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구만옥 (지은이)
들녘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150원 -10% 850원 14,580원 >

책 이미지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91159251955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6-09-30

책 소개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 4권. 유교.주자학의 정치사상적 필요에 따라 추진된 과학정책이라는 한 측면과 집권체제의 사회경제적 요청에 따라 시행된 각종 과학기술정책의 성과와 의미를 분석하는 두 가지 방향에서 세종대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와 그 성과를 정리했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머리말

제1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토대
1절 세종대의 역사적 좌표
1. ‘수성(守成)’의 시대
2. ‘해외지국(海外之國)’으로서 조선의 정체성
2절 집권체제의 재편과 과학기술의 필요성
3절 유교·주자학과 과학기술의 연관성: 역상수시(曆象授時)와 경천근민(敬天勤民)
4절 과학기술 정책의 추진 방향과 ‘풍토부동론(風土不同論)’

제2장 세종시대 과학기술 정책
1절 과학기술 정책의 집행 기구
1. 서운관의 정비
2. 산학(算學) 교육 기관
3. 의료 기관의 정비: 전의감·혜민국·제생원
4. 서적 인쇄 기관: 서적원·교서관·주자소
5. 조지소(造紙所=造紙署)
2절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
3절 공장(工匠) 계층의 관리와 운용

제3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중추인물
1절 세종: 과학기술 정책의 중심
1. 과학기술 정책의 추진 주체로서의 세종
2. ‘세종=성군(聖君)’ 담론의 형성과 전개
2절 학술 관료[문인 관료, 양반 관료]
1. 정흠지
2. 정초
3. 김돈
4. 김빈
5. 정인지
6. 이순지와 김담
7. 정척
3절 기술 관료[기술자]
1. 장영실
2. 이천
3. 박자청
4. 노중례
5. 관상감 관원들
6. 배상문

제4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성취
1절 천문역산학의 정비와 『칠정산』의 편찬
1. 천문역산학의 체계화
2. 『칠정산』의 편찬: 본국력의 확립
3. 천문의기의 제작
2절 지도의 제작과 지리지의 편찬
1. 지도의 제작
2. 지리지의 편찬
3절 의료 환경의 개선과 의학의 정비
1. 세종대 의료의 실태
2. 의료 기관의 정비
3. 의료 인력의 양성
4. 의서의 편찬과 보급
4절 ‘농업기상학’의 발전
1. 측우기의 발명
2. 수표의 설치
3. 풍기의 제작
5절 금속활자 인쇄술의 개선
6절 군사기술의 개량: 화약(火藥)·화기(火器: 銃筒)·병선(兵船)
1. 화약
2. 화기
3. 병선
7절 도량형의 정비와 표준화: ‘동률도량형’의 구현
1. 척도의 제정
2. 양제(量制)의 정비
3. 형제(衡制)의 정비

제5장 세종시대 과학 지식의 재구성
1절 국내외 서적의 수집과 수입
1. 국내 서적의 수집
2. 중국 서적의 수증(受贈)과 무역(貿易)
2절 고제(古制) 연구와 유서(類書)의 활용
3절 과학 지식의 재구성과 서적 편찬
1. 『농사직설』
2. 의서: 『향약집성방』·『태산요록』·『의방유취』
1) 향약집성방 Ⅰ 2) 태산요록 Ⅰ 3) 의방유취
3. 천문역법서: 『칠정산』·『제가역상집』
1) 칠정산 Ⅰ 2) 제가역상집

맺음말
<부표> 세종대 과학사 연표
주석
표 및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구만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후기 자연관, 자연인식, 자연학 관련 담론을 탐구하여 조선후기 사상사의 변동 과정을 해명하는 작업에 학문적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연구 Ⅰ주자학적 우주론의 변동』, 『영조 대 과학의 발전』이 있고, 공저로 『한국실학사상연구 4(과학기술편)』,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한국유학사상대계 (과학기술사상편)』, 『성호 이익 연구』, 『세종의 서재』 등이 있으며, 「조선후기 ‘선기옥형’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 정조의 천문책과 그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 연구의 쟁점에 대한 검토와 제언」, 「마테오 리치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을 비롯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59256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