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교조의 이념과 운동 비판 (NGO 시리즈 1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4291164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05-06-15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84291164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05-06-15
책 소개
전교조의 역사와 이념을 분석함으로써 전교조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전교조의 교육이념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저자는 교육주도권을 놓고 정부와 전교조의 대립 양상을 설명하면서,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권을 가질 때 우리 교육의 문제들이 비로소 풀리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한다.
목차
I. 서론
II. 전교조와 교육단체들의 교육이념
1. 이념대립과 정책대립
2. 전교조와 교총, 학부모 단체의 교육이념
III. 전교조의 출현과 참교육
1. 민주화 운동과 교육민주화 선언
2. 전교조의 탄생과 합법화
3. 참교육
IV. 교육권의 주체논쟁
1. 교육권의 주체는 누구인가
2. 전교조의 교육주권론에 대한 비판
3. 교육과정 편성권
4. 교육부의 참교육 비판
5.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자유민주주의
V. 전교조의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비판과 교육의 공공성
1. 시대상황의 변화와 전교조의 전략 수정
2.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비판
3. 교육복지와 교육평등
4. 전교조의 새로운 구호로서 교육의 '공공성'
5. 교육의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6. 공교육에 대한 투자확대가 교육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VI. 대안을 찾아서 : 교육 소비자 주권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교조의 주장에 대해 정치권이 개입함으로써 상황은 더욱 더 복잡하게 되었다. 정부와 정당들은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교육내용에 관련된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각기 다른 해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고등학교에서 교육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사이의 경계조차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이것이 우리의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교실에서 아무런 제한 없이 모든 것이 교육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현재 입장인 것처럼 보인다. 이미 정부는 교육권의 상당 부분을 전교조에 양도한 것인가. - 본문 73쪽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