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고대철학 일반
· ISBN : 9788984983984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05-02-04
책 소개
목차
서문 고대의 처세술과 행복에 관하여
1. 고대에 윤리학은 과연 무엇을 의미했는가
1.1 고대철학에 나타난 처세술과 자기 보호
1.2 금욕적 모델과 치료적 모델
1.3 철학 학파 그리고 철학자의 이상상
2. 무엇이 행복한 삶인가
2.1 행복애 대한 전통적.철학적인 해석
2.2 헬레니즘 시대와 후기 고대의 행복론
2.3 고대와 현대의 행복 이해
3. 고대의 덕성 개념
3.1 덕성 윤리학 : 장점과 단점
3.2 덕성의 합리성.교수성.동일성
3.3 고대 덕성 윤리학의 여러 가지 관점
4. 합리적인 생활 태도의 장애
4.1 우연적 상황, 격정, 욕망
4.2 인간의 반사회적 태도의 원인과 배경
4.3 책임, 자유의지, 사악한 의도
5. 고대 윤리학과 현대의 도덕성 개념
5.1 도덕성 개념과 고대의 윤리적 전통
5.2 고대 철학에 나타난 도덕성 요소
5.3 목적론적 윤리학의 모델
5.4 윤리학과 자의식 이론
6. 처세술 모델의 역사적 단계
6.1 영향사에서 연속성과 불연속성
6.2 고대 윤리학은 아직도 철학적 의미를 지니는가
약어 설명
개념 설명
철학자와 학파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처세술과 자기보호에 관한 윤리학이 근대에 이르러 다시 자리매김하게 된 전기는 프리드리히 니체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니체는 특히 극기라는 금욕 개념을 강하게 공격한다("금욕은 복을 화로 만드는 것이다": KSA 2, 84). 니체는 이러한 금욕사상을, 극히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성직자'의 생활태도와 연결시켰다. 니체는 이에 대한 책임을 유대교와 기독교에 돌리고 있다. 금욕적 이상에 대항해 니체는 '실용적 미학'을 설명하는데, 이는 모든 그리스 철학자들에게서 그리고 현대 교양사상으 ㅣ중대한 미해결 문제를 위한 고대 덕성 개념에서 나타나고 있다. --6장 '처세술 모델의 역사적 단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