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8218167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1-10-2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1장 라디오 체조의 창시와 보건위생
라디오 체조의 창안
보건위생 사상의 확대
간이생명보험의 보급
라디오 체조의 ‘수입’과 보급
2장 신체와 건강의 근대화
건강에 대한 욕구
신체 그 자체의 합리화
미국의 라디오 체조와 일본의 라디오 체조
3장 라디오 체조와 시간의 근대화
‘조기’와 라디오 체조
시간의 재편성
라디오 체조와 시간 규범
4장 뉴 미디어로서의 라디오
여명기의 라디오 방송
라디오의 도시문화적 색채와 라디오 체조
사회교육 도구로서의 라디오
5장 라디오 체조와 스포츠에 대한 열광
사회체육과 스포츠의 진흥
야구와 라디오 실황중계
올림픽과 라디오
‘라디오 체조 모임’의 발전
■맺음말
■옮긴이의 말
■주석
■참고문헌
책속에서
일본의 라디오 방송이 시작된 것은 1925년 3월 22일 도쿄에서였고, 이후 오사카와 나고야방송국이 개국하게 되며, 이듬해 8월에는 이들 세 방송국이 연합한 일본방송협회가 탄생한다. 세계 최초의 라디오 방송은 1920년 미국 피츠버그의 KDKA 방송국에 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되고, 영국의 영국방송협회(BBC)의 전신이 탄생한 것이 1922년의 일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일본의 라디오 방송 사업 참여는 세계적으로도 빠른 편이었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구미의 라디오 방송체제와 방송 프로그램을 모델로 삼은 다양한 모방이 행해졌는데, 그중에 ‘라디오 체조’도 있었던 것이다. 방송 개시 후 년 만의 기획이 현재까지 수십 년에 걸쳐 이어지고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할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동기와 관심을 갖고 위생전람회에 참여했는지는 차치하더라도 질병 예방과 건강 유지에 대한 관심이 이 시기에 고조되어 있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이에 대해 개개인의 생활 속에서 합리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언설이 보급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간이보험국이 라디오 체조에 대한 구상을 서둘렀던 것은 이같은 보건위생 사상의 확대가 배경으로 놓여 있었다. 물론 간이보험국의 관점에서 라디오 체조는 ‘국민의 건강 상태 개선’을 위한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메트로폴리탄 사의 경우처럼 보험사업에 직접 관련되는 일이라는 의미 또한 있었다. 생명보험이라는 사고방식 역시 이 시기에 확대되고 있던 사상인 동시에 정책이었다.
미국이나 독일의 라디오 체조는 어디까지나 라디오를 통해 이루어지는 체조로서 가정에서 개인 단위로 하는 것이 우선이었다. 이에 비해 일본의 경우 라디오 체조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서가 아니라도 레코드 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그 보급이 기획되었다. 이것이 차츰 음악이나 구령에 맞추어 집단으로 체조를 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집단성은 ‘일본적인 것’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