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86019759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07-07-13
책 소개
목차
1. 생물의 구성(물에 사는 생물)_악어가 눈물을 흘리는 이유는?
- 얼음으로 덮여 있는 바다에 물고기가 살 수 있을까?
- 상어는 크기가 클수록 더 위험한 것일까?
- 인간을 공격하는 거대한 문어가 정말 존재할까?
- 바다코끼리의 엄니는 조개를 파먹을 때만 사용한다?
- 간유는 고래에만 간유 있을까?
- 백상아리의 몸은 전부 하얀색일까?
- 물수리는 한 번 잡은 먹이는 절대 놓지 않는다?
- 두꺼비를 만지면 사마귀가 생길까?
- 악어가 눈물을 흘리는 이유는 슬프기 때문에?
- 크로커다일과 앨리게이터의 차이점은?
- 무당개구리는 위험이 닥치면 벌렁 드러눕는다?
- 쉬어가는 시간-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칼 폰 린네)
2. 생물의 구성(땅에 사는 생물)_코브라는 달리는 말을 추월할 수 있을까?
- 모든 동물은 수컷이 암컷보다 몸집이 클까?
- 수사슴은 1년 내내 뿔이 솟아 있을까?
- 육각형으로 된 낱눈을 가진 곤충, 사물이 모자이크로 보일까?
- 독을 가지고 있는 생물은 뱀밖에 없다?
- 시베리아호랑이는 시베리아에 살고 있을까?
- 검은표범은 표범과 다른 종일까?
- 도마뱀붙이는 어떻게 천정을 올라갈 수 있을까?
- 캥거루는 1마리의 새끼만 돌본다고?
- 원숭이가 서로 이를 잡아 주는 이유는?
- 코끼리는 항상 쿵쾅거리며 모든 것을 짓밟고 다닌다?
- 기억력이 좋은 코끼리, 인간보다 더 좋을까?
- 아기 코끼리는 긴 코로 모유를 먹을까?
- 들쥐와 생쥐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코브라는 달리는 말을 추월할 수 있을까?
- 쉬어가는 시간-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로버트 훅)
3. 생물의 자극과 반응_물고기는 코가 있을까?
- 물고기는 코가 있을까?
- 얼굴에 눈이 없는 생물이 있을까?
- 인간은 맛을 혀로만 느끼는 것일까?
- 새의 부리는 감각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뻣뻣하다?
- 도둑새로 불린 까치, 그 유래는?
- 고양이와 개는 색맹이다?
- 쉬어가는 시간_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마티아스 야코프 슐라이덴)
4. 식물의 구조와 기능_곤층을 잡아먹는 식물이 있다고?
- 떡잎이 1장이면 무조건 외떡잎식물일까?
- 꽃은 곤충에 의해서만 수분한다?
- 꽃은 곤충을 통해 수정한다?
- 모든 꽃봉오리는 항상 열려 있다?
- 식물은 빨리 움직일 수 없다?
-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이 있다고?
- 버섯은 식물에 속한다?
- 나무의 나이는 어떻게 알까?
- 수목은 완전히 살아 있는 세포로만 이루어져 있을까?
- ‘자연의 약국’에서 만든 약초, 전혀 해가 되지 않을까?
- 선인장은 모두 가시가 있을까?
- 자연보호지역은 항상 다양한 종들의 생물이 살고 있을까?
- 열대우림은 밀림처럼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서 있을까?
- 열대우림에 가면 다양한 동물을 만날 수 있을까?
- 우림지대는 오직 열대에만 있을까?
- 이브가 딴 선악과는 어떤 과일일까?
- 쉬어가는 시간-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찰스 로버트 다윈)
5. 생식과 발생_개미 알은 진짜 개미 알일까?
- 생물의 번식에도 예외가 있다?
- 새가 크면 알도 클까?
- 새가 클수록 부화기간이 더 긴 것일까?
- 새는 봄에만 부화를 할까?
- 새들은 겨울 추위 때문에 남쪽으로 가는 것일까?
- 청둥오리의 수컷이 멋을 내는 이유는?
- 철사벌레가 곤충이었다고!
- 개미 알은 진짜 개미 알일까?
- 개구리는 물속에서만 올챙이를 키울까?
- 죽지 않는 생물이 있을까?
- 정자 없이 난자 혼자만의 힘으로 생물이 태어날 수 있을까?
- 동물원에서는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 쉬어가는 시간-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그레고어 요한 멘델)
6. 유전과 진화_공룡은 너무 추워서 멸종한 것일까?
- 뇌가 클수록 더 똑똑해지는 것일까?
- 찰스 다윈은 최초의 생물진화론자였다?
- 번식하지 않고 혼자 오래 사는 것이 진화에 더 도움이 될까?
- 공룡은 너무 추워서 멸종한 것일까?
- 공룡들은 모두 거대했을까?
- 거대 공룡인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물속에서만 살았다?
- 시조새는 날 수 있었을까?
- 콘도르는 맹금류에 속하는 것일까?
- 가장 오래 사는 새는?
- 모든 포유류는 선천적으로 수영 능력을 타고나는 것일까?
- 유대류의 고향은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에 살고 잇는 동물은 모두 유대류다?
- 두더지는 빛이 있는 곳에 나오면 죽는다?
- 늑대는 왜 달 밝은 밤에 우는 것일까?
- 가장 큰 곰은 북아메리카 큰곰이다?
- 태즈메이니아타이거는 호랑이다?
- 수말은 언제나 무리의 우두머리다?
- 치타는 동종교배 때문에 희귀해진다?
- 고래는 털이 있을까?
- 바다코끼리는 바다에 사는 코끼리다?
- 바다표범은 바다에만 살고 있을까?
- 쉬어가는 시간-교과서에서 만나는 생물학자(안톤 판 레이우엔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