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누드를 벗기다

누드를 벗기다

(누드에 관한 불편한 진실)

프랜시스 보르젤로 (지은이), 공민희 (옮긴이)
시그마북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0원
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누드를 벗기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누드를 벗기다 (누드에 관한 불편한 진실)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84455115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2-11-01

책 소개

전 세계 예술가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 당대 누드 작품을 통해 20~21세기 누드의 역할을 살펴본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간의 신체와 누드에 관한 근대 예술과 당대 예술, 역사적 문화적 고정관념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재생된 누드
제1장 누드화의 출현과 쇠퇴 그리고 부활
제2장 신체예술 : 나체로의 여정
제3장 변하는 공간 : 여성의 관점
제4장 화가임을 용서하소서
제5장 누드초상화
제6장 로댕 이후, 더 할 말이 남아 있는가?
제7장 극한의 예술
NOTES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프랜시스 보르젤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미술의 사회사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누드를 벗기다』 『우리의 세계-르네상스 이후의 여성 미술가A World of Our Own: Women as Artists Since the Renaissance』 『누워 있는 누드Reclining Nude』 등이 있다.
펼치기
공민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외국어대학교를 졸업, 영국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에서 문화유산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현재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역서로는 《저는 38세에 죽을 예정입니다만》, 《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상속 게임》, 《보이지 않는 것들》, 《절대 말하지 않을 것》, 《세상의 모든 집으로》, 《와인으로 얼룩진 단상들》, 《죽음 앞에서 선택한 완벽한 삶》, 《벽 속에 숨은 마법 시계》, 《당신이 남긴 증오》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르네상스 시대까지 여성의 누드는 미술에서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르네상스 시대에서도 남성의 나체상으로 그리스도의 형상이나 고전 영웅의 모습을 그려 신의 완벽함을 표현하는 그리스의 전통은 지속되었지만 여체가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은 거의 없었다. 고대 예술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당대 예술가들과 후원자들은 삼손, 헤라클레스 혹은 이탈리아의 경우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통해 존경스런 인물을 인간적으로 구체화시켰다. 반면에 이브나 아름답지만 사악한 비너스처럼 나체의 여성은 죄악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예술가들이 실존하던 실제 세계는 교회의 교리를 중시한 탓에 여성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그래서 지성과 도덕성은 남성만이 주장할 수 있었고 여성은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고 본능적이라 여겨 비교 자체를 꺼렸다. 그래서 사랑의 여신인 비너스는 전쟁의 신 마스만큼 도덕적으로 높이 칭송받지 못했다. 신을 이상적으로 표현하는 데는 남성의 나체가 최고였다.
이러한 이상적인 누드의 성별이 바뀐 것은 16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였다. 1510년에 베니스에서 조르조네가 처음으로 누워 있는 여체를 그린 '잠자는 비너스'를 발표하면서 여성 누드의 장을 열었다. 실물 크기로 그려진 비너스는 아름답고 소극적인 완벽함을 표현하면서도 어떤 도덕적 설명도 필요하지 않게 만들었다. 비스듬히 누워 한 손을 머리에 올리고 다른 한 손으로 성기를 가리고 부끄러운 듯 가슴을 드러내고 있는 모습은 당대 예술계에 처음으로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누드화였다. 그녀는 모든 이의 머릿속에 각인되었으며 후대 아마추어 예술 수업에서도 빠지지 않는 주제가 되었다.
클라크의 우아한 작품은 여체가 ‘불편한 느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고대 그리스에서 처음으로 여성이 옷을 벗고 예술가 앞에서 포즈를 취한 이래로 면면히 이어진 전통의 부활을 이루어냈다. 물론 사람들은 이 기품 있는 누드화를 얻기 위해서 실제로 한 여성이 남성 앞에서 옷을 벗고 나체를 드러냈을 거라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예술계 이단아들을 매혹시킨 것은 일반적인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매혹적인 자유를 드러냈다는 점이었다. 누드화가 시작된 초기 시대에서부터 예술가들을 위해 기꺼이 옷을 벗는 여성들에겐 그들만의 강렬한 성적 아우라가 있었다. 예를 들어 그리스의 철학자 플리니는 로마의 미술가 아렐리우스가 부인이 가진 성적 아우라를 여신에게 투영시켜 결과적으로 그의 작품 속에 매춘부가 자리 잡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18세기에 설립된 런던 로열 아카데미는 학생들에게 더 나은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여성 모델에게 더 높은 모델료를 주었다. 다르게 해석하면 누드모델은 매춘부가 아니라는 점을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유럽 아카데미에서는 젊은 남성이 여성의 나체를 그리다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게 될까 봐 매우 염려해서 여성 모델을 쓰지 않고 그리는 것을 더 선호했다.
- '누드화의 출현과 쇠퇴 그리고 부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