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후기 의상개수론과 의상 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과학/기술사
· ISBN : 978898494632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6-2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과학/기술사
· ISBN : 978898494632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9-06-25
책 소개
조선왕조 ‘의상’의 역사를 ‘과학사상사’의 관점에서 종합적.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그 일차적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각종 의상 제작의 이념적 배경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제2장 조선왕조 의상(儀象)의 창제(創制)
1. 세종 대 천문역산학(天文曆算學)의 정비
2. 의상의 창제
3. 세종 대 의상의 연원(淵源)과 역사적 의미
제3장 양란(兩亂) 전후 의상의 중수(重修)
1. 양란(兩亂) 이전 세종 대 의상의 중수:중종(中宗)‧명종(明宗)‧선조(宣祖) 대
2. 왜란(倭亂) 이후 의상의 복원:선조(宣祖) 말~광해군(光海君)대
3. 호란(胡亂) 이후 의상의 중수:인조(仁祖)~현종(顯宗) 대
제4장 서양식 천문의기의 전래와 수용
1. 서양식 천문의기의 전래
2. 간평의(簡平儀)와 혼개통헌의(渾蓋通憲儀)
3. 서양식 천문의기의 민간 유통과 그에 대한 인식
제5장 조선후기 의상개수론(儀象改修論)의 대두와 전개
1. 실측(實測)·측량(測量)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의상개수론의 대두:정조(正祖)의 「천문책(天文策)」을 중심으로
3. 의상개수론의 전개와 지향
4. 선기옥형(璿璣玉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제6장 정부의 의상 개수 정책
1. 숙종(肅宗)·경종(景宗) 대의 의상 제작
2. 영조(英祖) 대 의상의 중수와 서양식 천문의기의 도입
3. 정조(正祖) 대 의상 개수(改修) 정책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