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84290136
· 쪽수 : 522쪽
· 출판일 : 1999-06-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세계가 무엇인가, 세계관이 무엇인가
세계와 세계관/ 이론 적재적 관찰/ '세계를 바라보는 창': 기독교와 마르크스의 인간관/ 공병호와 장상환/ 모든 패러다임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제2장 20세기의 낙관적의자 포퍼
절망의 20세기/ 한 좌파 지식인의 비관/ 낙관주의자 포퍼/ 포퍼의 학문적 생애/ 역사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라이프니츠와 다른 낙관주의자 포퍼
제3장 열린 사회의 철학적 기초
합리적 방법/ 비판적 합리주의의 원조 소크라테스/ 비합리주의의 위험성/ 과학의 객관성/ 귀납의 문제/ 구획기준의 문제와 반증가능성/ 얻기 어려운 진리/ 세계 3과 비판적 합리주의
제4장 열린 사회의 이념적 지향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 정치적 담론에서의 개방성/ 베르그송의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 포퍼의 열린 사회/ 닫힌 사회/ 열린 사회에서 개인의 책임
제5장 열린 사회의 역사적 기원
살아 있는 조상의 그림자/ 금기의 지배를 받은 부족사회/ 소박한 일원론과 비판적 이원론/ 자연주의와 반자연주의/ 경쟁 없는 유기체 사회와 경쟁사회/ 닫힌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 '위대한 세대'의 열린 정신/ 열린 사회의 사상가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배반/ 열린 사회로의 길/ 참여와 책임
제6장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싫으면 남아서 고쳐라/ 유토피아주의/ 유토피아적 사회공학/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의 기본 이념/ 유토피아적 사회공학에 대한 비판/ 폭력 수반/ 고비용/ 전체론의 문제점/ 유토피아주의의 유미주의적 완전주의적 성격의 귀결/ 혁명적인 사회개혁의 문제점과 대안
제7장 점진적 사회공학
점진적 사회공학의 특성/ 점진적 사회공학의 두 가지 명법/ 고통의 감소/ 직접적 방법/ 진보의 척도
제8장 사람이 우선인가, 제도가 우선인가
잘못된 물음/ 덕치인가, 법치인가/ 철인왕/ 마르크스의 제도 불신/ 정치무력론/ 계급투쟁과 사회주의의 도래/ 포퍼의 대안/ 정치무력론의 약점들/ 형식적 자유/ 국가 간섭의 두 가지 형태/ 권력의 도구로서의 법
제9장 열린 사회와 민주주의
민주주의의 다의성/ 비판적 합리주의의 민주주의론/ 민주주의의 역설/ 여론의 신화/ 여론의 위험성/ 중요한 것은 여론이 아니라 합리적 토론이다
제10장 자유주의, 열린 사회, 그리고 국가
바람직한 국가/ 얽매이지 않는 자유주의/ 정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자유주의/ 자유주의의 발전과 상업/ 포퍼는 자유주의자인가/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적 인간관/ 마르크스의 사회주의적 인간관/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포퍼의 보호주의적 국가이론/ 보호주의에 대한 또다른 반론/ 보호주의의 창시자/ 비판적 합리주의의 국가관/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제11장 열린 사회와 전체주의
전체주의 체제/ 플라톤의 전체주의적 행복/ 전체주의적 정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문명사회의 위협: 전체주의/ 인간은 자유를 원하는가/ 전체주의에 대한 베텔하임의 설명
제12장 폭력사용의 정당화
폭력의 문제/ 박노해의 폭력정당화/ 폭력에 대한 대안/ 이성과 폭력사용의 정당화/ 혁명의 유혹/ 지켜야 할 가치들
제13장 역사는 정해진 법칙에 따라 진행되는가
미래 예측/ 역사주의/ 전통적 역사주의와 포퍼의 역사주의/ 역사주의의 기원/ 헤라클레이토스의 역사주의/ 플라톤의 역사주의/ 헤겔의 역사주의/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마르크스의 역사주의 비판/ 물리학과 역사학
제14장 역사의 의미와 인간의 책임
역사와 미래/ '역사'라는 말의 의미/ 이론과 사실/ 객관적 사실의 신화/ '역사의 의미'에서 '의미'란 무엇인가/ 포퍼의 역사의 의미/ 역사주의자의 역사해석에 대한 비판/ 인간이 부여한 역사의 의미
제15장 가치관의 특성과 변화
열린 사회와 변영/ 가치체계의 일반적인 특성/ 가난에서 벗어난 한국/ 지난 1세기 동안 한국 사회에서의 가치관의 변화/ 열린 사회를 가로막는 가치관
제16장 열린 사회의 개인주의와 닫힌 사회의 집단주의
열린 사회와 문화/ 열린 사회와 권력거리/ 집단주의 사회와 개인주의 사회
제17장 열린 사회로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치관과 이념들
정신적 패러다임/ 권위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가치관의 변화/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국민기업/ 가치관의 변화
제18장 닫힌 사회 북한과 통일
햇볕정책과 북한/ 쿤의 패러다임 이론과 이념적으로 불가공약적인 남한과 북한/ 주체사상과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정일의 남한 인식/ 공산권의 몰락에 대한 해석/ 사유재산제와 사상의 자유/ 통일정책/ 불가공약적인 두 패러다임의 통합, 또는 공존/ 변해야 할 통일정책/ 통일을 위하여
저자소개
책속에서
열린 사회와 닫힌 사회는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열림'과 '닫힘'은 사회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현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열림'과 '닫힘'은 흑백논리가 아니라 정도를 나타내는 상대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어느 사회나 문화와 개인에 대해 '열림'과 '닫힘'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있지만, 완벽하게 닫힌 상태나 완벽하게 열린 상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닫힘'에서 '열림'으로의 정도가 높은 사회가 있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사회가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하는 방향성이다. --본문 4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