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82224126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2-09-30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제1장ㆍ유럽의 등불
- 정치가들이 그와 같은 소설들은 읽고 이해하였던들 에드워드 그레이 경이 언급하였던 그 등불들은 꺼지지 않았을는지도 모른다.
제2장ㆍ나다니엘 호손: 사춘기의 정치
- 「나의 친척, 몰리네 소령(My Kinsman, Major Molineux)」은 소년 로빈이 성인으로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현대 세계의 기본적 정치의식, 즉 혼돈세계에서 영혼의 개념을 보여준다.
제3장ㆍ도스토옙스키: 정치의 복음
- 「악령(The Possessed)」은 가장 심오한 의미에서 그리스도의 재림을 주제로 삼으며, 러시아의 영혼을 사로잡으려는 허무주의적 악마들을 쫓아내려는데 있다.
제4장ㆍ헨리 제임스: 정치의 미학
- 「카사마시마 공주(The Princess Casamassima)」에서 하이야신스 로빈슨은 계급투쟁에 연관된 인간적인 비극을 보여준다.
제5장ㆍ조셉 콘래드: 정치의 대가
- 「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 「노스트로모(Nostromo)」에서 콘래드는 서양 근대의 성취인 ‘문명’과 사람, 영혼의 어두움에 관련을 보여준다.
제6장ㆍ프란츠 카프카: 정치 기계
- 「유형지에서(In the Penal Colony)」에서 카프카는 악마적인 정교성으로 조립된 거대한 자동처형 기계장치를 통해 현대의 기계적 정치구조 안에 갇힌 사람의 운명을 보여준다.
제7장ㆍ토마스 만: 예술, 정치 그리고 계시
- 「신의 단검(Gladius Dei)」, 「마리오와 마술사(Mario and the Magician)」,「파우스트 박사(Doctor Faustus)」에서 만은 예술가의 개인적 고민은 정치의 공적인 비극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