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배반당한 혁명

배반당한 혁명

레온 트로츠키 (지은이), 김성훈 (옮긴이)
갈무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배반당한 혁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배반당한 혁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고전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8611409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8-07-01

책 소개

소련의 스탈린주의 체제가 한창 위세를 떨치던 1930년대 스탈린주의의 테러와 암살 위협 속에서 씌어진 트로츠키의 대표적 정치분석서.

목차

역자 서문 : 뜨로츠키와 노동자국가 7
서문 48

1장 그동안 무엇이 성취되었는가? 53
1. 공업 성장의 주요 지수들 54
2. 소련이 이룩한 업적에 대한 비교 평가 58
3. 인구 일인당 생산량 66

2장 경제성장과 당 지도부의 좌충우돌 72
1. “전시 공산주의”, “신경제정책”, 쿨락에 대한 정책 73
2. 급선회 : “4년 내에 5개년 계획을 완수하자”와 “완벽한 집단화” 86

3장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100
1. 이행기 체제 101
2. 강령과 현실 106
3. 노동자국가의 이중적 성격 109
4. “일반화된 결핍”과 경찰기구 113
5.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화” 118

4장 노동생산성을 향한 투쟁 124
1. 화폐와 계획 125
2. “사회주의적” 인플레 129
3. 루블화의 복권 136
4. 스타하노프 운동 140

5장 소련에서의 테르미도르 반동 148
1. 왜 스딸린은 승리했는가 149
2. 볼셰비키당의 퇴보 158
3. 테르미도르 반동의 사회적 기반 170

6장 불평등과 사회적 적대관계의 증대 181
1. 궁핍, 사치, 투기 182
2. 노동자계급의 계층적 분화 190
3. 집단화 농촌의 사회적 모순 197
4. 관료 지배층의 사회적 외관 203

7장 소련의 가족, 청년, 문화 212
1. 가족 내부의 테르미도르 반동 213
2. 청년에 대한 관료집단의 억압 229
3. 민족과 문화 241

8장 소련의 대외정책과 군대 260
1. “세계혁명”에서 “현상유지”로 261
2. 국제연맹과 코민테른 269
3. 적군과 그 군사이론 282
4. 민병대의 해체와 장교계급의 부활 293
5. 전쟁 상황의 소련 303

9장 소련의 사회적 관계 313
1. 소련이 국가자본주의 체제인가? 325
2. 관료집단이 지배계급인가? 329
3. 소련의 사회 성격은 아직도 결정되지 않았다. 333

10장 새로운 헌법을 통해서 바라본 소련 338
1. “능력에 따른” 일과 개인 재산 339
2. 소비에트와 민주주의 342
3. 민주주의와 당 348

11장 소련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357
1. 보나파르트 체제 : 정치적 위기의 산물 358
2. “계급의 적”에 대한 관료집단의 투쟁 365
3. 새로운 혁명의 불가피성 371

보론 “일국 사회주의” 이론 379
후기 400
뜨로츠키 연보 405
찾아보기 411

저자소개

레온 트로츠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레프 다비도비치 브론시타인이며 1870년 우크라이나의 유태인 가정에서 출생하였다. 1898년에 혁명가로 체포되어 시베리아에 유형되었으나 탈출하여 1902년 런던에서 레닌과 합류했다. 러시아사회민주당의 분열과정에서 그는 볼셰비키와 멘셰비키의 주장을 화해시키기 위해 이 양측에서 독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1905년에 러시아로 돌아와 수도에 있는 제1소비에트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두 번째 시베리아 유형에 처해졌고 또다시 탈출하였다. 1917년 2월 혁명이 발발하였을 때 뉴욕에 있었으나 5월에는 페뜨로그라드로 돌아왔고 10월에는 페뜨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이 되었다. 그는 외무인민위원이 되었고 탁월한 논쟁술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협약의 조인을 지연시켰다. 내전이 시작되었을 때 그는 전쟁위원으로 임명되어 적군(赤軍)을 창설하였다. 레닌 사후 스딸린에 의해 직책에서 쫓겨났고 1927년에는 출당되었다. 1929년에는 터키로 추방되었지만 거기에서 『러시아 혁명사』를 집필하였다. 이후에 프랑스, 노르웨이 등지에서 망명생활을 했으며 마지막 망명지인 멕시코에서 1940년 8월에 스딸린이 보낸 암살자에 의해 살해되었다.
펼치기
김성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6년 출생. 1989년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소련 정부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소련의 “친구들”이라고 인정되고 있는 인사들의 대다수는 소련에 대한 비판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적대감은 소련 체제의 허약함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소련에 대한 자신들의 공감이 허약하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한 허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두려움과 경고를 모두 차분한 마음으로 무시할 것이다. 사태를 결정짓는 것은 환상이 아니라 사실이다. 우리는 가면이 아니라 진실된 모습을 드러내고자 한다.
― 서문


현재 소련은 서방의 기술적·문화적 성과들을 수입하고 빌리고 도용하는 가운데 사회주의체제 건설의 준비 단계를 경과하고 있다. … 자본주의 체제가 완전하게 정체하고 있는 상황이 계속될 리는 없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고 하더라도 이 준비 단계는 아직도 역사적 시기 전체를 소요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앞으로 연구를 진전시키는 데 있어서 우리에게 필요한 아주 중요한 첫 번째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 1장 그동안 무엇이 성취되었는가


러시아는 자본주의의 가장 강한 고리이기는커녕 가장 약한 고리였다. 현재 소련은 세계의 경제수준을 능가하고 있기는커녕 자본주의 국가들을 따라잡으려고 노력하고 있을 뿐이다. 당대에 가장 발전한 자본주의의 생산력을 사회화한 기반에서 형성될 사회를 맑스가 공산주의의 가장 낮은 단계 즉 사회주의라고 불렀다면 이것은 명백히 소련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3장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