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8636175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03-01-3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 '나'와 '너'의 관계로 풍경과 만나기 위해
들어가면서 / 우리가 누구인지 말해주는 우리네 풍경
풍경과의 만남
소쇄원 풍경의 감상법-김인후의 '소쇄원 48영'에서 보는 오감적 풍경 감상법
미각을 통한 풍경 체험-맛이 기억하는 아름다운 풍경
어세겸의 폐허 미학-스러져가는 것의 아름다움에 대하여
퇴계에게 배우는 풍경 체험 방법 열 가지-온전한 풍경 체험을 위하여
겸재에게 배우는 풍경 조망술-진경산수화 속의 사람들은 어디를 보고 있을까
풍경이 태어날 때
풍경의 탄생-낙원과 풍경화의 재현에서 대지예술에 이르기까지
진화의 산물, 풍경-풍경 감각도 절차탁마하면 풍부해진다
풍경의 이름을 불러줄 때
결연(結緣)의 미학, 풍경-나와 관계를 맺을 때 의미를 지니는 풍경
풍경의 언어, 언어의 풍경-인상에 남기 쉬운 풍경과 언어의 역할
팔경, ‘여기기’의 경관 설계술-풍경에 의미를 부여하는 팔경식 풍경 감상법
보기에 자연스런 풍경의 아름다움
풍경의 디스플레이론-자연스런 시선 행동과 풍경의 위치
곽희에게 배우는 아름다운 산수의 조건-산이 깊고 아득하게 보이도록 하는 원근법 세 가지
사용하듯이 보는 풍경
따뜻한 '세한도' 풍경-와유적 풍경 감상법과 점경물의 역할
쾌적한 도로와 아름다운 물가 풍경-기대 행동이 가능해보이는 공간의 중요성
나와 마주하고 있는 풍경
관계의 미학, 풍경-화이부동(和而不同)의 풍경 원리
용산의 형상-산이 되어 마을을 지켜주는 용들의 모습
나오면서 / 혼을 울리며 존재를 심화하는 풍경 체험
인용 및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풍경은 이 세상 속에 존재하는 자신과 자신이 대면하는 세계를 '나'와 '너'의 관계로 규정함으로써 발생한다. 세계를 인식하는 '나'에 대한 '너'로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풍경은 발생한다. 따라서 풍경은 관계의 미학이다. 산수에서 무상(無相)의 자기를 본다고 한 고승(高僧)의 각성은 그야말로 이러한 경지다. -234쪽에서




















