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역브랜드 육성전략

지역브랜드 육성전략

(21세기 도시경쟁시대)

신순철, 황인호 (지은이)
한국생산성본부
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000원 -0% 2,500원
300원
8,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역브랜드 육성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역브랜드 육성전략 (21세기 도시경쟁시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82586064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09-07-20

책 소개

저자들의 브랜드 개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농·특산물 마케팅 등에 대한 오랜 컨설팅과 교육을 수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책이다.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이 자신들의 브랜드정책과 관리방식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지역브랜드의 완벽한 이해와 전략적인 접근 및 육성전략을 추진할 수 있게끔 구성하였다.

목차

1. 이제는 지역브랜드 경쟁의 시대이다 / 15
- 브랜드란 무엇인가
- 브랜드는 고객의 마음속에서 만들어진다.
- 지역브랜드의 정의와 역할은
- 지역브랜드 전략은 체계적이고 통합적이어야 한다.
- 국가 및 도시 지역브랜드의 역할을 이해하라

2. 지역브랜드를 둘러싼 오해와 착각에서 벗어나라 / 47
- 지역브랜드 도입조건
- 지역브랜드 도입주체
- 지역브랜드 육성전략
- 지역브랜드 전략수립과 목표의 설정
- 지역브랜드 성과분석
- 지역브랜드 관리체계
- 지역브랜드 운영조직
- 지역브랜드 도입효과

3. 지역브랜드와 공동브랜드는 다른 것이다 / 95
- 지역브랜드와 공동브랜드의 도입 목적
- 지역브랜드와 공동브랜드의 차이점

4. 공동브랜드 마케팅의 문제점은 이렇게 해결하라 / 115
- 공동브랜드가 안고 있는 문제점
- 공동브랜드 네이밍의 기본 원칙
- 공동브랜드 연장의 기본 원칙
- “햇사레”와 “안성맞춤”의 차이점
- 공동브랜드 도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을 위한 공동브랜드
- 농·축산물 마케팅 지원을 위한 지역공동브랜드

5. 농·축산물의 가공식품사업 이렇게 추진하라 / 169
- 생산시설의 건설보다는 마케팅과 경영능력구축이 우선이다.
- 고객이 원하는 농·축산물의 가공식품은 다르다.

6. 농·축산물의 명품화 전략은 이렇게 실행하라 / 185
- 브랜드 인지도가 농산물 명품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 명품화 브랜드의 종류
- 브랜드 명품화 실행전략

저자소개

신순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경제학과와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현대그룹, 오리콤 국제국과 멕켄에릭슨 전략기획 국장을 거친 후 (주)에스플로링 코리아 대표이사를 역임하였다. 1994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생산성본부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와 지식경제부, 부산·광주광역시 등 50여 자치단체에서 강의와 컨설팅을 수행하였고, 한국방송예술진흥원 광고창작학부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황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한국생산성본부에 입사하여 생산성연구소에서 생산성 측정과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경영컨설팅사업부에서는 삼성전자/하이닉스/한국농어촌공사/풀무원/KT&G 등 30여 대기업과 공기업의 컨설팅을 수행하였다. 현재는 브랜드경영센터에서 NBCI(국가브랜드경영지수)발표, 베스트브랜드 선정, 특허청이 주관하는 지역브랜드 컨설팅 사업의 PM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따라서 농·특산물 가공 식품화의 출발점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마케팅 사고력이 되어야 한다. 대형 식품회사에서 생산되고 있는 상품과 동일한 제품을 생산해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그들보다 멋진 포장 디자인을 개발하여 고객을 유혹할 수 있겠는가 아니면 그들보다 품질관리를 더 잘할 수 있겠는가? 당신이 고객이라면 품질을 믿을 수 있는 대형회사 제품이 있는데, 전혀 알려지지도 않은 작은 회사의 상품을 위험을 무릅쓰고 구입하겠는가?
국내에서 최초로 낙농가 자신들이 생산한 원유를 갖고 치즈를 생산하기 시작한 전북 “임실 치즈”, 고추장이나 된장 등 다양한 장류 제품을 생산해 온 크고 작은 공장들이 밀집되어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전북 “순창 고추장”, 오래 동안 민속주로 사랑 받아온 “안동 소주”가 대형공장을 가져서 성공했는지 되돌아보라. 지역만의 특색을 갖춘 상품, 지역만의 색깔과 정취 그리고 생산자의 손끝정성이 느껴졌기에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게 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연상되는 브랜드가 된 것이다. - 178쪽, '고객이 원하는 농·특산물의 가공식품은 다르다' 중에서


도시에 사는 고객들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가공식품에 대해 기대하는 모습과 이미지는 과연 무엇인가? 첨단 설비의 공장을 짓고 어느 규모로 지을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보다, 고객들이 원하는 상품은 어떤 것인지 보다 진지한 고민과 연구 그리고 자신들만의 제품 개발과 접근방법을 찾는 노력이 훨씬 절실하다.
고객들이 지역의 농수산 가공식품회사들로부터 기대하는 것이 유명 회사의 공산품처럼 뛰어난 디자인과 세계적인 생산규모와 첨단의 생산설비 그리고 화려한 광고 판촉활동이겠는가? 아니라면 어떤 것들을 기대하고 있겠느가? 아마도 특정 지역에서만 생산되는 식품이면서,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연 속에서 생산되는 제품. 사람 내음이 느껴지고 생산농가나 지역민의 손으로 만든 것, 특정 지역의 농산물만을 사용한 진품, 그리고 고향의 정서 또는 정성이 담긴 상품이기를 원할 것이라 생각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