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81631161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04-10-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서문 ㅣ 대학, 제국, 그리고 지식생산
스파이 과학자들
트로이 프로젝트와 냉전이 사회과학에 미친 영향
대외경제정책 보고서
샘(Sam)이여 다시 한번: 개발이론의 현실과 변명
카멜롯 프로젝트와 냉전시대 심리학의 행보
냉전과 은크루마 체제의 가나로 귀화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
경계의 해체: 냉전과 탈냉전 시대의 지역학과 국제학
현재시제로 역사쓰기: 냉전시대 소비에트 과학기술사가들의 담론전략
학계에 대한 기업의 새로운 야망
책속에서
트로이 프로젝트의 보고서는, 엔지니어와 학계의 과학자들이 미군부대의 신무기.전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던 것과 똑같이 인문학자와 사회과학자, 역사학자 들은 군대 밖에서 전후세계의 자유와 민주주의와 미국식 생활방식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역사학자들은 보고서 부록문서에서,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늘 "비장의 일격을 준비하기 위해 전문적인 인적.물적 병참학"에 의존해 왔다고 지적하고 있다. 1950년까지만 해도 미국의 군사무기는 기술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한정된 목표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무기종류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의 말에 따르면 무력충돌은 "총력적인 동시에 완승 아니면 완패"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은 전세계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시급히 개발해야 하며, 세계 곳곳에서 공산주의자들과 비군사적인 교전 조건과 기술을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따라 미국은 전체주의 지배에 굴복할 것인가 아니면 전면적인 핵전쟁을 벌일 것인가 하는 양자택일의 괴로운 선택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서 작성자들은 주장한다. - 본문 4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