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쇼펜하우어
· ISBN : 978898411972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09-07
책 소개
목차
글쓴이의 말
제1장 생애
1. 쇼펜하우어의 생애
1) 쇼펜하우어의 유년기와 아버지
2) 어머니와의 관계
3) 괴팅겐대학 시기
4) 베를린대학의 사강사 시기
5) 프랑크푸르트 체류 시기
2. 니체의 생애
1) 니체의 유년기
2) 본대학 시기
3) 바젤대학의 교수 시기
4) 병과 투쟁하는 노년기
제2장 인식론
1. 쇼펜하우어의 인식론
1) 칸트의 영향
2) 충분근거율의 네 가지 형태
3) 표상으로서의 세계
4) 직관적 인식과 추상적 인식
5) 이성과 학문의 한계
2. 니체의 인식론
1) 인식과 학문비판
2) 관점주의
3) 해석으로서의 세계
4) 언어의 기원과 세계경험
제3장 자연철학
1. 쇼펜하우어의 자연철학
1) 목적론과 기계론비판
2) 몸과 의지
3) 자연에서의 의지
4) 의지의 객관화와 이념
5) 자연에서 인간의 위치
2. 니체의 자연철학
1) 그리스도교적 세계관 비판
2) 세계경험과 몸
3) 인과법칙의 한계
4) 자연의 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
5) 힘에의 의지로서의 자연
제4장 윤리학
1. 쇼펜하우어의 윤리학
1) 칸트윤리학 비판
2) 인간의 자유의지
3) 인간의 이기적 본성
4) 동정심의 윤리
2. 니체의 윤리학
1) 칸트윤리학 비판
2) 도덕의 기원
3) 원한감정
4)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5) 거리의 파토스
제5장 형이상학
1. 쇼펜하우어의 형이상학
1) 염세주의
2) 살려는 의지와 고통
3) 고통의 극복과 이념조망
4) 금욕주의
5) 의지의 부정
2. 니체의 형이상학
1) 가치의 가치전도
2) 대지의 철학
3) 생성세계와 영원회귀
4) 비극적 사유
5) 인간과 초인
6) 운명애
글을 마치면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객관을 원인으로 삼는 실재론과 객관을 주관의 결과로 삼는 관념론 그리고 세계의 실재성에 대해서 의심하는 회의론 모두가 충분근거율을 주관과 객관 사이에 적용시킬 때 일어나는 오류일 뿐이다. 실재론은 객관을 주관의 원인으로 그리고 관념론은 주관을 객관의 원인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주관과 객관 사이에는 근거율이 적용될 수 없다. 이 점을 간과하기 때문에 실재론과 관념론은 끊임없이 대립하였던 것이다.
니체는 전통형이상학이 규정한 인간과 세계의 왜곡된 주장들이 가져온 결과들을 비판한다. 특히 전통형이상학이 만든 이원론에 의해서 인간의 현사실적인 삶이 부정되고 나아가서 초월적 세계를 상정하면서 인간의 세계경험은 변질되어 버렸다. 참된 세계, 본질세계, 불변하는 세계와 같은 표현들은 형이상학에 의해서 오염된 추상적인 개념들일 뿐이며 의미 있는 세계경험을 가로막는다는 것이 니체의 지적이다.
쇼펜하우어는 자연 전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지의 객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지가 객관화된 것을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비유기체적인 자연이고, 다른 하나는 유기체적인 자연이다. … 그런데 자연력에 대한 언급에서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자연력을 그 자체가 원인이나 결과인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