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고전 마르크스주의
· ISBN : 978898611409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8-07-01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 뜨로츠키와 노동자국가 7
서문 48
1장 그동안 무엇이 성취되었는가? 53
1. 공업 성장의 주요 지수들 54
2. 소련이 이룩한 업적에 대한 비교 평가 58
3. 인구 일인당 생산량 66
2장 경제성장과 당 지도부의 좌충우돌 72
1. “전시 공산주의”, “신경제정책”, 쿨락에 대한 정책 73
2. 급선회 : “4년 내에 5개년 계획을 완수하자”와 “완벽한 집단화” 86
3장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100
1. 이행기 체제 101
2. 강령과 현실 106
3. 노동자국가의 이중적 성격 109
4. “일반화된 결핍”과 경찰기구 113
5.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화” 118
4장 노동생산성을 향한 투쟁 124
1. 화폐와 계획 125
2. “사회주의적” 인플레 129
3. 루블화의 복권 136
4. 스타하노프 운동 140
5장 소련에서의 테르미도르 반동 148
1. 왜 스딸린은 승리했는가 149
2. 볼셰비키당의 퇴보 158
3. 테르미도르 반동의 사회적 기반 170
6장 불평등과 사회적 적대관계의 증대 181
1. 궁핍, 사치, 투기 182
2. 노동자계급의 계층적 분화 190
3. 집단화 농촌의 사회적 모순 197
4. 관료 지배층의 사회적 외관 203
7장 소련의 가족, 청년, 문화 212
1. 가족 내부의 테르미도르 반동 213
2. 청년에 대한 관료집단의 억압 229
3. 민족과 문화 241
8장 소련의 대외정책과 군대 260
1. “세계혁명”에서 “현상유지”로 261
2. 국제연맹과 코민테른 269
3. 적군과 그 군사이론 282
4. 민병대의 해체와 장교계급의 부활 293
5. 전쟁 상황의 소련 303
9장 소련의 사회적 관계 313
1. 소련이 국가자본주의 체제인가? 325
2. 관료집단이 지배계급인가? 329
3. 소련의 사회 성격은 아직도 결정되지 않았다. 333
10장 새로운 헌법을 통해서 바라본 소련 338
1. “능력에 따른” 일과 개인 재산 339
2. 소비에트와 민주주의 342
3. 민주주의와 당 348
11장 소련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357
1. 보나파르트 체제 : 정치적 위기의 산물 358
2. “계급의 적”에 대한 관료집단의 투쟁 365
3. 새로운 혁명의 불가피성 371
보론 “일국 사회주의” 이론 379
후기 400
뜨로츠키 연보 405
찾아보기 411
리뷰
책속에서
소련 정부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소련의 “친구들”이라고 인정되고 있는 인사들의 대다수는 소련에 대한 비판에 대해 적대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적대감은 소련 체제의 허약함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차라리 소련에 대한 자신들의 공감이 허약하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한 허세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두려움과 경고를 모두 차분한 마음으로 무시할 것이다. 사태를 결정짓는 것은 환상이 아니라 사실이다. 우리는 가면이 아니라 진실된 모습을 드러내고자 한다.
― 서문
현재 소련은 서방의 기술적·문화적 성과들을 수입하고 빌리고 도용하는 가운데 사회주의체제 건설의 준비 단계를 경과하고 있다. … 자본주의 체제가 완전하게 정체하고 있는 상황이 계속될 리는 없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고 하더라도 이 준비 단계는 아직도 역사적 시기 전체를 소요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앞으로 연구를 진전시키는 데 있어서 우리에게 필요한 아주 중요한 첫 번째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 1장 그동안 무엇이 성취되었는가
러시아는 자본주의의 가장 강한 고리이기는커녕 가장 약한 고리였다. 현재 소련은 세계의 경제수준을 능가하고 있기는커녕 자본주의 국가들을 따라잡으려고 노력하고 있을 뿐이다. 당대에 가장 발전한 자본주의의 생산력을 사회화한 기반에서 형성될 사회를 맑스가 공산주의의 가장 낮은 단계 즉 사회주의라고 불렀다면 이것은 명백히 소련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 3장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