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8394701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2-04-20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 내 깊숙한 내면에 숨겨진 놀라운 이야기들
1부 자아란 무엇인가?
1 육체와 자아
육체는 본질인가, 껍데기인가?
육체는 남자였지만 난 항상 여자였어요
파괴된 육체, 안에 남아 있는 개성
2 뇌와 자아
신경과학이 자아를 규명할 수 있는가?
뇌의 공조: 자아의 구성 방식
반쪽뇌, 손상된 뇌, 그리고 부서지는 자아들
3 기억과 자아
기억을 걷어내면 무엇이 남는가?
자아의 토대 혹은 현실의 여과기
치매 환자를 보는 관점
4 영혼과 자아
영혼은 실재하는가?
정신은 실체가 아닌 활동
‘비물질적 영혼’ 개념의 죽음
2부 자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5 다중 자아
‘내’ 안에 또 다른 ‘나’는 가능한가?
마돈나와 매춘부: 자아의 다른 얼굴들
내면의 다중성: 다수의 자아 vs 자아의 다면
6 사회적 자아
‘나’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가?
사회적 가면과 본질적인 ‘나’
문화의 산물: 낯섦과 차이의 지나친 강조
7 자아의 속임수
올바른 자아관은 어떤 것인가
명제1 자아의 통일성은 심리적 속임수가 만든 결과물
‘나’를 포착하는 일의 구조적 어려움
명제2 우리는 물질에 불과하지만 단순한 물질 이상이다
심리적인 것은 육체적인 것
명제3 속성 자체가 변하기에 정체성은 중요하지 않다
8 자아는 환상인가?
묶음이론은 자아를 부정하는가?
불교의 아나타: 무아(無我)가 아닌 비아(非我)
9 성격과 자아
성격이 행동을 결정하는가?
상황에 따른 성격의 일관성과 가변성
능동적으로 자아 만들기
3부 미래의 자아
10 사후의 생
환생은 자아의 생존을 의미하는가?
부활은 육체의 지속을 의미하는가?
11 자아의 디스토피아
기술의 진화가 자아를 재구성할 것인가?
자아가 폐기될 미래
므두셀라의 사회: 장수사회가 야기할 문제들
트랜스휴머니즘: 과연 자아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12 우리는 생각하는 생존 기계
자아 관점의 변화가 삶을 바꿀 것인가?
자유의지와 결정론 사이에서
타인은 확장된 나
죽음을 긍정하는 사유들
감사의 말 주석
리뷰
책속에서
자아는 그림과 같다. 너무 멀리 혹은 너무 가까이 있어서는 선명하게 보기가 힘들다. 하지만 적절한 거리에서 제대로 보면 자아는 분명 실재하지만, 우리 대부분이 상상하는 그런 모습은 아님을 알게 되리라.
가장 중요한 발견은 뇌 연구가 진주 찾기를 단념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자아와 뇌를 연구하는 모든 학자들은 이런 사실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인다. 임상신경학자 폴 브록스는 내게 이런 말을 했다. “…… 신경과학은 뇌에 모든 것이 하나로 통합되는 중심 따위는 없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