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84118751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0-05-29
책 소개
목차
제1장 조선왕실과 불교, 불교미술
제2장 조선 초기: 억불정책과 불교미술
1 조선 초기의 왕실 불교
2 왕·대군의 불사와 불교미술
3 비빈(妃嬪)의 불사와 불교미술
제3장 조선 중기: 궁정 양식의 확립
1 조선 중기의 왕실 불교
2 비빈의 불사와 불교미술
3 왕실 주변 인물의 불사와 불교미술
제4장 조선 후기: 원당(願堂) 건립의 성행과 왕실 불사
1 조선 후기의 왕실 불교
2 사찰 중수 및 원당 불사의 성행
제5장 조선 말기: 서울 인근 사찰의 왕실 불사
1 조선 말기의 왕실 불교
2 왕·비빈의 불사와 불교미술
3 종친 및 상궁의 불사와 불교미술
제6장 왕실 불사의 현장
1 내불당(內佛堂)
2 비구니 사찰
1) 정업원(淨業院)
2) 자수궁(慈壽宮)·인수궁(仁壽宮)·안일원(安逸院)
3 원당
제7장 왕실 불사의 재원(財源)
1 조선왕실의 재정
2 왕실 불사의 재원
1) 내수사
2) 상의원
3) 궁방
제8장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교미술의 특징
저자소개
책속에서
연복사 5층목탑은 비록 공양왕 대에 중창되었지만 태조가 개국 후 바로 탑을 완공한 사실을 볼 때 그가 이 탑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지를 알 수 있다. … 탑이 완성된 후 새로 만든 탑을 구경하러 연복사에 행차했을 뿐 아니라 준공을 기념하는 문수법회를 베풀고 친히 거동하여 자초(自超)의 선법 강설을 들었다.
왕실 여성들은 … 대부분 권력 뒤에 가려져 정치에서 소외되었는데, 바로 그러한 점이 자신들의 신념과 신앙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는 이점이 되기도 했다. 이들은 조선왕조가 정치적으로 내세운 성리학적 이념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왕의 어머니, 부인, 딸이라는 높은 신분을 이용하여 적극적인 불사를 행할 수 있었다.
선조의 불교정책은 임진왜란을 계기로 수립되고 시행되었다. 승려가 전투병력으로 참여하여 산성을 수호하고 둔전을 경작하는 등 불교계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동은 선조 이후 조선 후기 불교정책에 영향을 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