭신의 선박건조령이 말하는 진실 ·236
기마족과 해인족의 결합 ·241

11장 _ 광개토대왕 비문왜의 정체(正體)
비문왜의 강성(强盛) ·249
광개토대왕이 5만 대군으로 신라를 구원한 까닭은? ·254
비문왜의 대방계 침공 ·256
광개토대왕비의 증언…“비문왜는 가야·열도서부 기마군단” ·260

12장 _ 열도정복 기마족과 한왜연합왕국의 출현
기마민족 지도부의 열도행과 가야(임나)의 위상 저하 ·264
‘가야·왜연합’에서 ‘왜·가야 연합왕국’으로의 변화 ·269
4세기 중기고분시대와 기마족의 역할 ·274
“전방후원분은 큰 배 상징…도해(渡海)한 정복자의 기념물” ·281
기마민족이 전방후원분을 선호한 배경은? ·285

에필로그 _ ‘힘(power)의 이동’으로 분석한 기마민족 정복사 ·291

참고문헌 ·296

저자소개

장한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와 동(同)대학원을 졸업하고 1991년 KBS 기자로 입사해 사회부와 정치부 등 여러 부서를 거쳤고 베이징특파원을 지냈다. 귀국 후 뉴스제작부장과 경제부장, 사회부장, 해설위원, 편집주간, 전략기획국장을 거쳐 보도본부장을 역임했다. 7년전쟁의 격전지 견내량과 한산도 앞바다가 바라다보이는 통영시 용남면의 해변마을에서 태어난 저자는 석사학위 논문 제목이 「구한말 근대적 통신제도의 구축에 관한 연구」였을 정도로 한국사의 여러 분야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집필한 가장 큰 이유는 이순신이 만든 한산도 통제영이 저자의 집 근처에 있기도 하거니와 ‘이순신이 싸운 바다’가 어떠했는지를 날마다 관찰하면서 자라서인지 기존의 역사 연구자들이 ‘문헌’에서 놓친 부분을 적지 않게 발견하게 되었고,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저자는 과거에서 미래의 비전을 찾을 수 있다는 견지에서 역사문제에 제법 천착해 왔던 바 1999년 『신라 법흥왕은 선비족 모용씨의 후예였다』를 저술하였다. 2015년 ‘나라의 크기로 상하(上下)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작은 나라도 꿋꿋한 의지와 실력이 있다면 능히 큰 나라에 맞설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오랑캐 홍타이지 천하를 얻다』를 출간(2024년 개정)하여 세종도서 교양부분 우수도서에 선정되는 등 식자층의 주목을 끌었다. 대한민국 해양사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는 차원에서 2018년 『바다 지킨 용의 도시 삼도수군통제영』을 펴냈고, 연장선상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한일(韓日) 양국이 ‘과거사를 놓고 깊이 갈등하는 현대사’에 대한 저자 나름의 시각과 해법을 담아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시리즈를 내놓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 한반도와 수천 km 떨어진 카자흐스탄인들이 한국인과 가장 닮았다는 의학연구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논리들이 분분한데, 필자는 ‘백부선비’의 한반도 진출을 뒷받침하는 해부학적인 증거라고 판단한다. 참고로 한국인의 피부색이 동아시아인 가운데 가장 밝은 사실도 ‘백색 기마민족 진출설’과 연결될 수 있는 방증이다.


기록이 소략하지만 가야의 개국신화를 세밀히 분석해 보면 ‘건국의 할아버지들’이 AD 4세기에 진입했을 것이란 방증이 포착된다. 4세기에 가야로 진입한 건국주는 기마민족 출신으로 짐작된다. 신라의 마립간시대가 그러하듯이 4세기의 가야에서도 기마문화의 융성함이 관찰되기 때문이다. (…) 기마문화의 수준과 특징으로 판단할 때 신라와 가야권은 극히 유사하다. 이는 가야를 정복한 기마민족 역시 모용선비와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80975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