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88982812286
· 쪽수 : 390쪽
· 출판일 : 1999-11-20
목차
제1권 연보 (1971.3~1975.6)
「세모(歲暮)」, 『여성동아』, 1971. 3
「어떤 나들이」, 『월간문학』, 1971. 9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현대문학』, 1972. 8
「부처님 근처」, 『현대문학』, 1973. 7
「지렁이 울음소리」, 『신동아』, 1973. 7
「주말농장」, 『문학사상』, 1973. 10
「맏사위」, 『서울평론』, 1974. 1
「연인들」, 『월간문학』, 1974. 3
「이별의 김포공항」, 『문학사상』, 1974. 4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세대』, 1974. 5
「닮은 방들」, 『월간중앙』, 1974. 6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신동아』, 1974. 8
「재수굿」, 『문학사상』, 1974. 12
「카메라와 워커」, 『한국문학』, 1975. 2
「도둑맞은 가난」, 『세대』, 1975. 4
「서글픈 순방(巡房)」, 『주간조선』, 1975. 6
제2권 연보 (1975.9∼1978.9)
「겨울 나들이」, 『문학사상』, 1975. 9
「저렇게 많이!」, 『소설문예』, 1975. 9
「어떤 야만」, 『뿌리깊은나무』, 1976. 5
「포말(泡沫)의 집」, 『한국문학』, 1976. 10
「배반(背叛)의 여름」, 『세계의문학』, 1976. 가을
「조그만 체험기」, 『창작과비평』, 1976. 가을
「흑과부(黑寡婦)」, 『신동아』, 1977. 2
「돌아온 땅」, 『세대』, 1977. 4
「상(賞)」, 『현대문학』, 1977. 4
「꼭두각시의 꿈」, 『수정』, 1977.
「여인들」, 『세계의문학』, 1977. 6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 『문예중앙』, 1977. 겨울
「낙토(樂土)의 아이들」, 『한국문학』, 1978. 1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세계의문학』, 1978. 3
「꿈과 같이」, 『창작과비평』, 1978. 6
「공항에서 만난 사람」, 『문학과지성』, 1978. 9
제3권 연보 (1979.3~1983.8)
「내가 놓친 화합(和合)」, 『문예중앙』, 1979. 3
「황혼」, 『뿌리깊은나무』, 1979. 3
「추적자」, 『문학사상』, 1979. 10
「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 1」, 『엘레강스』, 1979. 10
「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 2」, 『엘레강스』, 1979. 10
「아직 끝나지 않은 음모 3」, 『엘레강스』, 1979. 10
「육복(六福)」, 『소설문학』, 1980. 11
「침묵과 실어(失語)」, 『세계의문학』, 1980. 12
「천변풍경(泉邊風景)」, 『문예중앙』, 1981. 3
「쥬디 할머니」, 『소설문학』, 1981. 10
「꽃 지고 잎 피고」, 피어리스 사외보 『Ami』, 1981
「로열 박스」, 『현대문학』, 1982. 1
「무중(霧中)」, 『세계의문학』, 1982. 1
「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문학사상』, 1983. 3
「아저씨의 훈장」, 『현대문학』, 1983. 5
「무서운 아이들」, 『한국문학』, 1983. 7
「소묘(素描)」, 『소설문학』, 1983. 8
제4권 연보 (1984.1~1986.8)
「재이산(再離散)」, 『여성문학』, 1984. 1
「울음소리」, 『문학사상』, 1984. 2
「저녁의 해후」, 『현대문학』, 1984. 3
「어느 이야기꾼의 수렁」, 『문예중앙』, 1984. 6
「움딸」, 『학원』, 1984. 9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창비신작소설집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1984
「해산바가지」, 『세계의문학』, 1985. 6
「초대」, 『문학사상』, 1985. 10
「애보기가 쉽다고?」, 『동서문학』, 1985. 12
「사람의 일기」, 창비신작소설집 『슬픈 해후』, 1985
「저물 녘의 황홀」, 문학과지성사 신작소설집 『숨은 손가락』, 1985
「비애의 장(章)」, 『현대문학』, 1986. 2
「꽃을 찾아서」, 『한국문학』, 1986. 8
제5권 연보 (1987.1∼1994.4)
「저문 날의 삽화(揷話) 1」, 전예원 『분노의 메아리』, 1987. 1
「저문 날의 삽화(揷話) 2」, 『또하나의 문화』, 1987. 4
「저문 날의 삽화(揷話) 3」, 『현대문학』, 1987. 6
「저문 날의 삽화(揷話) 4」, 『창작과비평』, 1987. 7
「저문 날의 삽화(揷話) 5」, 『소설문학』, 1988. 1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창작과비평』, 1989. 6
「가(家)」, 『현대문학』, 1989. 11
「우황청심환」, 『창작과비평』, 1990. 6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여성동아문집』, 1991. 봄
「오동(梧桐)의 숨은 소리여」, 『현대소설』, 1992. 봄
「티 타임의 모녀」, 『창작과비평』, 1993. 여름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상상』, 1993. 가을
「가는 비, 이슬비」, 『한국문학』, 1994.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